홈 > 디렉토리 분류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6.0000-20090831.E47840349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휘찬, 이원조
작성시기 1856
형태사항 크기: 22 X 18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휘찬(李彙纘)오위장(五衛將)이라는 벼슬을 얻기 위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재직 중인 이원조에게 잘 주선해달라고 청탁하는 별지.
「凝窩先生年譜」,『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KSAC+A01+KSM-XF.1856.0000-20090831.E47840349_0-DES.INFKSAC+A01+KSM-XF.1856.0000-20090831.E47840349_2-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로 자신을 오위장(五衛將)에 주선해달라고 청탁하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56년(철종7)이휘찬(李彙纘)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이다. 이휘찬오위장(五衛將)을 임명하는 사령장 두 장을 보내주기를 바란다는 말로 서두를 열었다. 이 말을 하면서 자신도 민망하였는지 ‘염치불구하고 우러러 아룁니다[冒沒仰告].’라는 말을 덧붙였다. 이어서 오위장 자리를 얻기 어렵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숙주(叔主)께서 이미 그 자리에 계시니 주선하는 방법이 있을 것 같아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아뢴다고 하였다. 이 당시 이원조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재직 중이었다. 그래서 이휘찬은 그에서 이러한 청탁을 한 것이다. 끝으로 이 마을에 믿을만한 인편이 없으면 영주 관아로 부처 달라고 전한다. 떳떳하지 못했던 것일까? 인편에 무척이나 신경을 쓰고 있다.
자료적 가치
별지는 원문에서 하기 힘든 말이나 못 다한 말을 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특히 청탁문서가 많다. 이 별지도 이휘찬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재직 중은 숙주(叔主) 이원조(李源祚)의 힘을 빌러 오위장이 되고자하는 청탁문서이다. 이 같은 자료는 조선 시대 인사제도 전반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凝窩先生年譜」,『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6년 이휘찬(李彙纘) 서간(書簡) 별지(別紙)

[별지]

此有緊託者 冒沒仰告 五衛將
差帖二丈 期於得送 伏望伏望 曾
知此窠之難得而
叔元旣在其位 似有周旋之道 故
冒煩仰道 另念下施 伏望耳
若無此村信便 付送榮衙 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