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이주영(李冑永)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318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주영, 이원조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24.5 X 32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관련자료

안내정보

1850년 이주영(李冑永)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0년(철종 1) 척하(戚下) 이주영(李冑永)이 보낸 서찰에 첨보된 별지로 상대가 돌보아 주리라 믿고 그가 다스리는 지역인 서상(西上)으로 나아간다는 내용이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318_0-DES.INF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318_2-DES.INF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 1) 척하(戚下) 이주영(李冑永)이 보낸 서찰에 첨보된 별지로 상대가 돌보아 주리라 믿고 그가 다스리는 지역인 서상(西上)으로 나아간다는 내용이다.
내용 및 특징
1850년(철종 1) 척하(戚下) 이주영(李冑永)이 보낸 서찰에 첨보된 별지로 상대가 돌보아 주리라 믿고 그가 다스리는 지역인 서상(西上)으로 나아간다는 내용이다. 지난번 부탁드린 일은 의향이 어떠한지 물었다. 심히 헤아려 처리하는 것이 어떠할 지 자신의 생각을 드러냈다. 늙은 자신의 이번 행차는 매우 미친 짓이지만 또 이 서상(西上)에 나아가는 것은 집을 불사르고 솥을 깨부수면서 간다고 할 수 있을 것이지만 다만 3일의 양식도 가지고 갈 것이 없어 굶주린 기색이 있으니 두려움을 다스릴 수 없지만 감히 양식을 지급할 도리를 오로지 영공을 믿으니 이는 병선(兵仙 : 韓信의 號))의 다다익선(多多益善)과 같을 것이니 이 뜻은 과연 어떠한지 물었다. 영공이 아니면 어찌 이런 말을 하겠느냐며 간곡하게 자신의 부탁을 들어 줄 것을 바랐다. 20일전에 짐을 꾸러 빈손으로 계획도 없이 수레를 재촉한다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수신인의 집안에 아들이 과거에 급제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이주영(李冑永) 서간(書簡) 별지(別紙)

向時 仰托事 意下 果何如也 惟在深
量處之之如何
老物此行 已極狂妄 而又將進於此
西上 此可謂燒廬破釜 而往也 但
無三日粮可持 有飢色 而勝其
戰理 必無之 敢以給饋餉之
道 專恃於令公 此則如兵仙
之多多爲善 此亦意下果何如
也 非令公 則其何以作此語
也 料於念前束裝 而赤手沒
策 促車量此 而有借處
之方耶 千萬千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