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4년 이만운(李晩運) 서간(書簡)
188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이만운, 류기호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1884년 6월 22일, 이만운이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
1884년 권연하(權璉夏) 서간(書簡)
1884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권연하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1884년 3월 청명일, 권연하가 상대 숙부의 사망에 애도의 뜻을 표하고 서적 간행에 따른 부조금을 보내는 일과 관련하여 보낸 편지
1885년 김흥락(金興洛) 서간(書簡)
1885 |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김흥락, 류기호 | 안동 박실 전주류씨 수정재고택
1885년 3월 3일, 西山 金興洛이 상대 아들의 교육 방침 등과 관련하여 石隱 柳基鎬에게 보낸 편지
하와일록(河窩日錄)
1796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류의목 | 안동 하회 풍산류씨 화경당
류의목(柳懿睦이 1796년 1월부터 1802년 12월까지 7년간의 일상생활을 기록한 일기
소청일록(疏廳日錄)
1852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이돈우 | 안동 소호 한산이씨 대산종가
한산이씨(韓山李氏) 대산종가(大山宗家)에 소장된 자료로,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선생의 증직(贈職)과 시호(諡號)를 얻어내기 위해 영남 유생들이 소(疏)를 올리게 되는 일정, 경과 그리고 결과추이를 기록한 것이다.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1857 | 고서-일기 | 개인-생활-일기 | 김중휴 | 안동 오미 풍산김씨 참봉댁
김중휴(金重休)가 1857년부터 1860년의 일상생활을 기록한 일기
이형의(李亨義) 산송(山訟) 관련 산도(山圖)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형의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의 固城李氏 문중에 전해온 山訟 관련 山圖.
갑○(甲○)년 죄민(罪民) 이형의(李亨義)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형희, 안동대도호부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安東 法興里에 살고 있는 固城李氏 문중의 李○○가 安東府使에게 올린 山訟 관련 所志.
1736년 유학(幼學) 이시일(李時一) 의송(議送)
1736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이시일, 경상감영 | 안동 법흥 고성이씨 탑동종가
1736년(英祖 12) 10월, 安東에 사는 固城李氏 문중의 李時一이 慶尙道觀察使에게 올린 山訟 관련 所志.
1702년 중수우향계회문(重脩友鄕稧回文)
1702 |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사회-조직/운영-통문 | 권두인, 권태시, 이후영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1702년 봉정사에서 우향계의 수리를 위한 집회일정 안내와 집회의 결과임.
이굉(李浤)이 만든 진솔회(眞率會)의 좌목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이굉, 권철경 | 봉화 유곡 안동권씨 충재종택
1513년에서 1516년 사이에 우향계를 조직한 13인의 후손 중 한 명인 이굉이 그의 아우, 매부 및 다른 회원의 아들, 사위를 포함한 총 15명이 만든 모임의 명단
17세기 초 안동(安東) 십조향규(十條鄕規)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사회-조직/운영-계문서 | 권행가, 김집 | 안동 하회 풍산류씨 양진당
류성용이 정한 10개조의 규약과 처벌내용에 권행가와 김집이 증보한 향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