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중 자료 > 일기 > 옥원사실(玉院事實) 부잡실(附雜實) > 02권 > 1851년 > 8월 > 20일

옥원사실(玉院事實) 부잡실(附雜實) 리스트로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WM.1852.4713-20180630.Y1850102002
URL
복사
복사하기

상세내용

상세내용 리스트
날 짜 1851년 8월 20일 / 哲宗 2 / 辛亥
내 용

동년(1851) 8월 20일
鄕校 會中이 玉山書院에 맞서 단독으로 申飭하다
삼가 생각건대, 하늘과 땅 사이에서 내려주신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타고난 떳떳한 마음을 받았으니, 三綱五常은 이로 말미암아 우뚝 서고, 四端七情은 이것에서 발현하게 됩니다. 무릇 血氣를 가진 사람이라면 임금과 부모를 받들고 친하게 하는 것을 알지 않음이 없으며, 조금이라도 知覺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한 사물의 변통을 통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아래에서 관직을 받아들이는데 막혀 답답한 기색이 없다면, 멀고 가까운 사람이 혼연일체가 되어 지나는 곳에 오묘한 敎化가 있게 되는 것이 바로 人道와 人事의 지극한 것입니다. 우리 동방의 땅은 본래 예의의 나라이며, 또 仁者와 賢人의 교화를 입었으니, 많은 선비들이 관계한 것 가운데 太學보다 큰 것이 없고, 선현들이 거쳐 간 것 가운데 書院이 세워지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동서의 강당에서는 거문고를 타고 글을 읽는 소리가 들리고, 선비의 복장을 하고서 제사 받드는 일을 익힙니다. 때로 圃隱 鄭夢周 先生이나 益齋 李齊賢 先生과 같은 사람이 있어 師表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매번 揖讓으로 받들어 인도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고, 잡아 방해하거나 밀쳐 막는 것을 힘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우리 王朝에 이르러 간악한 사람 徐選이 常道에서 벗어난 의론을 부르짖으며 이끌어내고, 晉山 姜希孟이 다시 道理에 없는 말을 엮어서 한 나라의 반이 되는 庶子라는 이름의 선비들로 하여금 수백 년 동안 억울하게 가로막히는 무리를 만들어내었습니다. 이것은 이전에는 듣지 못한 일이었으며, 祖宗 때는 있지 않은 제도였습니다. 꾸며낸 것을 지키려 입을 막는 것은 물길을 막는 것보다 더 어려우며, 韓侂冑가 朱子學을 금하게 한 것은 사람을 벼슬에 쓰지 않게 하는 것보다 가혹한 것입니다. 그리고 天倫을 깨뜨리고 人道를 끊어 없애버리는데 이르러서는 이것이 어찌 君子로 세상을 탄식하는 때가 아니며, 뜻있는 선비가 괴로워 눈물이 가득한 때가 아니겠습니까? 아, 우리 宣祖大王께서 처음으로 소통을 허하라는 교시를 내리면서 "해바라기가 태양을 우러러보면 곁가지라고 가리지 않는다."라고 하셨습니다. 仁祖 때 또 교시를 내리면서 "三曹의 각 관아는 재주에 따라 후보자를 추천하라."고 하셨습니다. 肅宗 때에는 상례를 따르지 말라는 敎旨가 있었고, 英祖 때에는 앞으로는 평탄하여 막힘이 없을 것이라는 批答이 있었습니다. 당시에 이름난 큰 학자들이 뒤따라 임금의 뜻에 우러러 답하여 양기가 발하듯이 의론들이 일어났다. 晦齋 李彦迪 선생께서 일찍이 "서얼의 벼슬길을 틀어막는 것은 예전에 없던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文烈公 趙憲 선생께서는 "전적으로 관직에서 서얼을 뿌리째 뽑아버렸으면 李仲彪의 무리가 세상에 쓰이지 않았을 것입니다."라는 말을 임금께 아뢰었습니다. 西厓 柳成龍 선생은 문벌에 구애되지 말아야 한다는 상소문을 올렸습니다. 文正公 宋時烈 선생은 "서얼의 벼슬길을 막는 것은 祖宗의 제도가 아닙니다."라고 임금의 물음에 대답하였습니다. 仙源 金尙容 선생은 "예전의 폐습을 통렬히 뜯어 고쳐야 합니다."라는 상소를 올렸습니다. 그리고 靜庵 趙光祖를 비롯해 大憲 李仁亨, 梧里 李元翼 등 여러 선생들 역시 소통에 간절하지 않음이 없었습니다. 더 넓은 세상 속이나 유유한 바다 안에서 모두 한 임금의 신하이자 백성이며, 또한 많은 先賢의 자손이라면 사랑해야 할 사람은 임금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우리 임금의 명령을 받들지 않을 수 없습니다. 모두가 우리의 선조를 생각하면 우리 선조의 말씀을 따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혹시라도 徐選의 무리가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나고, 姜希孟과 같은 부류가 또한 오늘날에 있다면, 벼슬길을 막는데 조정의 명령을 어기면서까지 먼저 의론할 것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임금의 교시가 엄격하고 분명하다는 것을 널리 여쭈고, 조정의 의론이 정성스럽고 간곡하다는 것을 두루 고합니다. 그래서 눈과 귀를 가진 사람이라면 이미 그 듣는 것이 같을 것이며, 비록 지각이 없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또한 모두 환히 깨닫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차츰 소통이 허하게 될 날을 기다는 것이 바로 우리들의 본심입니다. 무릇 院祠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바로 儒生들에게 제사를 지내게 하는 것으로 또한 선비의 일입니다. 그리고 저희들은 교화의 근원이 되는 鄕校에서 이미 소통이 되었으므로 각 書院과 각 祠堂에서는 新儒들을 배척할 수 없습니다. 享禮와 제사에 한 사람도 막을 수 없습니다. 게다가 임금의 批答이 새롭게 내려지고 묻고 상의하여 그 의견이 모두 같아서 陵寢에 獻官의 所任이 소통되고, 家廟에 뒤를 잇는 순서의 법이 정해졌습니다. 저희들의 얕은 생각으로 나라 임금의 사당에 이미 참여하여 제물을 올릴 수 있다면, 시골 賢人의 서원에서 반드시 적통의 순서에 구애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뒤를 잇는 차례라면 儒林에서 아마도 구애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무릇 여러분들이 거짓 없는 마음으로 나라를 사랑한다면 이미 조정의 명령이 이와 같다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그러한즉 사당과 서원에서 그것을 본받아 소통을 허하여 마땅히 저희들의 간곡한 통지에 앞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머뭇거리며 밀쳐내어 앉아서 날짜만 보내는 것은 혹시 여러분이 의논하여 일치하기를 기다려야 하는 것은 아닌지요? 아니면, 조정의 명령을 받들 뜻이 없는 것인지요? 만약 조정의 명령을 받들 뜻이 없다면, 저희들의 억울한 아픔은 이미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저승에서 오르고 내리는 先賢의 혼령께서 조정의 명령을 막아 그치게 하는 것을 보게 된다면, 또한 어찌 어두운 저승에서 개탄하지 않겠습니까? 대저 저희들이 소통되고 막히는 것은 운수의 순환과 관계가 있는 듯합니다. 그런데 금년에 敎示가 내려진 후에 바람은 나뭇가지를 울리지 않고 비는 흙덩이를 무너뜨리지 않아 오곡이 잘 익고 만물이 잘 번식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우리 임금의 답답함을 소통시키는 敎化에 하늘과 땅이 감응한 조화입니다. 그리고 여러분 역시 시절의 氣象을 관측하고 때의 변화를 완상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전의 階限[품계에 제한을 둔다]이라는 두 글자에 다시 구애가 된다면, 마른 풀이 꽃을 피우지 못하고 깊은 골짜기는 따뜻한 봄날을 맞이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새로 올린 상소 뒤에는 階限의 구별이 영원히 없어지게 될 것이니, 우리나라의 향교와 서원, 그리고 사당이라면 아마 소통을 허하는데 차이가 없을 것이니, 다른 고을의 눈치를 보지 마시기 바랍니다. 엎드려 생각건대, 여러분께서 헤아려 살펴주신다면 참으로 다행이겠습니다.
辛仁輔 李基肇 崔世觀 李圭燮 金最說 孫世觀 權學悅 韓相良 孫星赫 崔世夏 金最永 鄭斗一 李奎永 金永熙 李魯冕 鄭憙 李寅和 朱陽復 孫宙敏 孫時侃 權仁錫 崔世彦 韓錫璉 辛載鎔 李圭祥 李世輔 金宰坤 權必? 李浩錫 李錫魯 鄭志韶

1852(壬子)年 봄에 新儒들이 또한 西岳書院을 탈취하여 李綺壽를 새로 임명하였다. 당시 本孫을 방패삼아 칼을 빼어들고 죽기로 맹세하여 막아내지 못했다. 끝에 가서는 官家의 金穰根西岳書院을 도와줌으로 해서 마침내 新儒의 근거지가 되었다. 그 후 전해 듣기로 또한 玉山書院의 牌旨로 시끄러움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여 무리를 추려 모아 이름 아래에 돈을 배정하니, 경주의 남쪽과 북쪽이 서로 호응하여 기세가 대단히 두려웠다고 한다.

이미지

원문


同年八月二十日。
鄕校會中抵玉院單勅
伏以天地之中。率降衷之性。禀秉彛之心。而三綱五常。由是而立焉。四端七情。在玆而發焉。凡有血氣者。無不知君父之尊親。稍有知覺者。亦能達事物之變通。上下承官。無堙鬱之氣。遐邇一體。有過化之妙。則人道至矣。人事極矣。惟我東土。本以禮義之邦。又被仁賢之化。多士所關。莫大乎大學。先賢所過。無不起書院。東序西膠。聞絃誦之聲。圓冠方領。習俎豆之事。時則有若圃隱鄭先生益齋李先生。爲其師表。而每以揖讓推引爲先。不以拘碍排塞爲務矣。屆我聖朝。險人徐選。倡俑不經之論。晉山姜希孟。更綴無倫之辭。使半一國庶名之儒。作數百年寃錮之黨。此乃前古未聞之事。祖宗所無之制。而衛誣之防口。甚於防川。侂冑之禁學。苛於禁錮。至於天倫歝敗人道滅絶。則玆豈非君子歎世之時。而志士滿矜之淚耶。粵我宣祖大王。始降許通之敎曰。葵藿仰陽。不擇旁枝。仁廟朝。又下敎曰。三曹各司。隨才擬望。肅廟有勿循常規之旨。英廟有前平無碍之批。于時乎。名碩趾拇仰答天意。揚休而倡論之。晦齋李先生嘗曰。庶孼防塞。前古所無。文烈趙先生奏曰。專廢庶孼。則李仲彪之徒。不用於世。西厓柳先生箚曰。不拘門地。文正宋先生對曰。庶孼防塞。非祖宗之制。仙源金先生䟽曰。痛革舊弊。及夫趙靜庵李大憲李梧里趙重峯諸先生。亦莫不恳恳於許通。泛泛寰中。悠悠海內。俱是一王之臣民。又多先賢之子孫。則可愛非君。吾君之令。不可不奉。僉念我祖。我祖之言。不可不遵。然而或恐徐選之輩。復生於此世。姜希孟之類。亦存於今日。枳塞朝令違越先議。故生等宣誦聖敎之廣前。輪告朝論之恳惻。使有耳有目者。旣同其聽聞。雖無知無覺者。亦咸爲曉諭。稍待許通之有日者。卽生等之本心也。夫敎學院祠。乃儒林之所章甫俎豆。亦士子之事。而生等已通於鄕校首善之地。則各院各祠。不可以新儒排之也。以享以祀。不可以一名塞之也。而况聖批新降。詢謀僉同。陵寢通獻官之任。家廟定繼序之典。生等淺慮。以爲國君之廟。猶能參奠。則鄕賢之院。想必無碍宗嫡之序。尙且繼緖。則儒林之所似或不拘。夫以僉尊愛國之悃。旣知朝令之如此。則其祠院許通之效。當在生等恳通之先。而逡巡推頉。坐送時日者。無或有待於僉議之沕合耶。抑亦無意於朝令之遵奉耶。如或無意於朝令之遵奉。則生等抑鬱之痛。已無可言。而先賢陟降之靈。庶鑒朝令之防止。則亦豈不慨歎於冥冥耶。大抵生等之通塞。有關於氣數之運回。而今年下敎之後。風不鳴條。雨不破塊。五穀登。庶物蕃。玆乃吾君䟽鬱之化。感應天地之和。而亦僉君子觀象玩變之時也。且前以階限二字。便作拘碍。寒草未盡於發榮。幽谷未洽於陽春。而今玆新䟽之後。永無階限之別。則其爲我國校學祠院。想無許通之異同。而不須睥睨於他邑之先後也。伏惟僉尊。諒止鑒止。千萬幸甚。
辛仁輔李基肇崔世觀李圭燮金最說孫世觀權學悅韓相良孫星赫崔世夏金最永鄭斗一李奎永金永熙李魯冕鄭憙李寅和朱陽復孫宙敏孫時侃權仁錫崔世彦韓錫璉辛載鎔李圭祥李世輔金宰坤權必?李浩錫李錫魯鄭志韶。等。

壬子
春。新儒又奪西岳書院。新任李綺壽。當時用干本孫。抱劒矢死。沮遏不得。竟被官家金穰根扶抑岳院。遂爲新儒所據。其後傳聞。以爲且將作閙玉院牌。抄聚黨。名下排錢。南北相應。氣焰凜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