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중 자료 > 일기 >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 01권 > 1859년 > 9월 > 26일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리스트로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WM.1857.4717-20140630.000000012253
URL
복사
복사하기

상세내용

상세내용 리스트
날 짜 1859년 9월 26일 / 哲宗10 / 己未
내 용
이른 아침 이불을 가지고 입직(入直)하였는데, 음무(陰霧)의 기운이 침범하여 매우 힘들었으나 당번에게 있어서 어찌하겠는가? 공조청(工曹廳)에 들어가 동료 이원성(李源星)과 오랜 시간 이야기를 나누었다. 부묘(祔廟)의 의물(儀物)들을 봉심(奉審)한 이후 이 동료(李同僚)는 돌아갔고, 나는 홀로 청방(廳房)에 남아있으니 무료함이 매우 심했다. 교리(校理) 서용순(徐容淳), 주부(主簿) 임승수(林勝洙)가 들어왔고 조금 뒤에 이당상(二堂上) 호판(戶判) 이경재(李景在)도 또 들어와서 적막함을 벗어났다. 듣기에 황교(黃橋) 판서(判書) 이학수(李鶴秀)가 이 유행병으로 졸지에 죽었고, 참의(參議) 심돈영(沈敦永)도 죽었으며, 그 외에도 죽은 이들이 부지기수이라고 하니 이 무슨 운기(運氣)란 말인가? 경악스러움을 이길 수 없다. 김 감목(金監牧)에게 편지를 써서 약재 서너 건을 구했고, 또 훈장(訓將)에게 편지를 부쳤다. 조금 뒤에 감목(監牧)이 소합원(蘇合元) 20개, 석류(石榴) 2개, 당비해(唐萆薢) 1냥 중(重), 호초(胡椒) 3냥 중, 약염(藥鹽) 1봉(封)을 보내 주었다. 훈장의 답서에는 내일 머물 기약이라고 했다. 밤에 공조 청사에서 묵었는데, 뱃속이 또 평안하지 못하여 잠이 들지 못했다.

이미지

원문

二十六日。
早朝持被入直。陰霧之氣。觸犯甚難。而其於當番何。入工曹廳。與李同僚源星。移時打話。奉審祔廟儀物後。李同僚歸。余獨留廳房。無聊殊甚。徐校理容淳林主簿勝洙入來。俄而二堂上戶判李景在。又入來破寂。聞黃橋李判書鶴秀。以時疾猝地捐世。沈參■議敦永亦棄世。其外某某。不知其數。此何運氣。不勝驚愕。裁書金監牧。求藥材三四件。又付書訓將。俄而監牧送蘇合元二十箇。石榴二箇。唐萆薢一兩重。胡椒三兩重。藥鹽一封。訓將答書。以明日留期。夜宿工曹廳。腹中又不平。未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