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중 자료 > 일기 >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 01권 > 1859년 > 9월 > 15일

김중휴일기(金重休日記) 리스트로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6+KSM-WM.1857.4717-20140630.000000012253
URL
복사
복사하기

상세내용

상세내용 리스트
날 짜 1859년 9월 15일 / 哲宗10 / 己未
날 씨 가랑비가 내리다.
내 용
입직(入直)했다. 담당 당상관(堂上官)이 한 번도 나오지 않은 것 때문에 오후에 직소(直所)를 나왔다. 아침 전부터 또 설사 증세가 있어 입맛이 변하여 아침을 먹지 못했으니 객지에서의 생활이 갈수록 더욱 견디기 힘들다. 식주가(食主家)에서 와서 식대를 달라고 하였기에 도합 10냥 4전 5푼을 지급했다. 불과 20일간 식사와 나머지 잡비 이외에 또 이와 같이 돈이 들어가니 나그네의 전대가 쓸쓸했다. 또 말의 병이 다만 복통만 있는 줄 알고 등창이 있는 줄은 몰랐다가 우리 집 하인들이 내려간 이후에야 비로소 발견하였는데, 아마도 새해 전에는 등창이 아물기 어려울 것 같다. 만일 그러하다면 끌어 보내어 병을 치료하는 것이 옳으나 그놈들이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가버렸으니 매우 무능한 놈들이다. 분하고 탄식한들 어찌하겠는가? 감목(監牧) 김계한(金啓瀚)이 편지로 괴질(恠疾)을 치료할 처방을 보내왔다. 「첫 번째 처방 : 모과[木瓜] ․ 오수유(吳茱萸) 각기 3전(戔), 창출(蒼朮) ․ 곽향(藿香) ․ 진피(陳皮) 각기 2전, 반하(半夏) 1전에 생강[干] 7편(片)을 넣어 달인 후 소금[鹽] 한 숟갈[匕]을 타서 복용한다. 두 번째 백출탕(白朮湯) : 백출(白朮) ․ 귀전우(鬼箭羽) 각기 1전 5푼(分), 곽향 ․ 진피 ․ 청피(靑皮) ․ 후박(厚朴) 각기 1전, 당목향(唐木香) ․ 감초(甘草) 각기 7푼을 소합원(蘇合元) 1개에 타서 미리 두세 첩(貼)을 복용한다.」계한이 사향소합환(麝香蘇合丸) 10개를 보내주었다.

이미지

원문

十五日。
細雨。入直。以堂上之無一出座。午後出來。自朝前又有泄症。口味變不食朝飯。客地經過。去益難堪。食主家來請床價。故合給十兩■■■■〔四錢五分〕。此不過二十日食下。餘外雜費。又若此而入。行槖蕭然。且馬病只知有腹痛。不知背瘡。家伻等下去後。始見之。似難歲前合瘡。若爾則牽送除患。可也。而厥漢輩無言而去。極爲儱侗。憤歎奈何。金監牧啓瀚。書送恠疾治方。其一方。木瓜。吳茱萸【各三戔】。蒼朮。藿香。陳皮【各二戔】。半夏【一戔】入干七片煎後。鹽【一匕】調服。又白朮湯。白朮。鬼箭羽【各一錢五分】。藿香。陳皮。靑皮。厚朴【各一戔】。唐木香。甘草【各七分】。調蘇合元一介。預服二三貼云。啓瀚送麝香蘇合丸十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