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중 자료 > 일기 > 감계록(鑑戒錄) > 1권 > 1835년 > 9월 > 29일

감계록(鑑戒錄) 리스트로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WM.1823.4728-20100731.900110200001
URL
복사
복사하기

상세내용

상세내용 리스트
날 짜 1835년 9월 29일 / 憲宗1 / 乙未
제 목 쌍화에 사는 일가 홍우표 상주가 전촌마을 뒤에 있는 박사공 선조의 산소 아래에 자신의 아버지를 암장하다.
내 용
쌍화(雙花)에 사는 일가 홍우표(洪禹標) 상주가 전촌(錢村)마을 뒤에 있는 박사공(博士公) 선조의 산소 아래에 자신의 아버지를 암장하였으니 이 무슨 변고란 말인가? 상주는 율리에 사는 목재(木齋)선생의 후손으로 사족(士族)이다. 선비가 자신의 아버지를 투장(偸葬)하였으니 성(姓)을 얻은 후로 없었던 일이다. 하물며 5일전에 목교(木橋)에서 장례까지 치렀는데, 나도 그때 제사에 참여하여 조문하였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오늘 이런 망령된 행동이 있을 줄이야! 그는 박사공의 방예손(旁裔孫)으로 신분에 넘치게 산에 대한 욕심을 내어 본손(本孫)을 멸시하고 틈을 엿보아 분수에 맞지 않는 계획을 하였으니 진실로 놀라운 일이었다. 자손들이 모여 자세히 살펴보니 관(棺)만 겨우 묻힐 정도로 흙을 덮었는데, 일제히 관을 꺼내자는 소리에 둘째 상주 익표(益標)가 뛰어 올라와 이렇게 한다면 나 또한 박사공의 묘소를 파내겠다고 하며 소란을 피웠다는데 피차가 참토질을 하였는지 하지를 않았는지 내가 자세히 살펴볼 겨를이 없었지만, 그것을 계획하고 작심한 것이 매우 놀랍고 참담하였다. 이런 와중에 관청에 아뢰지 않고 먼저 관을 꺼내는 것은 또한 경솔한 행동으로 피차가 망령됨을 면할 수 없다하겠다. 한편으로 관청에 고소하여 문중의 어른 홍종구(洪宗九)씨와 종손준철(濬喆)씨가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피차가 감영(監營)에 소장(疏章)을 올려 법률에 의거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이런 가운데 극구 설명과 변명을 본 고을과 감영(監營)하였고, 또 산소를 임의대로 파헤친 실수들을 양측 모두 법률에 의거하여 판결을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11월에 이르러 요행히 석방되었고 저들은 율리(栗里) 오른쪽에 있는 산으로 옮겨갔다. 이로부터 망천(輞川)과 율리(栗里) 두 파로 나뉘어 서로 원한을 마음에 품게 되었으니 자손들의 무궁한 염려가 될까 두렵다. 그러나 저들의 잘못된 행동을 의리(義理)로 생각하고 있으니 이런 경거망동한 행동을 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피맺히는 분노를 참을 수 없다하여 경솔히 산소를 파냈으니 두 가지 잘못을 면할 수가 없었고 또 우리 문중의 운수가 좋지 않고 막히는 날이 되어 예전에 없던 이런 변고가 일어났으니 한심스럽기 그지없었다.가을걷이를 하였는데 모든 농사가 흉년을 면치 못하였고, 목화는 더욱 심한 흉년이었다. 10월부터 12월까지 비도 눈도 오지 않았으니 내년 농사도 얼마나 줄어들지 알 수가 없다. 지난 해 겨울부터 온 나라에 전염병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비록 산꼭대기에 혼자 사는 사람까지도 전염되지 않은 곳이 없었고, 여름이 되어서도 끊이지를 않았다. 봄부터 여름까지 곡식 가격이 쌀 한 되에 4~5엽이나 되었고, 목화는 근(斤)당 3~4 엽이 되었다. 올 7~8월에 걸쳐 오랜 장마가 계속되어 산자락에 있는 논밭의 곡식들은 선채로 패지도 못하여 결실이 되지 않았다. 겨울에는 쌀값이 8~9엽이었고, 이듬해 봄에는 쌀값이 11~12엽이었다. 목화는 초가을에 한 근에 한 냥 6엽을 하다가 겨울에는 한 냥 3이되었고, 쌀값은 한 되에 8~9 엽이었다. 깨는 4전이고, 봄 조세(租稅)는 7말이었다. 가을걷이 후에는 쌀값이 1전이었고, 벼는 4말에 한 냥, 목화는 근당 2이고, 겨울에 쌀 한 되에 1전 8푼이었고, 무명 한필에 4냥이었다.

이미지

원문

九月
二十九日
雙花族人洪禹標喪人暗葬其親於錢村後博士先祖墓下。是何變也。喪人則栗里木齋先生之後。自是士族也。士子而爲偸葬其親。自得姓後所無之事。又況是五日前。會葬于木橋。罪亦叅會祭弔。而不意今日有此妄擧也。其以博士公旁裔。濫生山欲。蔑視視本孫。闖生僥倖之計者。誠極可駭。子孫齊會詳視。纔至沒棺。齊聲出柩。則亞喪人益標甫跳踉直上。方鑱博士公墓。彼此作梗騷擾之際。鑱不鑱。罪不暇詳視。而大抵其設計與作心。極爲駭慘。而此中之未告官先出柩。亦未免率爾妄作兩造。一邊呈訴。至于囚禁門丈洪宗九氏宗孫濬喆甫。在繫縲中。彼隻呈營。至依律之境。此中極口發明於本官與營門。又以其鑱土之失。至於兩斥依律之境。
至十一月。
幸免得放。彼卽改葬于栗里右麓。自此兩派之相啣恐。爲子孫無窮之慮。而彼之誤看義理。而行此妄擧。此之不勝血忿。而輕爲堀去。未免兩失。而際此門運否塞之日。有此無前之變。極爲寒心。秋成後年事百谷未免凶歉。而木花極凶。
自十月至于臘月。
不雨不雪。明年年事亦未知其何小也。自昨年冬。一國大癘。雖山上絶頂孤居之人。無不犯染。及于夏不絶。自春及夏。穀價至歇。米一升價四五葉。木花三四斤。及是年七八月。霖雨損穀。依山處直立未發。及冬。米價八九葉。及明春。米十一二葉。木花初秋。每兩六斤。及冬。每兩三斤。米價一升八九葉式。荏價四戔式。及春。租七斗式。秋成後。米價一戔式。一兩租四斗一兩。木二斤。米及冬米一升價一戔八分式。一疋木四兩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