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문중 자료 > 일기 > 감계록(鑑戒錄) > 1권 > 1832년 > 12월 > 17일

감계록(鑑戒錄) 리스트로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K02+KSM-WM.1823.4728-20100731.900110200001
URL
복사
복사하기

상세내용

상세내용 리스트
날 짜 1832년 12월 17일 / 純祖32 / 壬辰
제 목 대설
날 씨 큰 눈이 내리다.
내 용
대설 갑술(1814)은 가뭄으로 작물이 자라지 못하는 붉은 땅이 되어 큰 흉년이 들었다. 임오(1821)는 구토와 설사를 하는 괴질의 전염병이 유행하였다. 무자(1828)는 병충해가 심하여 농사가 들쭉날쭉하여 흉년이 되었다. 임진(1832)은 장마가 늦게까지 계속되어 수확량이 줄어 흉년이 되다. 계사(1833)는 늦게 씨를 뿌려 제대로 자라지 못해 흉년이 되었고, 일찍 심은 곡식은 수확이 되었으나, 늦게 심은 곡식은 수확하지 못하였다. 갑오(1834)는 비가 적절하여 곡식은 풍성하였고 목화는 크게 흉년이 되었으며 보리와 밀은 황모(黃蟊)의 피해로 역시 흉년이 되었다. 을미(1835)는 일찍은 가물고 늦게는 장마가 길어 산골의 곡식은 결실을 하지 못하여 흉년이 되었고 목화 역시 흉년이었다. 병신(1836) 일찍 가물고 늦게 장마가 와서 경기도와 호남지방은 풍년이 들었으나 영남지방은 흉년이 되었고 목화도 대흉년이 되었다. 정유(1837)는 일찍 가물다가 늦은 비로 모내기가 늦긴 하였으나 가을에는 곡식이 풍성하게 영글어 흉년은 면하였다. 갯가의 잡곡농사가 풍년이었고 목화는 대흉년이었다. 무술(1838)은 봄여름에 크게 가물고 가을에 일찍 서리가 내려 흉년이 되었고 목화 역시 흉년이었다.

이미지

원문

十七日
大雪。甲戌以旱爲赤地而大殺。壬午以吐瀉爲乖疾而染。戊子以蟲災爲穴農而凶。壬辰以晩霖爲損而凶。癸巳以晩種爲未發而殺。早穀食。晩穀不食。甲午雨水的中。穀豊。而木花大凶。牟麥及黃蟊亦大凶。乙未早旱晩霖。依山處直立未發而凶。木花大凶。丙申早旱晩霖。畿湖兩道豊嶺南凶海邑殺木花大凶。丁酉早旱晩雨。移秧。然秋成登豊。或云免凶。浦粟極豊。木花大凶。戊戌春夏大旱。秋早霜爲凶。木花亦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