晦日
陰。 晨 梳 誦易。 秋盡窮溟 百感中舂 耿耿不寐 再用九日韻 排悶。
吾生有限海無方 逆旅乾坤泛淼茫 白髮任他霜菊笑 丹田遂與瘴茅荒
捄時宣聖猶逢戹 憂國箕師亦發狂 困不失亨方達士 須令名節永留香
夕陽 華翁强邀 同醉
陰。 晨 梳 誦易。 秋盡窮溟 百感中舂 耿耿不寐 再用九日韻 排悶。
吾生有限海無方 逆旅乾坤泛淼茫 白髮任他霜菊笑 丹田遂與瘴茅荒
捄時宣聖猶逢戹 憂國箕師亦發狂 困不失亨方達士 須令名節永留香
夕陽 華翁强邀 同醉
날 짜 | 1862년 9월 30일 / _ / 壬戌 |
---|---|
제 목 | 9일시의 운으로 시를 짓다 |
날 씨 | 흐림. |
내 용 |
새벽에 머리를 빗고 『주역』을 외웠다. 가을이 끝나가는 궁벽한 바다에서 온갖 감회가 몰려와 말똥말똥 잠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9일시」의 운으로 시를 지어 근심을 풀었다.
유한한 이 인생 가없는 바다 나그네 머무는 이곳 아득히 떠있네 백발을 그냥 두니 국화가 이를 웃고 단전은 마침내 바닷가 띠풀과 함께 거칠어 졌네 시대를 구하려던 공자(孔子)도 곤액을 당하였고 나라를 걱정하던 기자(箕子)도 미친 척 하였지 어려움에 처해서도 형통함을 잃지 않아야 달사가 되니 이름난 절조가 길이 향기 남으리 석양 무렵에 화재 옹이 굳이 오라고 하여, 함께 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