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0000년 김수발(金壽潑)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F.0000.4717-20160630.y161001023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수발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형태사항 크기: 21.5 X 41.5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수곡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안내정보

0000년 김수발(金壽潑) 서간(書簡)
김수발삼현에 사는 전주 유씨 삼산종가의 손위 처남에게 안부와 함께 이런저런 소식을 전하는 편지이다. 발신자는 얼마 전에 편지를 받았는데 연이어 편지를 받았으나, 최근에는 수신자와의 귀한 만남을 얻지 못해 참으로 유감이라는 말로 편지를 시작하고 있다. 이어서 상중에 있는 수신자와 그 가족의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집안에서 묏자리를 보는 일이 순조롭게 귀결되도록 한 노고에 찬사의 말을 건넸다. 그 밖에 사촌형인 해행이 처음으로 여행을 떠난 일과 신행의 기일이 가까워 오는데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것, 그리고 향교의 일들이 겉으로 보는 것과는 달리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등의 일들을 전하였다.
이 편지의 피봉에 "삼현 복좌 집사"라고 쓰인 것을 보면, 수신자는 삼산종가에 살면서 상중에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편지의 말미에 발신자는 자신을 소개하는 말에 "즉선제수발"이라고 적고 있다. 앞의 "즉선"이라는 말은 편지를 가져온 사람이 돌아가는 길에 바로 잡장을 보낸다는 말이기에 이것이 쓰인 연대가 표기되어 있지 않으며, "수발"이라는 이름은 󰡔전주유씨대동보󰡕를 보면 유홍양의 사위인 "김수발"이다. 이런 여러 가지 사실들을 종합하면, 이 편지는 19세기 중후반에 김수발이라는 사람이 삼산종가에 살면서 상중에 있는 손위 처남에게 안부와 함께 집안과 주변의 일들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상의를 구하는 내용의 것이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全州柳氏大同譜』,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金壽潑이 三峴에 사는 全州 柳氏 三山宗家의 손위 妻男에게 안부와 함께 이런저런 소식을 전하는 편지
金壽潑三峴에 사는 全州 柳氏 三山宗家의 손위 妻男에게 안부와 함께 이런저런 소식을 전하는 편지이다.
이 편지는 이전에 받은 편지에 대한 인사로부터 시작된다. 얼마 전에 편지를 받았는데 연이어 편지를 받았으나, 최근에는 수신자와의 귀한 만남을 얻지 못해 참으로 유감이라는 말로 고마움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喪中에 어떻게 지내는지 수신자의 안부를 묻고, 가족들이 고르게 福을 받고 있다는 소식에 위로가 된다는 말로 그 인사를 대신하였다. 그리고 묏자리를 보는 일이 순조로운 데로 귀결이 된 것은 수신자의 성의에 대한 복됨을 징험한 것으로, 발신자처럼 산골짜기에 살면서 완악하고 사나운 습속에 익은 사람들조차도 효자의 마음에 어찌 유쾌하지 않겠느냐며 상중의 노고에 찬사의 말을 건넸다. 하지만 그 일을 하는데 있어 지나치게 사치한 것 같아 봄이 지나면 모자라는 것이 있게 되지 않을까 해서 말씀을 드린다면서, 자신의 감정은 무디어서 이런 말은 들을 것이 못된다며 조심스러운 말로 염려하는 마음을 전했다. 이어서 주변의 여러 소식들을 편지에 담았다. 먼저 사촌형인 海行이라는 사람이 얼마 전에 처음으로 여행을 떠났는데, 세상도 험하고 고개도 높아 모든 것이 두려워할 만한데 이 일이 어떻게 마무리가 될지 염려스럽다고 했다. 그리고 新行을 갈 날이 점차 가까워지고 있는데, 흉년의 騷擾가 날로 심해지고 손수 힘써야 할 일도 날로 번거로워져 어떻게 신행을 넘겨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끝으로 鄕校의 일을 거론했다. 본문의 분량으로 보면 이 편지를 쓰게 된 가장 큰 목적은 바로 이 일을 전하기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 편지에 따르면 향교의 일은 이미 회합을 끝냈다고 했다. 그런데 발신자가 보기에 과연 모든 것이 잘 정리가 되어서 유감이 없는 것인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그 일과 관련해서 나이 많은 사람들과 어린 사람들이 의견이 합치하기 했으나, 낡은 인습을 버리지 못하면 뜻이 어그러질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러한 예로 李汝卿이라는 사람의 속 좁은 행동을 보면 부끄러워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일은 큰일을 경영하는 것이니 다른 사람에게 의지해서 시일을 끌지 않았으면 한다는 말을 했다. 그리고 세세한 일은 이만 줄이니 잘 헤아려주기 바란다는 말로 편지의 끝을 맺었다.
이 편지의 피봉에는 수신자를 "三峴 服座 執事"라고 지칭하고, 편지의 말미에 발신자는 자신을 소개하는 말에 "卽旋弟壽潑"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먼저 수신자의 거처인 "三峴"은 三山宗家가 있는 지금의 안동예안주진리이며, "服座"는 수신자가 현재 喪中에 있음을 나타내며, "執事"는 편지에서 상대방을 직접 지칭하지 않고 그 밑에서 일하는 사람을 가리킴으로써 상대방을 높이는데 사용되는 말이다. 따라서 이 편지의 수신자는 삼산종가에 살면서 상중에 있는 사람이다. 다음으로 발신자는 자신을 "弟"라고 하고 있어 전주 유씨의 一族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全州柳氏大同譜󰡕를 보면 "壽潑"이라는 이름은 柳洪養의 사위인 "金壽潑"이다. 그리고 그 이름 앞에 "卽旋"이라고 한 것은 편지를 가져온 사람이 돌아가는 길에 바로 답장을 보낸다는 말이다. 그래서 이 편지에는 쓰인 연도가 적혀 있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全州柳氏大同譜󰡕�에 근거해서 이 편지가 쓰인 연대를 추정해보면 19세 중후반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편지는 19세기 중후반에 金壽潑이라는 사람이 삼산종가에 살면서 상중에 있는 손위 처남에게 안부와 함께 집안과 주변의 일들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상의를 구하는 내용의 것이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全州柳氏大同譜』,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謹拜謝狀上
三峴 服座 執事
謹封

省式昨接惠連今奉跨緘甚是爾
來不?得底奇會何感如之而仍審
服中啓處連重寶覃均禧慰瀉又
十分山事之歸順可驗其誠意之禧有
以感動得峽裏頑悍之習也孝子之心
安得不恔也第其所入之若至太侈剛經春
餘力想有不贍者矣爲之奉聞耳弟情
陸之此無足聞從兄海行日前始發而
世險嶺峻俱是可怕未知此事利泊耶
新行期日漸近而荒擾日加手力日細
未知何而過行也陽勝於悅耳校事
今已罷會云果十分整頓而無餘憾耶
老少間合致一當委問而因循意闕追
思穩愧竇李汝卿之行此間亦有探之
者而尙未聞知未知日間或來法奧土地而姑未及
聞耶然此人此邊之行盖泛
言以春間爲期而固
無顯然必來之機
則經營大事之地
不必倚靠他延拖
也旣得明日發程云
爾則發之如何自此
當多事矣奉際似
未?尤增冲悵餘
適有聊冗瑣不宣此
禮惟希
照在
卽旋弟壽潑拜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