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55년 성급(成汲)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F.1755.0000-20170630.y17100103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성급, 유정원
작성시기 1755
형태사항 크기: 30 X 42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수곡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안내정보

1755년 성급(成汲) 서간(書簡)
1755년 11월 21일, 성급이 편지와 물품을 보내준 사돈 유정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그래서 발신자는 먼저 수신자가 두 차례나 편지를 보낸 사실을 언급하였다. 이어서 그 편지에 답장하지 못한 이유를 말하고, 그에 대한 용서를 구했다. 다음으로 수신자의 안부와 그 부임지의 차가운 날씨에 대한 염려, 그리고 수신자를 생각하는 발신자의 마음을 전했다. 다음으로 발신자는 아버지의 병환, 엄청난 기근으로 인해 닥쳐올 굶주림, 그로 인한 불안한 마음, 병을 앓아 야윈 아이들 등 자신의 근황을 전했다. 그리고 추신에서는 일전에 수신자가 보내준 포필에 대한 고마운 마음과 청밀 1되는 구해서 보내달라는 부탁의 말을 했다. 이 편지의 서두에서 수신자를 통천군수라는 의미의 "통천 정헌"이라고 한 것을 보면, 수신자는 유정원이 된다. 왜냐하면 그는 1754년 12월에 통천군수로 부임하였고, 이 편지는 그가 부임한지 1년쯤이 되는 을해년(1755) 11월에 쓰였기 때문이다. 이 편지에서 발신자가 "지금 몹시 심한 추위에다 갑자기 몰아치는 변방의 바람과 서리가 남쪽 지방과 다르다"고 한 것은 강원도 통천 지역의 날씨를 낸 것이다. 그리고 이 편지에서 발신자는 자신을 "사제", 수신자인 유정원을 "사형"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이것은 바로 두 사람이 사돈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보면 발신자는 유정원의 맏아들인 유진휴의 장인인 성급인 것이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古文書集成 四十四』 -安東 全州柳氏篇 1(水谷宗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全州柳氏大同譜』,
『三山集』,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55년 11월 21일, 成汲이 편지와 물품을 보내준 査頓 柳正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1755년 11월 21일, 成汲이 편지와 물품을 보내준 査頓 柳正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이다. 이 편지는 수신자가 발신자에게 먼저 두 차례나 편지를 보냈다는 말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발신자는 그 편지에 답장하려고 잘 준비를 해두었지만 번번이 돌아가는 인편을 놓쳐서 아직까지 답장을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래서 수신자가 분명 큰 도량으로 너그럽게 용서해줄 거라 생각한다고 했다. 하지만 발신자는 스스로 부끄러워 식은땀이 흐르는 것을 이길 수 없다며 미안한 마음을 전했다. 발신자는 답장하지 못한 미안함을 표한 뒤에 수신자의 안부를 물었다. 수신자가 있는 그곳은 지금 몹시 심한 추위에다 갑자기 몰아치는 변방의 바람과 서리가 남쪽 지방과 다를 텐데 政務를 보고 일상생활을 하는데 어떻게 지내느냐며 안부를 물었다. 이어서 수신자가 고요히 지내면서 글을 마음속에 담고서 한가로이 지낼 것을 생각하니 멀리서 위로가 되면서도 그리워지는 마음을 이루다 말로 할 수 없다며 발신자는 수신자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전했다. 이어서 발신자는 자신의 근황을 전했다. 그에 따르면 발신자는 아버지의 병환으로 이것저것 애가 타는데다 엄청난 기근이 더해져 앞으로 굶주림이 닥쳐올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자신은 평소 이에 대비하여 도랑에 처박혀 귀신이 되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고 해도 장차 굶주림을 완전히 면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몹시 불쌍하고 가엽게 되었으니 어찌해야 하겠느냐며 미래의 불안에 대해 토로했다. 이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발신자의 아이들이 나누어 흩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려했던 것은 바라는 대로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그 아이들이 잇달아 병을 앓아 뼈만 앙상하게 비쩍 마른 모습이라 보기에 매우 가엽다고 했다. 발신자는 이상으로 자신의 근황을 전한 뒤에 수신자가 세모의 추운 날씨에 몸을 잘 보살피고 소중히 여겨서 먼 곳에서 그를 사모하는 자신에게 위로가 되어주기를 기원한다고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만 줄이니 부디 實情을 굽어 살펴주기를 바라며 삼가 절을 하며 사례의 편지를 올린다는 말로 끝을 맺었다. 그러나 발신자는 追伸으로 일전에 보내준 布疋을 감사히 잘 받았다며 수신자의 선물에 대한 고마움을 전했다. 이어서 발신자는 아버지가 병환 중이라 淸蜜을 구할 길이 없어서 그러니 괜찮은 청밀 1되를 인편에 포목과 함께 보내주기를 바란다는 부탁을 덧붙였다. 이 편지에서 발신자는 그 이름이 "汲"이고, 수신자는 "通川 政軒"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정헌이란 말은 城主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通川 政軒"이라는 말은 通川郡守를 뜻한다. 이 편지의 수신자가 유정원이라고 하는 까닭은 그가 1754년 12월에 통천군수로 부임하였고, 이 편지는 그가 부임한지 1년쯤이 되는 을해년(1755) 11월에 쓰였기 때문이다. 이 편지에서 발신자가 "지금 몹시 심한 추위에다 갑자기 몰아치는 변방의 바람과 서리가 남쪽 지방과 다르다"고 한 것은 강원도 통천 지역의 날씨를 낸 것이다. 그리고 이 편지에서 발신자는 자신을 "査弟", 수신자인 유정원을 "査兄"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이것은 바로 두 사람이 사돈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보면 발신자는 유정원의 맏아들인 柳震休의 丈人인 成汲인 것이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古文書集成 四十四』 -安東 全州柳氏篇 1(水谷宗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全州柳氏大同譜』,
『三山集』,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通川政軒 査兄謹拜謝上狀   前後 下札不啻綢繆而每違歸便迄未修 謝 大度之下宜當曲恕不勝悚汗卽日寒 威阧嚴塞北風霜異於南土未審 政履起居何如想惟 軒屛靚謐含書多閑遠慰且傃 無任區區査弟親憂種種煎迫之中加以大 侵翳桑將迫平生自待不至爲塡壑之 鬼將不得免焉殊可矜惻亦將奈何迷 息無事分脫所得亦不負所望而渠也 連有疾恙骨立癯形見甚憫迫耳 餘萬惟祝歲暮窮陰加護 崇珍慰此遠慕不宣伏惟 情下照謹拜謝上狀 乙亥至月卄一日 査弟 汲頓   前惠布 疋伏受多感耳親患中淸蜜無計得 用一升因便俯惠竝布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