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95년 강심(姜鐔)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F.1895.4717-20160630.y161001023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강심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95
형태사항 크기: 21 X 39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수곡면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 주진 전주류씨 삼산종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안내정보

1895년 강심(姜鐔) 서간(書簡)
1895년 5월 16일, 강심이 전주 유씨 삼산종가의 사돈에게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알리는 답장이다. 발신자는 수신자가 헤어진 지 얼마 되지 않아 수신자의 편지를 보냈는데 사람을 만났을 때 답장을 하지 못해 안타깝고 송구스러웠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 사람의 내방으로 수신자의 대략적인 근황을 듣게 되었으나 상세한 정황을 알지 못해 오히려 유감스러웠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수신자의 안부와 저번의 편지에 병으로 고생스러워하던 것은 어떤지 물었다. 이어서 발신자는 자신의 근황을 알렸다. 여행을 다녀온 것에서부터 손자를 얻은 일, 불만스러운 세사, 그리고 이장을 위해 묏자리를 보는 일 등을 전했다.
이 편지는 피봉이 보관되어 있지 않아 수신자가 누구인지 알 수는 없지만, 편지의 말미에 발신자가 자신을 "사제"라고 하고, 본문에서 수신자를 "오형"이라고 지칭한 것을 보면 둘 사이는 연배가 비슷한 사돈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편지의 내용을 보면 발신자가 자신의 근황을 아주 소상하게 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둘은 어려운 사돈이 아닌 친한 친구와 같은 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全州柳氏大同譜』,
『안동시사』, 안동시, 안동시청, 1999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95년 5월 16일, 姜鐔이 全州 柳氏 三山宗家의 査頓에게 安否를 묻고 자신의 近況을 알리는 答狀
1895년 5월 16일, 姜鐔이 全州 柳氏 三山宗家의 査頓에게 安否를 묻고 자신의 近況을 알리는 答狀이다.
이 편지는 먼저 답장을 쓰게 된 사연으로부터 시작된다. 거기에 따르면 헤어진 지 얼마 되지 않아 수신자의 편지가 거듭 이르렀는데, 때마침 海行이라는 사람을 만났을 때 답장을 하지 못해 안타깝고 송구스러웠다고 하였다. 그런데 뜻밖에도 그 사람의 來訪으로 수신자의 대략적인 근황을 듣게 되었다고 하였다. 하지만 상세한 정황을 다 알지 못해 오히려 유감스러웠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근래에 편안히 건강하게 지내며 크고 작은 일들을 잘 보살피고 계신지 수신자의 안부를 물었다. 아울러 지난번 편지에서 병으로 고생스러워하던 것은 근래에 어떤지를 묻고, 그것은 시간이 흐른다고 나을 병이 아니라며 걱정하는 마음을 보였다. 이렇게 발신자는 수신자의 안부를 묻고 이어서 여러 가지 자신의 근황을 전했다. 발신자가 전하는 그의 근황으로는 먼저 열흘간 신기루와 같이 고래가 물을 마시고 거북이 헤엄치는 광경을 보고 돌아왔는데, 한번쯤 묵을 만한 것이었다고 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단오 날에 손자를 얻었는데, 용의 비늘과 무소의 뿔을 가진 것과 같은 비범하고 훌륭한 인물이라며 스스로 남들에게 자랑을 하지만 큰 탈이 없이 자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서 보고 들을 것을 말하지 않으려했으나, 오염된 한 가지 일이 피부를 벗겨내고 뼈 속까지 쓰며드는 근심이 되었다며, 이렇게 되면 우리는 오랑캐의 풍속을 따라야 하고, 삼천리 禮義의 나라와 500년 동안 지탱해온 士大夫들이 하루아침에 오랑캐와 금수의 영역에 들어가지 않겠느냐며 나라의 걱정을 전했다. 아마도 이것은 편지가 쓰인 직후에 있은 乙未事變이나 斷髮令과 같은 사건들과 연계해 보면 외세의 침입에 대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짐작된다. 마지막 소식으로는 移葬하는 묏자리에 대해 地官인 趙師奉化에 있는 한 곳을 지적해 주었으나, 자신은 가보지 않았으나 가보아도 알 수 없으니 수신자가 한번 보고 평가해주었으면 한다는 말을 전했다. 그리고 편지의 말미에는 피곤을 떨쳐내기 어려워 정신이 안개가 자욱하게 낀 듯하여 전하는 말 중에 한 가지도 특별한 것이 없으니, 잘 헤아려주기 바란다는 말로 편지의 끝을 맺었다.
이 편지는 피봉이 보관되어 있지 않아 수신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명확하게 밝힐 수는 없다. 다만 편지의 말미에 발신자가 자신을 "査弟"라고 하고, 본문에서 수신자를 "吾兄"이라고 지칭한 것을 보면 둘 사이는 연배가 비슷한 사돈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편지의 내용을 보면 발신자가 자신의 근황을 아주 소상하게 전하고 있는데, 이것을 보면 둘 사이는 어려운 사돈이 아닌 친한 친구와 같은 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 박대현, 아세아문화사, 2010
『全州柳氏大同譜』,
『안동시사』, 안동시, 안동시청, 1999
1차 작성자 : 하창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奉別未幾華緘屢至而適値
未卽修覆尤增悵悚匪意此兄
來訪槩悉近間節度而猶不能盡
知其詳爲可恨伏詢比來
靖裏體事萬衛大小各眷竝想前
書時否賤嬌所苦近更何如此非時
日可到之祟而目下唯憂却是不
安遠外䑛念亦自無容允卽
積歲一枉叔與其大人而薄待之
徒步出送又未凡別渠雖無烈互
安得不歉悵耶査弟妄矣一行浪費
旬日於鯨吸鰲躍蜃樓諸觀而歸
可謂了一宿債又得一孫於端陽
節日而龍鱗犀角宛是非凡
大物自云之餘堪詫於人挽憂亦無大
頉諸集姑依前耳時聞曾不欲耳
聞口道而第染黑一
事卽剝膚逼骨之
憂被髮左袵須第
近之三千里禮義之
邦五百年衣冠之族
一朝復入於夷狄禽獸
之域耶痛哭之營
緬事趙師今已尋忡
別時又指一處於奉化
地而姑未往見雖往見
知下盲眼何能的知其
合用耶若似吾兄一
評始東?分何奉之或
有罪律之行無情一勞如何之餘憊
困難振精神昏霧萬不特一惟希
黙照乙未五月十六日査弟
姜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