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0년(헌종 6)에 작성 된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G.1840.4711-20180630.Y185040100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부조기
작성주체 세덕사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작성시기 1840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0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현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안내정보

1840년(헌종 6)에 작성 된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
자료의 내용
1780년(정조 4)에 작성 된 본 문서인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은 전답, 노비, 전답 매득 현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전답안은 세덕사 설립 직후의 전답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본소와 별소를 합쳐 총 3結 81卜 3束이다. 노비는 奴 4명, 婢 4명 총 8口의 노비가 수록되어 있다. 노비는 婢 39세 設今과 婢 80세 伊의 소생이다. 세 번째는 移買를 통해 확대한 전답은 모두 32두락 5도락이었다. 이러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덕사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행사와 공사 및 물품 구입 등으로 지출되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40년(헌종 6)에 작성 된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
자료의 내용
세덕사는 조선시대 경주지역을 대표했던 驪州李氏 가문에 의해 운영된 문중사우로 1779년(정조 3) 慶州府 杞溪面에 입향조인 李蕃과 그의 2자인 李彦适 부자를 배향자 설립한 이후 1868년(고종 5) 毁撤될때까지 약 90년 간 존속하였다. 세덕사의 경제적 기반은 전적으로 배향인물의 후손인 여주이씨 문중에 의해 형성되었다. 문중 사우에서 출발했던 만큼 건립과정에서 문중 외부에서의 비중 있는 지원을 생각하기는 어렵다. 세덕사의 경제적 기반은 田畓, 奴婢, 債錢, 屬村, 屬店 등 다양하지만, 사실상 전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세덕사의 전답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는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1780), 『德淵所小冊』(1816), 『別庫小冊』(1794) 이 있는데,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은 본소와 별소 전답이 모두 기재되어 있으나, 『德淵所小冊』은 본소 전답, 『別庫小冊』은 별소 전답만 기재되어 있다. 1840년(헌종 6)에 작성 된 본 문서인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은 전답, 노비, 전답 매득 현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전답안은 세덕사 설립 직후의 전답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본소와 별소를 합쳐 총 3結 81卜 3束이다. 세부적인 현황을 結 - 卜 - 束 단위로 살펴보면, 전자는 大棗旨員(0-32-6)·石橋員(0-11-5)·野自莫員(0-7-6)·蛇洞員(0-4-4)·鳧洞員(0-10-5)·魚乙見員(0-14-9)·松下員(0-8-2)·佳林員(0-22-5)·玄風員(0-27-6)·安北初(0-2-6)·野馬里員(0-24-7)·柳坪員(0-10-4)·豆今員(0-27-3)·尊塘員(0-27-0)·安康 介柳員(0-16-0)·長命登員(0-15-6)·外豆今員(0-18-8)·德洞 堤來員(0-17-2)·德洞員(0-7-7)이며, 후자 즉 別庫는 石橋員(0-9-8)·大棗員(0-8-6)·魚乙見員(0-20-5)·松下員(0-18-6)·豆今員(0-10-1)·蘆旨員(0-23-6)이다. 이들 전답은 대부분 여주이씨 족계인 香壇契와 無忝堂契에서 所納된 전답으로, 전답의 분포지는 安康, 杞溪, 竹長 등 여주이씨의 근거지인 경주 府北 지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세덕사는 이렇게 확보된 전답을 바탕으로 이후 買得과 移買를 통해 보유 전답을 확충해 나갔다. 그 결과 1794년에는 別所의 전답이 4결 94부로 크게 증가했으며, 1816년까지 본소 전답도 5결 35부 2속으로 확충되었다. 이렇게 볼 때 18세기후반 볼 세기 초에는 본소와 별소를 합친 전답 규모가 약 10결 정도였다고 생각된다. 물론 별소 전답의 경우 배향 인물의 후손들에 의해 조성된 일종의 기금 형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10결 내외의 전답을 모두 세덕사 소유로 볼 수는 없지만 비슷한 시기 설립되었던 미사액 서원이나 사우의 보유 전답과 비교해 보면 규모가 큰 편이었다. 다음은 부록된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1780)에는 奴 4명, 婢 4명 총 8口의 노비가 수록되어 있다. 노비는 婢 39세 設今과 婢 80세 伊의 소생이다. 전자 소생에는 奴 12세 音乭·婢 6세 音娘·婢 3세 文必이며, 후자 소생에는 奴 25세 丁述·婢 23세 丁心·奴 21세 丁業이다. 이들 奴婢 8口는 香壇契에서 所納한 것이다. 세덕사 소유 노비는 10구 미만으로 전답에 비해 매우 규모가 적은 편이다. 서원·사우 노비의 경우 17세기이전까지는 전답과 더불어 2대 경제적 기반으로 중요시 되었으나, 18세기 이후 노비도망이 광범위해지면서 점차 재산으로서의 가치가 현격히 떨어지자 각 서원·사우는 전답 확보에 주력하였다. 세덕사 보유 노비 규모가 전답에 비해 극히 적은 것은 설립 당시의 이러한 사정과 관련이 있다. 한편 丙子(1816) 정월 경주부 세덕사 戶口單子에는 7口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노비들은 奴는 庫子 또는 庫直으로 각종 잡역을 담당하였고, 婢는 飯婢 또는 食母로써 客來時나 세덕사의 大小事 때 供饋를 맡았다고 보인다. 이와 같이 세덕사 노비는 재산으로서의 의미보다는 사우 내 각종 잡역을 담당할 최소의 노동 인력으로 확보되었던 것이다. 세 번째는 보유 전답을 확대해 간 移買 현황이 기록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塔洞中洑員 9斗落을 壬寅년 봄 매득, 德洞加岩外員 量字를 2두락을 계묘년 정월 自備 매득, 中里員必字 14두락을 갑진년 정월 105냥에 매득, 道只員壹字 5두락을 갑진년 3월 40냥에 매득, 德洞龍方員長字을 2두 5도락을 갑진년 3월에 21냥에 각기 매득했다. 이렇게 전답매입 등으로 확보된 재산은 이후 세덕사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행사와 공사 및 물품 구입 등으로 지출되었다. 세덕사에서 행해지는 행사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매년 개최되는 春秋享禮와 매년 정월 내․외 후손들이 참여하는 正朝參謁이 있다.
자료적 가치
세덕사의 경제적 기반을 담당하였던 토지와 노비는 운영에 있어 절대적이었다. 조선후기 문중사우 경제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世德祠田畓案 附奴婢案
庚子九月初二日
每北二同良洞
大東束旨員謹字 十七畓七卜
十八畓三卜五 四斗落
二十三畓十三卜丅
二十四畓八卜九十八斗落【甲辰三月日受價七十二兩移買次放賣
無添堂所納 達田齋舍買】
石橋員四十二畓十一卜千五斗落【壬寅二月日受價伍拾伍兩냥移買次斥賣】
四十五畓九卜八丨四斗落 別庫
野自莫員五十一畓七卜六十四斗落
蛇洞員寵字六十畓四卜四十一斗五斗落
大棗員勅字十九畓八卜六十三斗落別庫
鳬洞員目令字十五畓十卜五十四斗落
魚乙見員十九畓十四卜九十八斗落別庫
二十畓五卜六別庫
音字二十四畓二卜
二十五畓十卜九
二十六畓二卜四斗落無添堂所納
松下員察字十三畓八卜二十三斗落無添堂所納
十四畓十卜六
十六畓八卜七斗落別庫
佳林員理字二十三畓二十二卜五十七斗落辛亥正月受價伍拾兩移買次斥賣
玄風員嘉字四十六田六卜五十斗落丁未正月放賣十五兩移買寺基員田十三斗落只
鑑字五十一畓什一卜八十四斗落
辨字二十四畓九卜三
安北初謙字十五畓二卜六十五斗落
野馬里員祗字九畓二十卜三
十畓四卜四壬寅二月受價七十兩七斗落移買次斥賣
柳坪員近字十畓十卜四十三斗落
安北初
豆今員洲字二十畓四卜三
二十五畓十八卜四
二十六畓四卜六十二斗落
尊塘員赤字四十二畓十三卜六
四十三畓十三卜四 八斗落甲辰三月受價五十兩移買次放賣玉院刊所賣
豆今員譽字二十畓十卜三斗落別庫
蘆旨員主字三十畓十七卜九
三十一畓五卜七五斗落別庫無添堂所納
安康介柳員精【改減字】字四十三畓十三卜八
四十四畓一卜八
四十五畓一卜四十六斗落??雲位卜數不得來去故光量卜伍拾伍?伍??卜而草則??拾生者甲辰三月受價五十五兩放賣移買玉院刊所七斗
安西初
長命登員龍字四十七畓拾三卜六
五十三畓二卜五斗落
安南初
外豆今員八字八畓十一卜三四斗落
訓字五十一畓七卜五三斗落甲辰閏三月受價七十六兩放賣於別庫用改題飯享禮時
杞北初
德洞堤內員使字十畓六卜三
二十七畓十卜九七斗落
德洞員難字百三十六田四卜四
百三十八田三卜三八斗落
已上田四十五斗落香壇契所納
畓一百三十四斗五刀落內
二十斗落無添堂契所納
百十四斗五刀落香壇契所納
德洞員難字二十三田一卜
二十四田四卜二
二十四田七卜十二斗落


奴婢案
婢設今年三十九壬戌
同婢一所生奴者音乭年十二己丑
二所生婢者音娘年六乙未
三所生婢文必年三戊戌
婢八十伊二所生奴丁述年二十五丙子
三所生婢丁心年二十三戊寅夫世太【一所生女世丹年十四 二所生女世罵年十二 三所生女桂令年十 四所生女桂心年八 五所生奴雲大年五 乙卯年價給】
四所生奴丁業年二十一庚辰
已上奴四口婢四口香壇契所納
移買秩
塔洞中洑員改字二畓二
三十畓二十一卜九
三十二畓九卜八九斗落壬寅春買得
德洞加岩外員量字十九田四卜八二斗落癸卯正月本所自費買得植松
一田二卜六
四內田二卜六庖廚及麻田
中里員必字三十一畓十一卜三
三十三畓十二卜七
三十四畓七卜七
四十二畓三卜五
六畓一卜一
八畓一卜八合十四斗落三十三庚給價甲辰正月買得
道只員壹字十一畓一卜四
十二畓十卜三合五斗落四庚給價價四十兩甲辰三月買得
德洞龍方員長字五十八畓二卜二
五十九畓八
六十畓二卜二合二斗五刀落二庚給價二十一兩甲辰三月買得
中里員必字三十畓六卜三二斗五刀落十二庚給價十六兩甲辰三月買得
寺基員量字二十二田九卜九斗落給價七兩
二十六田四卜四四斗落給價十一兩內三兩不足別價貸給丁未正月買得
射亭員靡字十五畓十七卜六斗落二十庚給價五十五兩價錢則良洞移買畓七斗落價六十兩內五十五兩給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