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甲午年 11월 19일~丁未年 윤3월 25일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심원록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G.0000.4725-20180630.Y185020102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8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甲午年 11월 19일~丁未年 윤3월 25일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심원록
자료적 가치
현재 옥동서원에 현전하는 심원록은 모두 9책으로 본 자료는 그 중 하나로 갑오 11월 19일부터 정미 윤3월 25일까지 작성된 것이다. 세 번째 수록된 인사인 申濬이 1714년(숙종 40) 갑오 增廣試에 진사 3등에 입격하고 바로 新恩차 방문했기 때문에 갑오년은 1714년이다. 즉 14년간 서원을 방문한 23명의 명부이다. 기재 방식은 위에 언급한 방식과 유사하나 자료의 풍성함을 더해줄 방문 소회를 담은 詩나 동행자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 서원 방문의 목적은 참배가 주된 이유이며 생원·진사 입격 후 방문 한 경우가 2회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방문자들을 그 인원과 성관을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興陽 李 3명, 中和 楊 2명, 高靈 申·國原(忠州)唐城 洪·文城 柳·聞韶 金·密城 朴·封城 徐·永山 鄭·完山 李·完山 崔·晉陽 鄭·忠原 崔·苞山 郭·豐山 金·豐壤 趙·夏山 曹·河城 鄭·黃澗 南 각 1명 순이다. 이상 20개 본관의 방문이 있었고 후손으로는 외예로 기재된 鄭德洙가 유일하다. 한편 방문자들의 거주지가 적기되어 있는 고을은 경상우도星州·安陰, 충청도永同·連山·黃澗 그리고 경기 振威에서 방문하였다. 거주지를 기재하지 않은 인사들은 상주지역 인사로 보인다. 이들 가운데 지방관의 방문은 전혀 보이지 않고, 그나마 앞서 언급한 신준과 충주박씨로 생원에 입격한 朴守謹 외에는 특별히 주목되는 인사는 보이지 않는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甲午年 11월 19일~丁未年 윤3월 25일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심원록
자료적 가치
서원은 양반이라면 방문하고 싶은, 또 방문해야 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새로 도임한 관찰사, 고을 및 인근 고을의 수령·察訪·都事 등도 서원에 알묘하고 부조하였다. 지방관들뿐만 아니라 소·대과에 급제한 사람들도 新恩 인사, 전직관료, 유학 등도 거주지에 관계없이 서원에 들러 알묘하고 갔다. 후손·방손·外裔들도 끊임없이 서원을 방문하였다. 바로 심원록은 서원 방문자들의 이름을 적은 방명록이다. 심원록은 임원록과 함께 서원에서 중요히 취급했던 문서로 그 등재 여부도 엄격히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소수서원 심원록 표지에 本官 士人・서얼・中人은 勿書, 표제 인물・鄕員・本府人은 疊書한다는 문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色目이 判異하면 이름을 기재하더라도 인위적인 삭제를 가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서원 방문자들의 심원록 작성은 상식화 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참배 후 본관・이름・관직・字・날짜・방문목적・기타 등의 내용을 적는다. 현재 옥동서원에 현전하는 심원록은 모두 9책으로 본 자료는 그 중 하나로 갑오 11월 19일부터 정미 윤3월 25일까지 작성된 것이다. 세 번째 수록된 인사인 申濬이 1714년(숙종 40) 갑오 增廣試에 진사 3등에 입격하고 바로 新恩차 방문했기 때문에 갑오년은 1714년이다. 즉 14년간 서원을 방문한 23명의 명부이다. 기재 방식은 위에 언급한 방식과 유사하나 자료의 풍성함을 더해줄 방문 소회를 담은 詩나 동행자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 서원 방문의 목적은 참배가 주된 이유이며 생원·진사 입격 후 방문 한 경우가 2회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방문자들을 그 인원과 성관을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興陽 李 3명, 中和 楊 2명, 高靈 申·國原(忠州)唐城 洪·文城 柳·聞韶 金·密城 朴·封城 徐·永山 鄭·完山 李·完山 崔·晉陽 鄭·忠原 崔·苞山 郭·豐山 金·豐壤 趙·夏山 曹·河城 鄭·黃澗 南 각 1명 순이다. 이상 20개 본관의 방문이 있었고 후손으로는 외예로 기재된 鄭德洙가 유일하다. 한편 방문자들의 거주지가 적기되어 있는 고을은 경상우도星州·安陰, 충청도永同·連山·黃澗 그리고 경기 振威에서 방문하였다. 거주지를 기재하지 않은 인사들은 상주지역 인사로 보인다. 이들 가운데 지방관의 방문은 전혀 보이지 않고, 그나마 앞서 언급한 신준과 충주박씨로 생원에 입격한 朴守謹 외에는 특별히 주목되는 인사는 보이지 않는다.
자료적 가치
심원록 분석은 그 서원의 위상을 반영하는 일정한 窓이 될 수 있는데 본 자료를 통해서 옥동서원이 사액받기 이전 대외 인적 네트워크 파악에 일정한 의의가 있다. 또한 옥동서원의 학맥과 인맥, 정치적 성향을 가늠하게 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尋院錄
甲午十一月十九日丁巳奉
河城鄭時澄字洞彦 庚戌 居永同甲午十二月初七日來謁
忠原崔柱國士擎 戊辰 甲午十二月二日謁
高靈申濬文遠 戊午 甲午十二月晦日新恩來謁
文城柳日彩文叔 庚申 居連山乙未六月初二日來謁
國原朴守謹伯恭 癸丑 居黃澗乙未正月七日以新恩來謁
封城後人徐大海聖巨 己酉 乙未正月初十來謁
夏山來謁
完山李漢軫君式 癸酉居安陰
聞韶金德粹潤彦 乙亥居星州
豐山金瑞炯汝輝 壬申
唐城洪景濟丁未九月初三日過謁
豐壤趙自愼九月望日
興陽李宏至同日 祗謁
李增幹
黃澗南宗夏時彦 庚申 丁未九月二十五日
密城朴慓敬之 辛巳
外裔晉陽鄭德洙聖宗 乙酉 丁未三月初八日來謁
永山鄭欽章士成 戊寅 丁未三月十三日來謁
完山崔遇佰常甫 甲戌 湖西連山 三月望日來謁
興陽李增芳君勉 己巳 三月二十日祗 謁
苞山郭師宗壬申 汝泰 居??同年閏三月十日日來
中和楊瑜乙巳 君玉 月日居振威
楊鳳來庚辰 來瑞 同年閏三月二十五日來謁
靑朱菊月重陽後七日改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