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4년(순조 14) 정월 29일 작성된 노비매매 문서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E.1846.4711-20180630.Y1850401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노비매매명문
작성주체 김종연, 이재건, 장충택, 이득성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작성시기 1846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현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안내정보

1814년(순조 14) 정월 29일 작성된 노비매매 문서
자료의 내용
본 자료는 1814년(순조 14) 정월 29일 李在健의 노비매매 명문이다. 본 문서 관련해 점련 문서는 모두 4건이 존재한다. 명문의 내용은 경주에 거주하는 유학 이재건이 靑松에 거주하는 유학 김종연에게 婢 42세 海元과 그 소생 첫째 奴 41세 千海 및 둘째 7세 千愛 3口를 동전 80냥에 매매하고 있다. 그리고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후에 혹시라도 잡담이 있으면 이 계약서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 잡을 일'이라는 문구를 적기하였다. 문서 말미에 매도자 즉 婢主 金宗演, 증인 閑良 蔣忠宅, 필집 유학 李得性의 성명 및 수결이 기재되어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의례 역주2,향음주례 향사례』, 박례경 외, 세창출판사, 2013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14년(순조 14) 정월 29일 작성된 노비매매 문서
자료의 내용
1814년(순조 14) 정월 29일 李在健의 노비매매 명문이다. 본 문서 관련해 점련 문서는 모두 4건이 존재한다. 명문의 내용은 경주에 거주하는 유학 이재건이 靑松에 거주하는 유학 金宗演에게 婢 42세 海元과 그 소생 첫째 奴 11세 千海와 7세 둘째 千愛 3口를 동전 80냥에 매수하고 있다. 노비 매매 이유는 要用所致 즉 구체적으로 적시해 놓고 있지 않지만 이는 조선후기 매매 시 흔히 사용되는 투식이다. 그리고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후에 혹시라도 잡담이 있으면 이 계약서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 잡을 일'이라는 문구를 적기하였다. 문서 말미에 매도자 즉 婢主 김종연, 증인 閑良 蔣忠宅, 필집 유학 李得性의 성명 및 수결이 기재되어 있다. 기타 명문의 일반적인 투식과 동일하다. 조선시대에는 田畓, 奴婢, 家舍 등을 매매하면 100일 이내에 官에 보고하여 立案을 발급받도록 하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 법전 經國大典 戶典 買賣限에 관아의 공증을 통해 소유권 이양 사실을 명확히 하여, 분쟁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만 조선후기에는 주로 노비를 매매했을 경우에만 입안을 발급받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유는 노비는 출산이나 도망으로 인한 숫자나 소유권의 변동 큰 動産이기 때문에 소유권의 귀속관계도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입안은 이상과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고, 뒷날에 증빙하기 위해 문서를 점련해서 立案을 발급한다고 하고 있다.세덕사 소장된 문서이지만 원노비가 아닌 운영을 담당했던 인사의 문서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世德祠 田畓案 附奴婢案에 기재된 노비 중 절반이 15세 미만이며, 세덕사가 보유한 노비가 10구 미만으로 규모가 매우 적은 편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호구단자에 기재된 노비 중 2명은 외지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아 상시로 차역할 수 있는 실재 노비는 더욱 적었다.
자료적 가치
명문 말미에 田主, 증인, 필집인의 성명과 그 아래 각각 수결이 표기되어있다. 명문은 토지·노비매매 등과 같이 거래를 하면서 작성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본 명문을 통해 세덕사의 경제적 기반과 경제활동 양상과 당시 토지의 가격의 동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嘉慶拾玖年甲戌正月二十九日幼學李在健前明文
右明文事叚要用所致不得已自己買得婢海元
年四十二癸巳同婢一所生千每年四十一甲子二所生婢千
愛年七戊辰合三口身乙價折錢文捌拾兩依數捧
上是遣右前後所生及本文記幷以永永放賣爲
去乎子孫中或有雜談是去等以託文記告
官卞正事
婢主幼學金宗演
證人閑良蔣重宅
筆執幼學李得性
淸河官
丁丑九月二十七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