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79년(정조 3) 5월 15일 작성된 토지매매 문서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E.1779.4711-20180630.Y18504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작성주체 명금, 돌이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작성시기 1779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현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안내정보

1779년(정조 3) 5월 15일 작성된 토지매매 문서
자료의 내용
본 자료는 1779년(정조 3) 5월 15일, 田主 奴命金이 전답을 放賣할 때 상전을 대신해 奴乭伊에게 15냥을 받고 작성하여 준 매매문기이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의례 역주2,향음주례 향사례』, 박례경 외, 세창출판사, 2013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79년(정조 3) 5월 15일 작성된 토지매매 문서
자료의 내용
1779년(정조 3) 5월 15일, 田主 奴命金이 전답을 放賣할 때 상전을 대신해 奴乭伊에게 작성하여 준 매매문기이다. 본 문서는 田主 奴命金이 긴요하게 쓸 일이 있어서 德洞 矣難宇石三 傳來田 신이 사들인 石三十八田 3부[卜] 3束의 보리[皮牟] 7마지기[斗落] 곳을 돈 15냥으로 값을 정하여 수량대로 받고, 매수인에게 영영방매한다는 내용이다. 해당거래와 관련된 사람들이 차후에 본 거래에 대하여 이의나 분쟁을 제기할 경우를 대비해 이를 라고 표기하였다. 기타는 명문의 일반적인 투식과 동일하다. 이처럼 세덕사는 買得과 移買를 통해 보유 전답을 확충해 나갔다. 그 결과 1794년에는 別所의 전답이 4결 94부로 크게 증가했으며, 1816년까지 본소 전답도 5결 35부 2속으로 확충되었다. 이렇게 볼 때 18세기후반 볼 세기 초에는 본소와 별소를 합친 전답 규모가 약 10결 정도였다고 생각된다. 물론 별소 전답의 경우 배향 인물의 후손들에 의해 조성된 일종의 기금 형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10결 내외의 전답을 모두 세덕사 소유로 볼 수는 없지만, 비슷한 시기 설립되었던 미사액 서원이나 사우의 보유 전답과 비교해 보면 규모가 큰 편이었다.
자료적 가치
명문 말미에 田主, 증인, 필집인의 성명과 그 아래 각각 수결이 표기되어있다. 명문은 토지·노비매매 등과 같이 거래를 하면서 작성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본 명문을 통해 세덕사의 경제적 기반과 경제활동 양상과 당시 토지의 가격의 동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김성갑,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乾隆四十四年己亥五月十五日奴者旨乭伊
處明文
右明文爲臥乎事段矣上典宅要用所
致勢不得已傳來田德洞矣難宇石三
十六田賣買石三十八田三卜三束皮牟
七斗落只庫乙價折錢文拾俉乃
依數捧上是遣右人前永永放賣
爲去乎後日雜談是去等以此卞正
田主奴命金
證僧自活
鄭再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