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기유년(己酉年) 옥산서원(玉山書院) 노비(奴婢) 호구단자(戶口單子)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D.0000.4713-20180630.Y185010702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작성주체 경주부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형태사항 크기: 44 X 49.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안내정보

기유년(己酉年) 옥산서원(玉山書院) 노비(奴婢) 호구단자(戶口單子)
기유년 정월 경주부 북면 안강현 강서 옥산리에 거주하는 옥산서원 수노 강상이 당시의 옥산서원 소속 노비들을 정리하여 경주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 호구단자는 옥산서원 수노를 호주로 표현하고 있듯이 타읍에 거주하는 노비들까지 아울러서 옥산서원 소속임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이들에 대한 부윤의 공증을 목적으로 수시로 호구단자를 제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공증된 노비들은 사망과 도망 및 타읍 거주자는 제외되었다. 그래서 본문에 황색으로 점을 찍은 82구만이 인증을 받았다. 또한 호구단자의 말단에 도망노비들의 명단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도망노비는 오래전에 이탈한 자들이었기에 그 동안에 확인된 그들의 후손 및 거주지를 기록하고 있다. 그것은 당대뿐만 아니라 후일에도 도망노비를 추쇄할 때 공증된 증거자료로 제출하려는 목적이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己酉年 正月 경주부 北面 安康縣 江西 玉山里에 거주하는 玉山書院 首奴 江床이 당시의 옥산서원 소속 노비들을 정리하여 慶州府에 제출한 戶口單子
己酉年 正月 경주부 北面 安康縣 江西 玉山里에 거주하는 玉山書院 首奴 江床이 당시의 옥산서원 소속 노비들을 정리하여 慶州府에 제출한 戶口單子이다. 옥산서원 소속 노비들은 각자 거주지가 다르므로 首奴를 중심으로 일괄 기재한 호구단자이다. 서원에는 이외에도 『奴婢案』을 두고 있었지만, 정기적으로 변동이 잦은 노비들의 현황을 정리하여 경주부윤의 재가를 받고 있었다. 이 호구단자는 노비의 관리 즉 사망, 도망 및 출생 등에 따른 소유권 변경과 유지 등의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다. 기유년 호구단자를 보면 안강의 風憲과 옥산리의 尊位가 해당 내용을 확인한 후 부윤에게 올렸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경주부내에 있는 생존 노비 82口에 대하여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도망 노비와 사망한 노비 및 타읍 소재 노비들에 대해서는 확인을 하지 않았다. 타읍 소재 노비들은 密陽 6구, 彦陽 4구, 慈仁 6구, 義城 2구가 있으며, 안강 大洞에 거주하는 노비 6구도 누락하였다. 이처럼 사망과 도망한 노비를 제외하고 생존노비들은 모두 106구가 확인된다. 한편 도망한 노비들은 별도로 逃亡奴婢秩에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호구단자가 작성되기 6년 전인 甲辰年에 도망한 婢 点玉(52세)과 1소생 奴 乭作(22세) 등 2구는 호구단자의 본문에 기재하고 있다. 아마도 본 호구단자가 정기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서 부정기적으로 작성되면서 오래전 도망한 노비들과 구분하여 수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도망노지질을 보면 옥산서원에서는 도망한 노비들의 소재지와 그 후손들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대구 銀海, 淸道, 蔚山, 靑松, 安東, 密陽 등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이들을 推刷하기 위해서는 경주부윤뿐만 아니라 해당 고을 수령의 협조가 필수적이었다. 그리고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이들 노비에 대한 소유권 또한 복잡하게 얽혀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옥산서원에서는 이처럼 호구단자를 작성하여 수시로 부윤의 공증을 받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모든 노비들에 대하여 인증을 했던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 호구단자에서도 나타난다. 경주부에서는 경주부내에 생존해있는 노비들에 한하여 옥산서원의 소유임을 인정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도망노비들의 명단을 부기한 것은 비록 세월이 흘러도 奴婢從母法에 의거하여 그 所生들이 모두 서원 소유가 되기에 이들을 포기할 수 없었던 것이다. 옥산서원의 「1696년 노비 준호구」와도 내용 서술에서 차이점이 확인된다. 그것은 노비들의 부모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여자종의 경우에는 소생들의 父親에 대한 기록도 없다. 해당 노비들의 소생들만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첫째 당시 노비종모법 등이 강력히 시행되고 있었기에 기타 가계를 상세히 기재할 필요가 없었으며, 남자종의 경우 서원에서 사역할 경우에만 기재했을 경우이다. 둘째는 별도의 『노비안』이 원내에 비치되어 있기에 지방관에게 올리는 호구단자에는 간략하게 소속 노비와 그 소생의 성명 및 나이, 거주지만을 기재하였을 경우이다. 이외에도 옥산서원 노비는 수백 명이 있었던 것으로 기존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호구단자에는 그 수가 훨씬 적다. 이것은 기부, 매매, 투탁, 출생 등 여러 방식으로 새롭게 편입된 노비만을 대상으로 기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자료적 가치
노비호구단자와 준호구 등의 호적은 전국적으로 매우 드문 사례로서 조선후기 재산관리의 한 형태를 보여주는 자료이자, 옥산서원의 노비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己酉正月日府北面安康縣江西玉山里戶籍單刺
第三統二戶玉山書院首奴江床
婢德今年五十同婢一所生婢奉丹今故二所生奴鶴乭年二十三三所生婢奉耶年十八四所生婢貴德年十四
婢奉牙今故同婢一所生奴英太今年故二所生奴日石年四十二所生婢日太年三十七四所生奴命卜年三十二爲儒
婢件室今年六十六同婢一所生奴者音述年伍十二所生婢者咅开年四十八三所生奴㥧杰年四十四所生奴守卽年三十四
婢石今四十一同婢一所生婢丹龍牙年十九二所生婢某知里年十八三所生奴龍雲年九
奴江雙伊年五十五奴通金年四十七奴奉尙年五十七奴件里太故奴日三今故奴加八里年七十六奴先金年五十四奴件里男年七十奴戒右今故
婢二月一所生婢願牙今故二所生婢元金年六十三所生婢元卽年五十八等二口居密陽
婢願牙一所生婢今卽年四十四二所生奴丁太年四十二三所生奴太元年三十九居卧旨四所生婢莫卽年三十五五所生奴小斤老未年二十四
婢遠卽一所生奴聖安年三十八二所生婢聖今年三十七三所生婢月卽年三十一四所生婢聖丹二十一居密陽
婢今丹一所生婢太月年二十一二所生婢玉音彭年十七三所生奴太权年十一
婢莫卽一所生奴日孫年十婢有德一所生奴炳石年五十四二所生奴命岳年四十二三所生婢首陽代年三十二同婢一所生婢日卽年十三
婢培春年六十一同婢一所生婢攘丹年二十八二所生奴莫乃年十九婢戒丹年七十一一所生奴乭奎年三十三
婢二和年五十八同婢一所生奴所化奉年三十八二所生奴野介年二十三三所生婢江牙之年十八四所生婢基今故五所生婢莫進年十四
婢自作一所生婢丹女年四十二所生婢於乙仁江牙之年三十七丁酉逃亡三所生奴時三年十四丹女一所生奴尙錦故婢者音开一所生奴室江故
奴任龍年六十三婢士德年六十一所生奴次乭伊年三十九二所生奴乭慢伊年三十三三所生婢莫心年二十七
婢貴卽年五十一一所生奴軟乭伊年三十五二所生奴軟奉年三十二三所生奴倡音年三十四所生婢時卽年二十二奴貴三年十三奴貴太年四十七
婢二丹一所生奴廣用年二十九二所生奴廣三年二十六等三口移居義城佳音倉 婢乭進年四十八同婢一所生婢戒心年三十三二所生婢戒月年二十九三所生婢丹心年二十四四所生
奴彦男年十七五所生婢願心年十
婢德分一所生奴有吐乙伊年五十一二所生奴有太年四十五三所生奴久先年四十一四所生婢乆卽年三十一
婢進丹年六十一同婢一所生奴白男等二口居大洞奴世四今故
婢正娘一所生奴時太年二十八二所生婢時花年二十三三所生婢可馬古年十八奴介屎年五十
婢戒娘一所生奴汗中年五十七二所生奴老卽年四十六三所生婢莫女年四十同婢一所生奴時先年十二等四口居彦陽何亭
婢先郞一所生奴乭奎年五十一二所生婢乭卽一所生奴命叔年三十二二所生奴命三年二十五五所生
奴命卜年二十二四所生婢㥧月年十五等六口居慈仁
婢介德二所生婢應牙年二十五婢自連年五十六母婢八今同婢一所生奴石老年二十八二所生奴成杰年二十四三所生奴乭男等四口居大洞
婢点玉年五十二同婢一所生奴乭作年二十二二所生奴乭石今故三所生奴命大今故甲辰逃
婢褐丹今年故母松婢長禮婢小卽年三十一奴世三年三十四母上同
奴時文年二十九母私婢自首去奴三卜年十九自首
婢丁分年二十五母私婢自首婢日丹今故同婢一所生命男年十五二所生奴元來年十三等三口自首
奴厚邑時年六十七奴仁來年四十二
逃亡奴婢秩
婢洪分一所生奴丁金伊年十七二所生奴萬才年五十六等二口乙未逃居銀海
婢正禮一所生婢介德年戊午同婢二所生奴介男婢時今一所生奴戒男二所生奴戒先年戊申婢三月年庚辰婢三眞年庚午同婢尙春父奴於屯伊婢
莫禮母中女奴斗奄伊同婢富禮一所生婢有杕二所生奴有乭伊等二口居淸道邑內
婢月娘一所生婢許眞婢怲梅二所生婢長今三所生奴風山婢鳳今二所生奴仲石
奴莫男一所生婢聖眞奴復土伊年戊子奴禮必奴仲達年七十四同婢仲先年七十五母婢奉玉居蔚山
婢奉春一所生婢甘眞年丙辰二所生奴育生年癸亥居安東日直龜尾細坪婢奉春三所生奴童立年丙寅居眞室洛坪四所生婢莫收年庚午居靑
松馬坪倉村夫朴萬周婢甘眞二所生婢乭女年癸未三所生奴順乭年七十三四所生婢乭分年六十五居安東龜尾婢乭分一所生婢石今婢莫進二所生奴
莫男年癸巳居安東歸處婢奉日一所生婢今眞二所生婢奉圭三所生婢時眞居蔚山農所婢奉月六所生婢莫召史年八十九婢自進年庚寅居蔚山
校洞婢今眞二所生婢自有年己巳二所生婢皐月居蔚山婢時進二所生婢月今年戊子二所生婢楚月年壬辰居蔚山厚坪婢莫召史一所生婢丙卽
年五十一三所生娘岳伊年三十八居蔚山農所奴奉來良妻一所生奴俊介年四十四二所生婢早岳年四十一居兵營早連一所生婢件里德居
蔚山奴乭伊婢命月母婢早春等三口居密陽奴戒先奴戒右前逃亡婢莫女逃亡婢月今前逃亡婢固分一所生婢奉女二所生奴求卩金伊五所生婢奉
月婢太先一所生奴湥涉里婢先女逃亡婢莫香一所生婢今香二所生奴進係居密陽婢仲卜俊良安一所生婢先分二所生奴太先一所生婢俊分三所生
奴莫立逃亡婢愛當一所生婢順化居密陽婢俊邑時三所生婢五女年八十七四所生婢德年八十四婢香代一所生婢每香二所生婢香係三所生婢
丁係婢花分二所生婢粉伊三所生奴者音山伊同婢一所生婢雙玉四所生奴順昌六所生婢命今年前逃
府尹 [吉俠无改印]
尊位李[押]
風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