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3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이능장(李能章) 등 상서(上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B.1883.4713-20180630.Y1880101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내용분류: 법제-소송/판결/공증-상언
작성주체 순찰사, 옥산서원 유생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작성시기 1883
형태사항 크기: 111 X 185.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양동 여주이씨 무첨당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안길

안내정보

1883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유생(儒生) 이능장(李能章) 등 상서(上書)
1883년 8월 옥산서원 유생 이능장·권의석·정익검 외 193명이 연명하여 신향들의 옥산서원 원임직 소통을 강요하는 것에 대한 항의를 위해 경상감사 조강하에 보낸 상서이다. 연명한 자들은 여주이씨가 86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이어서 경주손씨, 경주최씨, 안동권씨, 경주김씨, 영일정씨, 경주·청안·옥구이씨, 이천서씨·영양남씨·곡산한씨, 평해황씨·풍천임씨 등으로 경주부를 대표하는 사족들이 모두 망라되어 있다. 이들 가문이 19세기 말 옥산서원을 실제적으로 운영하였다. 본 상서는 19세기 이래로 수십 년간 진행되어온 옥산서원 내부의 적서시비와 관련되어 있다. 서파인 옥산이씨와의 분쟁은 서원 창설 사실, 강당 출입 여부, 향례 참여 여부로 대별된다. 이를 일일이 반박한 옥산서원 유생들은 옥산서원 외에도 다른 지역의 거점서원에서도 서파들을 원임으로 선발하지 않음을 사례로 들어 반박하였다. 아울러 경주에 남아 있는 서악서원과 옥산서원, 향교의 경우 옥산서원을 제외한 두 곳이 이미 서파인 신향들에 의해 장악되었음을 들면서 옥산서원이 기존 사족들인 구향들의 거점으로 남아있도록 호소하였다. 나아가 감사 조강하의 선조인 독암 조종경(1495-1535)과 이언적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내세워 자신들의 주장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감사의 감정에 호소하였다. 이는 감사의 사정에 호소할 만큼 구향들의 입장과 주변 환경이 매우 힘들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18~19세기 慶州 玉山書院 院任職을 둘러싼 嫡庶간의 鄕戰」, 『古文書硏究』16·17, 이수환, 韓國古文書學會, 2000
『옥원사실(玉院事實)』, 경주 여주이씨 무첨당 소장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83년 8월 玉山書院 儒生 李能章·權宜奭·鄭益儉 외 193명이 연명하여 新鄕들의 玉山書院 院任職 疏通을 강요하는 것에 대한 항의를 위해 慶尙監司 趙康夏에 보낸 上書
1883년 8월 玉山書院 儒生 李能章·權宜奭·鄭益儉 외 193명이 연명하여 新鄕들의 玉山書院 院任職 疏通을 강요하는 것에 대한 항의를 위해 慶尙監司 趙康夏에 보낸 上書이다. 연명한 자들은 驪州李氏 86명, 慶州·淸安·沃溝李氏 등 21명, 慶州孫氏 18명, 慶州崔氏 12명, 安東權氏 8명, 慶州金氏 7명, 迎日鄭氏 6명, 利川徐氏·英陽南氏·谷山韓氏 각 5명, 平海黃氏·豐川任氏 각 4명, 牙山蔣氏·慶州朴氏 각 3명, 慶州朴氏·豐山柳氏 각 2명, 寧越辛氏·昌寧曺氏·神光陳氏·南陽洪氏 각 1명 등이다. 이들 가문이 19세기 말 옥산서원을 실제적으로 운영하였으며, 그 수만큼 영향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상서는 19세기 이래로 수십 년간 진행되어온 옥산서원 내부의 嫡庶是非와 관련되어 있다. 庶派인 玉山李氏와의 분쟁은 서원 창설 사실, 강당 출입 여부, 향례 참여 여부로 대별된다. 본 상서를 보면 196명이 연명하여 경상감사에게 상서를 올리기 이전에 서파에서 상서를 올려 그들의 疏通을 허락하는 題音을 감영으로부터 받고 이를 근거로 적극적으로 院任職 진출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옥산서원 유생들은 서원 창설은 건립당시의 경주부윤 이제민과 조정, 관찰사, 인근 수령 및 鄕父老 들의 도움으로 건립되었음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강당 출입 역시 글을 짓고, 술을 마시고, 음복을 하는 모든 일을 차별하지 않고 同席 해왔다고 했다. 다만 향례에 참석하는 것에 차별이 없지 않았지만, 正祖의 교지가 있은 후부터 향례시 1~2 자리에 그들을 차정하여 함께 향례를 진행해왔다고 했다. 나아가 나라의 법이 一新하여 사람을 쓰는데 귀천에 구애받지 않는다고 했지만, 자신들은 일신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며, 儒宮에서는 오로지 가문만을 본다고 하였다. 또한 서원에는 서원의 법이 있어서 서원에서는 그것을 쓰는데, 院規는 서원 건립 당시 경주부윤 李楨이 李滉에게 문의하여 제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에 따르면 "中人과 庶孼은 비록 大小科에 합격하더라도 함부로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지 말라(中人庶孼 雖大小科 勿許濫入)"라는 12글자를 편지로 써서 보내왔기에 특별히 薦士錄의 첫 장에 게재해 두었다고 하였다. 신분에 차별을 두지 많고 원임직에 소통하라는 국법을 서원의 원규와 구분하여 자신들의 처지를 변호하였다. 그리고 유생들의 주장이 자신들이 임의로 만든 것이 아니라 이황이 제정한 것이라 하여 그의 권위를 이용하였다. 나아가 庶流들의 원임 소통을 막는 것은 자신들만이 아니며 李珥를 제향하는 石潭書院, 曺植을 제향하는 德川書院, 예안의 陶山書院, 안동의 屛山書院, 현풍이 道東書院 등 선현을 제향하는 모든 서원에서 서류의 원임 참여를 제한한다고 했다. 또한 경주에 남아있는 서악서원과 향교는 이미 서파들이 장악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옥산서원마저 서파들에게 넘어간다면 기존의 사족 즉 舊鄕들이 의지할 곳이 없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옥산서원 유생들은 상서의 말미에 관찰사 조강하의 先祖인 獨庵 趙宗敬(1495-1535)을 을사사화 당시 이언적이 伸冤하였던 인연을 언급하였다. 관찰사와 옥산서원과의 관계가 특별함을 내세워 감정에 호소한 것이다. 이에 관찰사는 판결문에서 원유들을 달래며, 그들이 이야기하였던 퇴계가 정하였다는 조목은 자신도 몰랐던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천거나, 고강하는 것은 사림의 공의를 따라서 하는 것으로서, 더욱이 新儒들의 일은 더욱 공의에 따라 행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번의 옥산서원 일은 신유들이 공의를 무시하고 임의로 舊任을 교체하고, 스스로 유사라 칭하며, 고강이나 服禮하는 일도 없었으니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관에서 엄하게 타일러 물러나게 하고, 공의를 기다려서 일을 처리하도록 하되, 이후에도 같은 일이 일어난다면 엄하게 처벌하도록 당부했다. 나아가 제음이 당도하는 즉시 신유에게 보내어 그들을 깨우치고, 더하여 그들이 관첩을 무시하지 않도록 끝까지 시행하고 지켜보도록 했다. 관찰사는 이처럼 新儒들이 물러나는 것으로 사태를 정리하고자 했다. 한편으로는 신유들을 힐책하는 것이지만 그들이 원임으로 차출되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명시하지 않았다. 즉 공의를 거쳐서 일이 추진되도록 당부하였던 것이다. 이는 당시 官에서 신유들의 원임직 진출을 용인하고 있었던 사회적 사정을 알려주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향후 이 문제가 더욱 촉발될 여지를 남겨 둔 것이다. 실제로 이후부터 강력하게 전개된 신유들의 원임직 허통 요구는 이처럼 관의 미온적 태도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도 볼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이 상서는 19세기 말 옥산서원의 원임직 소통을 두고 발생하였던 적서시비에 관한 것이다. 당시 시비의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18~19세기 慶州 玉山書院 院任職을 둘러싼 嫡庶간의 鄕戰」, 『古文書硏究』16·17, 이수환, 韓國古文書學會, 2000
『옥원사실(玉院事實)』, 경주 여주이씨 무첨당 소장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慶州玉山書院儒生李能章權宜奭鄭益儉等謹齋沐上書于
巡相公閤下伏以國有學祀先聖鄕有院祀先賢亦興善物正禮俗之一治也視都知野則據學知院矣而其規模節次夫豈苟然而已哉本州之玉山書院卽先師文元公晦齋李先生
妥虔之所而院規卽退陶老先生所講定者也 我國書院之設昉於順興紹修而繼而有玉山陶山而一省額院遵式此規況本院則李龜巖公楨知府時以薦士節目稟定溪
門者也先生嘗以中人庶孼雖大小科勿許濫入十二字手自書鴈特揭於薦士錄首張而薦法則以己叅外叅妻叅三叅爲截嚴行薦則以赤豆黑豆而心存稱衡手加輪栍其難愼也如是
薦畢則又講家禮子傳等書其鄭重也如是此其大略也噫此院爲何院此規爲何規而使此院而不得爲院使此規而不得爲規必先生之孫在宮墻密邇地而盤據一壑名世以李者
也彼以其名之故而自懷憾恨凡於講薦而香享而沮閙百端呈府而呈營而搆誣千變生等亦苦於應接矣今者窃伏見鄕狀題音幷到付 關帖生等讀之未竟顫汗潑身不知所
謂今不見彼狀生等不能逐條億辨而就以 閤下題關而發明之薦錄也已上陳之矣至如創設斯人也後裔斯人也不得升其堂而叅其享云云 閤下于誰聽聞而遽然有是敎也生等
請片言以白之本院創建在隆慶壬申潛溪公之歿在戊辰則實建院前五年也許草堂書院記曰府尹李公齊閔采鄕十三之願告于監司請建書院躬卜基址出庫餘以主費鄕
老儒士亦多出力其年十月自 朝家劃給田民又方伯地主往來別星旁近守令道內鄕內士林出助院錄今昭昭彼惡敢厚誣其祖沽功先院耶至如升堂云云則又胡其然也凡有院
中文酒儒會香享禮饋而食則同列言則同座不有間隔而猶自因事風生咆哮作力有勝於本孫原鄕之爲儒者矣至如參享云云則生等亦不無別其待之心而自 正廟聖敎
後尤有所異之也廟內一二窠未嘗不與之同周旋則 聖敎之不爲不奉矣後裔之不爲不念矣然則 閤下今日之帖生等前者固已先令而施行之久矣又曰 國制一新用人無方校
院之任何獨防限云云生等又陳之生等僻在海隅去王城千里而遠誠不知有何疏典之一新如何而至於仕宦則用人以門地本自拘狹惟其才無方猗歟盛矣而儒宮段非才能地也非器
局地也惟門地是觀使才如管葛器同殷謝而有參不足則非院儒也使枯談寂寥死法無味而叅爲三具則是院儒也仕之疏顯何關於儒之毁規乎若曰仕以準儒而儒不準仕
以爲罪則生等抑不知今使爲院儒者而珠絡其纓瑁飾其簪出入院中曰以準仕乎則 閤下必不之謂無傷矣而不以罪也若是則宜與夫前之罪者不有反乎儒有儒法用之于儒仕
有仕法用之于仕何得相侵而相視也且有一言較然者今 閤下所呼使下吏其中亦必有當吏與不當吏矣使不當吏而必欲任當吏任則爲當吏者必死不許矣爲是死不許而又訴
之于 閤下則閤下之聽是也又將曰 國制一新汝輩何得守舊膠固也云爾乎 雖復云爾而其爭也不息終不能歸正于 閤下之敎則 閤下又當盡杖當吏而一進其不當吏而任之乎孟子言
擧斯心加諸彼而已 閤下請度之又以他院而證之栗谷石潭南溟德山彼皆承嫡之孫而猶不聞混錄而通同任之矣又不聞自營家處置而區劃之矣如禮安陶山安東
玄風道東其邑其鄕豈無其儒而實未有混錄而通任之矣又有自 營家處置而區劃之矣有一於是而生等若牢守不許則謂生等爲固或可謂生等爲拗亦可而
閤下試思之何獨於生等之州生等之院而使之通使之不守而又威之以罪乎彼亦儒也生等亦儒也生等固不是不如彼之儒而一鄕兩院而彼據西岳一鄕首善而彼據 校宮餘一
而又欲玉山之生等是何儒而必欲無一於所歸乎嗚乎彼道流禪釋工伎倡優各有其徒各有其法一定而不易世守而不失以相法法也今生等生先生之鄕而誦先生之言服先
生之敎升先生之堂衛先生之道思以一體貌而不爲何於先生地一規劃而不爲何於先生地死守三百年遵行古規以周旋於數畝宮壇之地起曠慕於往躅遺懿範於來學於
事何害於典何誅而今有指名論報以爲大懲之 敎生等之言今日而索矣渠輩自 題敎得來揚揚入院曰吾事濟矣吾事濟矣一邊作會一邊開席券出鄕新任脅單地主
下有司恣撗無憚焚香曰自爲享禮曰自爲是可曰衣冠類乎是可曰先生裔乎儒之於儒以言相詰猶曰不可况復爭而奪之生等旣不能舌競彼又不能肉薄彼呈之于官
而官不可號之于 營而營不聞則生等於此復何爲哉祗當相率而向院拜辭先師退伏杜門以自訟其不能保守賢規無所依歸以終身也自爲憂則誠如此而猶復爲
閤下不能無私憂而切切然慨惜之者 閤下黑頭擁節延譽一省歌頌載路而一受偏辭偶失照勘使一邦人士獨抱向隅之歎則有菀棠陰不瑕有何於 淸光耶所以然者生等
七十年苦心血爭之餘牽補到今日閔非賢伯鉅公前後望極力調護扶衛之力而院来昭載美譚相傳故也今 閤下司七十一州人物命區區一慶之下邑爲儒者誠亦幾
箇噍數哉然防塞者可得以名報而與彼同周旋者固自如矣士之身寧可以笞之鞭之而士之志不其難奪乎是則 閤下適能奪原儒之院而以與彼一邊人又 閤下何
爲是也 閤下之爲是也特其未知之耳 閤下但見其層受之言切近人情而矜彼之心先發而據勢而懸度其姓孫之待彼也或者其過度也以 閤下慈仁溫厚之德無
或乎其然也使 閤下而先聽生等之言又焉可如是也語曰堂上之遠千里 閤下又安得如生等之知之乎生等又以一事而尤有所望於 閤下而竊恃焉 先先生
典翰公往在乙巳禍有伸救先生事爲先生孫子者世世講而傳之骨銘而肉鐫又嘗從嶺中士友聞有對 閤下見之者自 閤下誦此言惓惓欲姓孫後人之知也嗚乎
其亦盛矣 閤下今以 典翰公之孫而按卽先生之道有事先生之院而 閤下以紏正之 閤下以靜息之世世吾林好古尙論之君子其將循跡而慕曰 某先生孫而於先
生院而復有此事斯文令譽永有辭於一家傳受則豈不誠偉歟是以生等不謂 前關之已勘而抱狀呌籲許日攢手多士穿目惟 閤下進退
之不勝惶蹙祈懇之至
癸未八月 日幼學鄭觀儉
李晦脩
同敦寧李在永
幼學孫相赫
崔斗正
李培永
李運益
任性宰
進士南其恒
幼學孫秀鶴
徐文錫
進士李在韶
幼學李在嶠
孫永旼
李容直
崔世邁
李運楨
權致馹
辛錫壹
金相瀅
權宜昇
進士孫友永
幼學李正彬
李能{氵+奎}
李敏久
崔濟顯
李在斗
韓圭範
李翰久
韓睦源
李在鑽
蔣祺源
李能漢
孫永烋
朴時夏
李玉祥
李能晟
李在燦
孫相驥
進士李寅久
幼學李楨久
任象宰
李能馨
李華久
李在熺
正言李圭日
幼學李在杰
崔世五
韓秉周
李台久
李林久
李在哲
李能政
李能遇
權致欽
李能新
進士金奎學
幼學李在性
孫永斗
鄭濟鳳
李祜榮
李善久
李昇榮
李容復
李能耆
李能俊
李能翊
李能杰
李相久
李在佾
進士崔晩善
幼學李在宜
崔鉉祥
徐暎杓
金相翼
李能敦
李宇章
李圭一
蔣圭源
李能哲
李能修
白容復
李能琦
李潤久
進士朴容復
幼學李能勻
李能儒
孫璡永
李宇暾
權永復
李能勳
李能泓
李東久
李在承
崔鉉軾
李鍾夔
李賢久
李錫洪
李能桂
李海久
李瑩久
徐仁錫
洪在文
李能植
鄭錫祜
權宜奎
徐璟錫
任瓊錫
李能璋
白容直
李容憲
李圭榮
李能薰
進士南熈朝
幼學李漢久
李能駿
李能宣
李能奭
李殷久
李錫九
曺相徽
黃琪一
李埈源
南永煥
李在國
李昇久
李能溥
孫秀東
鄭圭洛
李冣久
權柄運
李能燁
李能心
孫永曙
金相濂
孫秀汶
陳龜洛
南敎海
李能銓
李在懿
孫秀五
進士孫耆永
幼學權宜尙
李能咸
李能悅
李能駱
李能會
蔣祖禹
黃中錫
李泌久
李在沂
李玄久
金相禹
李炳久
李能久
朴箕鎭
崔鉉穆
李錫一
韓鎭東
黃箕一
韓樂晩
柳祥燁
李光久
柳文赫
李澄久
李中久
鄭旭載
李錫馨
李錫龜
李能烈
李能淳
李能鎬
金相賢
徐仁大
李能暾
南廷煥
進士李庭久
幼學孫秀翰
黃珪浻
金學久
崔海運
崔楨壽
孫晉河
李錫亨
李鳳久
崔海閏
崔鉉象
孫晉鑽
任鵬宰
孫海翼
李能英
孫秀億
李昺久
今此院儒事 亶出於疏鬱拔幽之
意 未嘗知有
溪門定條矣
薦也講也
惟在諸儒恢
公之議 則在
新儒之地 固
當務要和同
以待衆論之
僉同 而不此
之爲作會開
席 脅遞舊
任 自以爲有司
之名者 非誦書
服禮者之▣▣
卽惟曰 亂常
亦可也 是豈
置而勿問已乎
自官嚴飭退去 以待公議而後 或如前
肆悖 亦當有別般嚴處之道
題到 卽爲喩送 俾毋陷於帖終向事
十一日 本官
十一日 巳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