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갑술년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불천위(不遷位) 제사(祭祀) 제수단자(祭需單子)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B.0000.4713-20180630.Y185010704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기타
작성주체 옥산서원 재임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형태사항 크기: 42 X 5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안내정보

갑술년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불천위(不遷位) 제사(祭祀) 제수단자(祭需單子)
갑술년 11월 20일 옥산서원에서 회재 이언적의 불천위 제사에 보내는 제수단자이다. 서원의 춘추향사와 달리 불천위 제사는 제수의 종류가 더 많고 푸짐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 단자에 기재된 종류는 모두 39종으로 제수와 제구로 구분된다. 또한 바다와 인접하여 해산물이 많은 것이 회재 불천위 제사의 특징이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옥산서원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甲戌年 11월 20일 玉山書院에서 晦齋 李彦迪의 不遷位 제사에 보내는 祭需單子
甲戌年 11월 20일 玉山書院에서 晦齋 李彦迪의 不遷位 제사에 보내는 祭需單子이다. 서원의 춘추향사와 달리 불천위 제사는 제수의 종류가 더 많고 푸짐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 단자에 기재된 총 39종의 물품은 흰쌀(白米), 찹쌀(粘米), 밀가루(眞末), 촛불(同燭), 축문종이, 축문 붓, 참먹, 향, 마른대추, 깐 밤[黃栗], 홍시, 곶감(乾柹), 쇠고기(黃肉), 갈비(乫腓), 뭉칫살(刀肉), 심장, 간, 족발, 방어(魴魚), 상어(鱨魚), 민어(民魚), 평어(平魚), 송어(松魚), 농어(農魚), 준치어(俊致魚), 문어, 청어, 가삼어(加三魚), 생대구, 건대구, 꿩고기(生雉), 말린전복(乾鰒), 전복(生鰒), 참기름(眞油), 벌꿀(生淸), 김(海衣), 두부(豆浮), 흰 종이, 참숯(白炭) 등이었다. 이 가운데 갑술년에는 방어와 평어를 대신하여 소고기 각 1條씩를, 민어를 대신하여 상어(鱨魚) 1尾를, 송어를 대신해서 갈비 1쌍을, 송어를 대신하여 생대구(生大口) 1尾를, 준치를 대신하여 문어 1條를 보내었다.
자료적 가치
옥산서원 제수의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옥산서원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祭需單子
白米壹斗
粘米壹斗
眞末壹斗
同燭壹雙
祝紙壹張
祝筆壹柄
眞墨壹丁
香壹封
乾棗壹升
黃栗壹升
紅柹貳拾介
乾柹壹貼
黃肉壹脚
乫腓壹隻
刀肉壹條
心壹部
肝半部
足貳介
方魚壹尾 代黃肉壹脚
鱨魚壹尾
民魚壹尾 代鱨魚壹尾
平魚壹尾 黃肉壹脚
松魚壹尾 代乫腓壹雙
農魚壹尾 代生大口魚壹尾
俊致魚壹尾 代文魚壹條
文魚壹條
靑魚壹級
加三魚壹級
生大口魚壹尾
乾大口魚壹尾
生雉壹首
乾鰒貳串
生鰒貳拾介
眞油壹升
生淸壹升
海衣壹貼
豆浮貳拾方
白紙五張
白炭壹苞

甲戌十一月二十日齋任李[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