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갑오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추향시(秋享時) 제수단자(祭需單子)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XB.0000.4713-20180630.Y185010703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기타
작성주체 영장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형태사항 크기: 42 X 5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안내정보

갑오년 옥산서원(玉山書院) 추향시(秋享時) 제수단자(祭需單子)
갑오년 8월 21일 옥산서원 추향시 제수 물목을 적은 제수단자이다. 영장이 제수단자를 점검하였다. 단자에 나오는 제수는 모두 27종이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옥산서원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甲午年 8월 21일 옥산서원 秋享時 제수 물목을 적은 祭需單子
甲午年 8월 21일 옥산서원 秋享時 제수 물목을 적은 祭需單子이다. 營將 鄭某가 제수단자를 점검하였다. 단자에 나오는 제수는 모두 27종이다. 불천위 제사에 비하여 제수의 종류가 적다. 먼저 제물로는 쌀, 기장, 술쌀, 누룩(眞曲), 소금(形塩), 사슴고기포, 사슴고기젓, 물고기젓, 마른고기(魚鱐), 깐 밤(黃栗), 마른대추, 무김치(菁葅), 미나리김치(芹菹), 돼지고기(豕腥) 등이 있다. 이외에 祭具 등으로 초(同燭), 폐백(幣帛), 축문종이, 폐백상자(幣箱), 황모붓(黃筆), 참먹(眞墨), 향, 돗자리(祭席), 새끼줄(條索), 고리그릇(柳器), 종이(皮紙), 종이부대(紙帒), 왕골자리(草席), 숯(香炭) 등이 있다.
자료적 가치
옥산서원 제수의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옥산서원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玉山書院祭需單子
稻米貳升合伍夕
黍米貳升貳合伍夕
酒米參升
眞曲壹元
形塩壹升
鹿脯參條
鹿醢壹升
魚醢壹升
魚鯆伍尾
黃栗壹升
乾棗壹升
菁葅壹升
芹葅壹升
豕醒壹口
同燭壹雙
幣帛捌尺
祝文紙壹張
幣箱壹部
黃筆壹柄
眞墨壹丁

祭席壹立
柳器壹部
紙幣柒部
條索壹艮衣
草席壹立
香炭壹升
甲午八月二十一日 營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