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07년에 작성된 세덕사 『고왕록(考往錄)』 정묘년 기사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10+KSM-WZ.1807.4711-20180630.Y18504020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서-기타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고왕록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작성시기 1807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현소장처: 경주 세덕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안내정보

1807년에 작성된 세덕사 『고왕록(考往錄)』 정묘년 기사
1807년에 작성된 세덕사 『고왕록』의 정묘년 기사이다. 2월과 5월, 7월의 사건이 차례대로 기록되어 있다. 2월 2일에 연연루의 부와 6~7장이 풍우로 손상된 까닭에 본소에서 수리하였고, 5월 1일에 묘우의 앞뒤 여부와가 풍우로 손상된 까닭에 수리하였고 벽오동 1주를 강당의 남쪽 담장 아래에 심었다고 기록하였다. 7월 15일에는 누전의 판교가 무너져 동정을 동원하여 개보하였다고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慶州 世德祠 연구」,『민족문화논총』45,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807년에 작성된 세덕사 『고왕록(考往錄)』 정묘년 기사.
[내용 및 특징]
1807년에 작성된 세덕사 『考往錄』의 정묘년 기사이다. 2월과 5월, 7월의 事件이 차례대로 기록되어 있다. 2월 2일에 淵淵樓의 夫瓦 6~7丈이 風雨로 손상된 까닭에 本所에서 수리하였고, 5월 1일에 廟宇의 앞뒤 女夫瓦가 풍우로 손상된 까닭에 수리하였고 碧梧桐 1株를 강당의 남쪽 담장 아래에 심었다고 기록하였다. 7월 15일에는 樓前의 板橋가 무너져 洞丁을 동원하여 改補하였다고 하는 내용이다.
1779년에 설립된 세덕사는 조선시대 경주지역을 대표했던 여주이씨 가문에 의해 운영된 문중사우로 1868년 毁撤될 때까지 약 90년 간 존속하였다. 대원군 때 훼철된 이후 복설되지 않았고 현재는 세덕사 講堂으로 이용되었던 용계정만이 남아 있다. 세덕사의 건립과 운영에 관련된 자료는 배향자인 이언괄의 후손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덕동마을 내의 민속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는데, 본 자료는 그 중 하나인 『고왕록』에 수록된 기사로서 19세기 초반 세덕사의 실질적인 운영 관리의 면모를 보여주는 자료라고 하겠다.
17세기 중반 이후로 향촌사회에서는 朱子家禮의 보급과 실천을 강화하면서 嫡長子 중심의 宗法질서가 확립되고 문중과 同姓村이 확대되었다. 문중기반의 사족지배체제가 자리를 잡으면서 18세기 이후 각 문중 간 우위 경쟁은 심화되었고, 그 결과 각 가문의 先祖를 제향하는 中門院祠가 남설되었고, 세덕사도 그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건립된 문중사우이다.
세덕사는 여주이씨 양좌동 입향조인 李蕃과 그의 2자인 李彦适 부자를 배향하고 있다. 李彦迪 사후 人臣으로서 또한 학자로서 최고의 영예를 향유한 데서 이 가문은 17세기 이후 경주뿐만 아니라 영남을 대표하는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한 가운데 설립된 세덕사는 이언적의 父와 弟를 배향한 사우로 여주이씨 가문의 주도로 운영되었다.
특히 경주부에서는 세덕사에 屬村을 획급하여 사우 운영의 인적 토대를 구축하여 주었는데, 본 기록에서도 세덕사 주요 공사에 덕동의 동민들이 洞丁으로 동원되어 役을 담당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들 양민들은 사우에 동원됨으로써 군역 및 각종 잡역을 면제받는 대가로 잡역의 일부를 담당하였던 것이다. 당해년도의 기록처럼 세덕사의 수리 및 보수 등의 각종 공사에 동원되기도 하였지만, 守直, 役事, 擧火, 燒木 등의 노역이나 물품의 수호 관리, 향례와 같은 각종 행사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자료적 가치]
세덕사의 운영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19세기 초반 문중사우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문중사우로써는 드물게 屬村이 획급되어 있어 각종 事役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도 보여주고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慶州 世德祠 연구」,『민족문화논총』45,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丁卯二月初二日淵淵樓夫瓦六十丈如風雨則傷切自本卽
修葺
同年五月初一日 廟宇前後如夫瓦十二丈爲風雨卽傷
切修葺 碧梧祠一株植于講堂南墻下
同年七月十五日樓前板橋數壞切使洞丁改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