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2년에 10월에 작성된 세덕사 『고왕록(考往錄)』임술년 기록.
[내용 및 특징]
1802년에 10월에 작성된 세덕사 『考往錄』임술년 기사이다. 淵淵樓 南房의 塗褙가 좀먹고 훼손된 까닭에 別所로부터 白紙 7束을 辦備하여 새롭게 도배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당시의 山長 李鼎興과 有司 李宅祥는 후에 모두 玉山書院 院長을 역임한 인물들이다.
세덕사 설립 이전 경주지역은 경상도의 여러 읍 중에서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서원이 건립되기 시작하였는데 경주의 사족들은 16세기 중·후반에 西岳·玉山書院을 건립하였고, 또한 본읍의 邑誌를 편찬하였다 뿐만 아니라 향안 작성을 통한 유향소 운영과 향교 및 院·祠를 출입하면서 향촌사회를 영도하였고 한편으로는 이를 매개로 지방유림을 조직하고 동원하여 그들의 이해를 관철해 나갔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 士林의 활동에 서원의 역할이 점차 커지자 각 문중들은 향중 공동의 서원이 아닌 개별 문중 중심의 원사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18세기 이후가 되면 각 문중, 더 나아가 문중의 파별로 더욱 세분화되어 각기 자기 조상을 위주로 한 서원·사우·鄕祠·精舍 등을 경쟁적으로 건립하여 지역적·종족적 유대를 강화하고 향촌 내에서의 위치를 견고히 하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원사의 분립이 뚜렷해졌으며 이러한 문중원사의 확대는 이 시기 문중의식의 확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경주지역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많은 수의 서원과 사우가 濫設되었다. 良佐洞의 孫·李兩姓을 비롯하여, 조선후기 경주를 대표했던 경주 김·이·최·손씨 및 淸安李·迎日鄭·利川徐·谷山韓·豐川任·英陽南·安東權氏 등 유력 사족들은 어김없이 그들의 入鄕祖, 中始祖, 顯祖 가운데 1祖 또는 공동의 조상을 주향 또는 배향·추배 등의 형식을 통하여 서원·사우를 설립하고 있었다. 이들 원사 대부분은 18세기 후반~19세기 사이에 건립된 문중사우이다.
이러한 원사 건립의 추세 속에서 경주지역을 대표했던 여주이씨도 파별로 분립현상이 뚜렷해졌다. 여주이씨는 사액서원인 옥산서원에 이언적을 배향하고 있었으며, 그의 父·弟와 庶子·손자를 배향하는 운천서원·세덕사·장산서원·경산사를 설립하여 각 파별로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수졸당파는 파조인 李宜潛의 영정을 모시는 사곡영당을 건립하고 있었다. 도내 유림의 공론으로 설립되었던 옥산서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주이씨 각 파가 설립과 운영을 주도했던 것이다.
세덕사 설립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1778년부터 여주이씨 가문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졌다. 문중에 통서를 보내 실질적인 논의를 시작하였고 종중의 인원들이 참여하여 터를 잡고 상량을 했다. 세덕사가 설립되고 묘우가 만들어졌으나, 재물이 부족하여 나머지 부속건물에 대한 공사가 이루어지지 못해, 강당은 묘우 아래에 위치한 龍溪亭을 임시로 썼다. 따라서 세덕사 설립 초창기에 가장 시급한 과제는 세덕사 운영에 사용될 경제적 기반의 마련과 더불어 강당을 건립할 재원은 확보하는데 있었다.
세덕사 운영과 관련하여 『考往錄』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부분이 본 기사의 내용과 대동소이한 사우 건물의 유지를 위한 수리·보수에 관한 것이다. 세덕사는 건립이 된 이후 꾸준하게 수리와 보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재용의 운영은 별소에 대한 의존도, 즉 문중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았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세덕사가 문중사우로 설립된 까닭도 있겠지만, 본소 전답의 운영을 통해 자립할 수 있는 재정확보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은 세덕사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문중사우에서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개별 사우의 운영을 독립시킬 수 있는 재정을 확보하지 못하고 대소사가 있을 때마다 문중으로부터 재원을 지원받아 운영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자료적 가치]
경주지역의 여주이씨 문중사우인 세덕사의 건물 유지와 관련된 사항이 기록된 자료로 운영을 주도한 인물들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타의 문중사우와 달리 비교적 많은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本所의 전답만으로 사우 운영에 있어 한계를 지니고 있었지만 別所의 재용 및 여타의 경제 기반을 통한 운영 양상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慶州 世德祠 연구」,『민족문화논총』45,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1차 작성자 : 윤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