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0년~1962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임원록(任員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900.4725-20170630.Y1750201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작성시기 1900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60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1900년~1962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임원록(任員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서원을 구성하고 있는 실질적인 주체는 院任과 院生이었다. 옥동서원의 원임 구성을 알려주는 자료는 서원 소장 고문서로 ‘任員錄’이 있다. 현전하는 본 자료인 임원록(1714∼1899, 1900∼1960) 2책에 의하면 옥동서원의 기본 운영 체제는 ‘院長-齋任’ 체제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임원록은 1900년(광무 4)부터 1962년까지 63년간 원장 156명과 재임 345명, 句管有司의 5명단이다. 먼저 원장은 중복 포함하여 156명은 평균 4개월을 역임하였다. 기존 1714년에서 1800년까지 86년간 92명이 평균 재임 기간이 11.2개월을 감안하면 크게 단축 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변화 등으로 인해 서원의 운영이 그만큼 어려워졌으며, 원임직의 권위가 이전 보다 크게 약화되어 사족들이 기피하는 대상이 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원장을 역임한 인사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李 26명·鄭 23명·趙 22명·黃 17명·金 19명·姜 13명·宋 11명·柳 7명·康·高·盧·全 각3명·張 2명·洪 1명 순으로 이전에 비해 성씨가 좀 더 증가하였다. 원장 가운데 1902년 부임한 前 承旨 鄭宜黙과 1920년에 부임한 참봉 柳萬植이 가장 주목되는 인물이다. 한편 18세기 후반부터 제향인의 후손인 장수황씨들의 참여가 시대가 내려오면서 점차 많아지는 문중서원화 현상이 나타났으나 1900년 이후 17명 원장 배출되어 이전보다 감소하는 변화 양상이 확인된다. 서원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했던 齋任은 보통 1명~3명 선을 유지했고, 총 63회 325명이 맡았다. 이 가운데 재임에서 원장을 함께 역임한 자는 21명이 확인이 되는데 원장 위촉이 쉽지 않은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이들의 성씨를 정리하면 黃氏 96명, 李氏 42명, 趙氏 40명, 金·宋氏 각 27명, 姜氏 25명, 鄭氏 24명, 盧氏 12명, 張·全氏 10명, 琴·白氏 각 7명, 柳·孫氏 각 6명, 康·成氏 각 2명, 高·韓氏 각 1명씩이다. 제향인의 후손인 장수황씨가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이 가문이 사실상 서원 운영의 주체였음을 반영된 수치이며, 서원의 현실적 필요에 따라 단기간으로 사용한 句管有司 직책도 5회 확인이 된다. 본 자료는 1900년 이후 옥동서원의 조직과 인적구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00년~1962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임원록(任員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서원을 구성하고 있는 실질적인 주체는 院任과 院生이었다. 옥동서원의 원임 구성을 알려주는 자료는 서원 소장 고문서로 ‘任員錄’이 있다. 현전하는 본 자료인 임원록(1714∼1899, 1900∼1960) 2책에 의하면 옥동서원의 기본 운영 체제는 ‘院長-齋任’ 체제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1868년(고종 5) 가을부터 ‘원장-1유사-재임’, ‘1유사-2유사-재임, 掌議 체제로 변모하였다. 즉, 1714년부터 1868년 봄까지는 기존의 ‘원장-재임’체제가 이어졌지만, 1868년 가을부터 1885년(고종 22)까지 ‘원장-1유사-재임’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17년 동안 일정기간 기존의 원임체제로 운영되기도 했지만, 주로 유사를 원임으로 넣고 있었다. 그러다가 1887년(고종 24)부터 원임 중 원장직을 없애고 ‘1, 2유사-재임’ 체제로 1889년부터는 ‘유사(有司)-장의(掌議)’체제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893년(고종 30) ‘원장-재임’의 체제로 되돌리기 전까지의 일시적인 현상이었으며 이후 기존 구성 방식을 유지하였다. 본 임원록은 1900년(광무 4)부터 1962년까지 63년간 원장 156명과 재임 345명, 句管有司의 5명단이다. 먼저 원장은 중복 포함하여 156명은 평균 4개월을 역임하였다. 기존 1714년에서 1800년까지 86년간 92명이 평균 재임 기간이 11.2개월을 감안하면 크게 단축 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변화 등으로 인해 서원의 운영이 그만큼 어려워졌으며, 원임직의 권위가 이전 보다 크게 약화되어 사족들이 기피하는 대상이 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원임의 선발도 이전에 비해 더욱 어려워져서 1년에 봄, 여름, 가을의 3차례를 주기로 바뀌고 있다. 기존 2년의 임기가 아니라 한 사람이 여러 차례 연도를 달리하여 재임하는 현상도 보이고, 1년에 3~4명이 교체되는 경우 또는 그 자리에 부임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원장을 역임한 인사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李 26명·鄭 23명·趙 22명·黃 17명·金 19명·姜 13명·宋 11명·柳 7명·康·高·盧·全 각3명·張 2명·洪 1명 순으로 이전에 비해 성씨가 좀 더 증가하였다. 옥동서원에 참여했던 가문들을 고려했을 때 이들의 성관은 흥양이씨, 진주鄭氏, 풍양조씨, 장수황씨, 상산김씨, 진주강씨, 은진송씨, 전주류씨, 信川康氏, 廣州노씨, 沃川全氏, 부림홍씨 옥동서원에 운영에 참여했던 대체적인 가문들로 볼 수 있다. 원장 가운데 1902년 부임한 前 承旨 鄭宜黙과 1920년에 부임한 참봉 柳萬植이 가장 주목되는 인물이다. 정의묵은 본관 진주, 정경세의 11대손으로 상주출신이다. 1847년 문과급제 후 금부도사·홍문관 교리·동부승지·안동부사 등을 역임했으며, 1895년 동학운동에 영남우도 召募使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류만식은 본관 전주, 안동 예안출신으로 한말 영남학파를 계승한 柳必永의 아들인 그는 ‘파리장서의거’를 추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인물이다. 원장들의 거주지를 적기하지 않았지만 출입 성관들이 주로 상주지역에 세거했기 때문에 一鄕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18세기 후반부터 제향인의 후손인 장수황씨들의 참여가 시대가 내려오면서 점차 많아지는 문중서원화 현상이 나타났으나 1900년 이후 17명 원장 배출되어 이전보다 감소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서원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했던 齋任은 보통 1명~3명 선을 유지했고, 총 63회 325명이 맡았다. 이 가운데 재임에서 원장을 함께 역임한 자는 康炳憲·姜昇馨·姜哲熙·金秉式·盧性佐·柳道徵·李舜敎·李時亨·李鍾麟·李喆淵·宋柱河·全胤錫·鄭東杓·鄭在喆·鄭和黙·趙萬郁·趙鳴夏·黃繼周·黃世周·黃在穆·黃苾善 21명이 확인이 되는데 원장 위촉이 쉽지 않은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이들의 성씨를 정리하면 黃氏 96명, 李氏 42명, 趙氏 40명, 金·宋氏 각 27명, 姜氏 25명, 鄭氏 24명, 盧氏 12명, 張·全氏 10명, 琴·白氏 각 7명, 柳·孫氏 각 6명, 康·成氏 각 2명, 高·韓氏 각 1명씩이다. 제향인의 후손인 장수황씨가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이 가문이 사실상 서원 운영의 주체였음을 반영된 수치이며, 여타 성씨들도 조선후기 옥동서원을 출입했던 가문들과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서원의 현실적 필요에 따라 단기간으로 사용한 句管有司 직책도 5회 확인이 된다.
자료적 가치
사액과 훼철되지 않았던 상주지역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옥동서원 의 1900년대 이후 운영 체제와 인적 구성 및 상주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任員錄
庚子
院長李漢膺地主未出座
齋任宋柱泰
黃儀集
院長黃命善
齋任黃在運
趙鳴夏
院長姜運熙
齋任黃在運
黃在英
辛丑
院長黃違周
齋任黃龍熙
黃在英
趙鳴夏
黃哲周
壬寅
院長洪承達
齋任黃在運
趙鳴夏
院長宋台浩
齋任黃在運
趙鳴夏
院長姜運熙
齋任黃在運
盧相九
院長鄭宜黙承旨
齋任趙南龍
黃在洪
癸卯
院長鄭宜黙
齋任趙南龍
黃在洪
黃在昊
院長李炳時未出坐
齋任趙南龍
黃在昊
甲辰
院長鄭東時未出坐
齋任趙南龍
黃在昊
院長宋基魯
齋任趙南龍
黃在昊
院長黃永周
齋任姜信國
黃在昊
乙巳
院長黃永周
齋任金秉厚
黃世周
句管有司黃正周
院長趙疇九
齋任鄭東珣
黃義式
丙午
院長金昌驥
齋任姜昇馨
黃在稷
丁未
院長鄭喆愚進士
齋任姜昇馨
黃在稷
戊申
院長黃贊周
齋任鄭恒黙
黃烈周
黃正周
己酉
院長黃贊周
齋任鄭恒黙
黃正周
庚戌
院長趙南軾
齋任宋鎭燮
黃在傑
辛亥
院長趙南軾
齋任宋鎭燮
黃在傑
辛亥
院長趙南軾
齋任宋鎭燮
黃璧周
壬子
院長姜連永未出座
齋任趙南潤
黃義三
院長宋基普進士
齋任鄭東杓
黃義參
院長盧載厚未出座
鄭東杓
黃義參
院長金瓚奎
鄭東杓
黃義參
癸丑
院長金瓚奎
鄭東杓
齋任黃在璣
院長宋箕浩未出坐
齋任李鍾台
甲寅
院長全洪九
齋任黃在瑩
趙南哲
乙卯
院長姜鳳熙
齋任趙南哲
院長鄭在黙進士
齋任金秉厚
黃苾善
乙卯
院長李升敎
齋任趙萬郁
黃苾善
丙辰
院長李升敎
齋任趙萬郁
黃苾善
院長鄭東年
齋任趙萬郁
黃碩周
丁巳
院長黃芝善參議
齋任宋元湜
黃碩周
戊午
院長黃芝善
齋任宋元湜
姜聖熙
黃漢周
院長李起渤未出座
姜聖熙
黃漢周
院長鄭寗黙
齋任姜聖熙
黃漢周
己未
院長宋世浩
齋任張黙相
全相翊
庚申
院長柳萬植參奉
齋任張黙相
全相翊
院長趙鳴夏
齋任張黙相
李時亨
院長鄭弼愚
齋任張黙相
李時亨
辛酉
院長鄭弼愚
齋任張黙相
李時亨
盧載瓚
黃在傑
院長李時健
齋任盧載瓚
黃繼周
鄭在燁
壬戌
院長黃在卨
齋任鄭在燁
金在源
全炳哲
院長趙顯九
齋任金在源
全炳哲
癸亥
院長趙顯九
齋任李鍾麟
鄭東輝
院長孫學秀
齋任盧性佐
李鍾麟
院長李炳善
齋任趙京行
盧性佐
甲子
院長李炳善
齋任趙京衍
盧性佐
院長金肅源進士 未出座 服免
齋任趙京衍
宋柱範
院長金應奎
齋任趙京衍
宋柱範
乙丑
院長趙南輪參奉
齋任宋柱範
黃佾周
院長鄭淵黙
齋任姜信益
黃佾周
院長趙昇淵參奉
齋任姜信益
黃在瀅
丙寅
院長趙昇淵參奉
齋任鄭在龍
黃在瀅
金秉式
丁卯
院長趙昇淵參奉
齋任鄭在龍
金秉式
柳道徵
院長高彦夔未出座
齋任柳道徵
宋柱河
院長姜暾馨
齋任柳道徵
宋柱河
院長李時殷
齋任趙泰淵
宋柱河
戊辰
院長李時殷
齋任趙泰淵
宋柱河
李國鎔
金遠
己巳
院長宋鎭璍
齋任李國鎔
鄭和黙
句管有司黃在叔
院長全時榮
齋任李鍾台
趙匡衍
高斗煥
己巳
院長姜昇馨
齋任李鍾台
康炳憲
庚午
院長姜昇馨
齋任李鍾台
康炳憲
句管有司全相翊
院長李炳日
齋任黃在喆
金彦林
辛未
院長柳昌植
齋任鄭在喆
金彦林
院長黃宗衍
齋任李鍾龜
黃在穆
壬申
院長趙宗衍
齋任李鍾龜
黃在穆
黃在淑
院長鄭東杓
齋任李鍾龜
黃在淑
院長高澋
齋任李鍾龜
成漢永
癸酉
院長孫炳奭
齋任宋柱元
成漢永
李喆淵
院長姜來熙參奉 未出座
齋任李柱元
李喆淵
趙誠圭
甲戌
院長姜來熙
齋任趙誠圭
句管有司全相極
黃繪周
院長鄭訓黙未出座
齋任黃煥周
李舜敎
院長黃世周
齋任盧炳喆
全胤錫
乙亥
院長黃世周
齋任盧炳喆
全胤錫
院長柳道和未出座
齋任盧炳喆
姜信鏞
院長李時郁
齋任盧炳喆
姜信鏞
丙子
院長李時郁
齋任盧炳喆
姜信鏞
院長趙晉衍
齋任姜信鏞
鄭胤黙
丁丑
院長趙晉衍
齋任黃義道
柳心佑
院長姜來熙參奉
齋任黃義喆
李志寧
趙奎衍
戊寅
院長黃苾善參奉
齋任黃義喆
趙奎衍
白武鉉
院長鄭訓黙
齋任白武鉉
趙奎衍
金秉直
院長柳東錫
齋任金秉直
齋任白武鉉
李康燮
己卯
院長柳東錫
齋任李康燮
黃在穆
院長趙南彦
齋任李康燮
黃在穆
院長鄭昌黙未出座
齋任金浩鎭
全炳禧
院長宋浚弼未出座
齋任金浩鎭
全炳禧
庚辰
院長柳道徵
齋任金浩鎭
全炳禧
黃在裕
趙萬容
鄭在星
辛巳
院長鄭柱畿
齋任趙萬容
鄭在星
院長李炳華未出座
齋任鄭在星
姜健馨
趙誠中
院長鄭宗殷
齋任姜健馨
趙誠中
壬午
院長張亮秀
齋任姜健馨
趙誠中
癸未
院長鄭東冕
齋任姜健馨
白祥鉉
院長黃謹周
齋任白祥鉉
趙繪衍
院長姜宅熙
齋任趙繪衍
白祥鉉
院長趙南昱
齋任白祥鉉
黃卓淵
李元植
甲申
院長張錫周
齋任李元植
李錫兖
院長高氵+敬未出座
齋任李錫兖
張炳駿
乙酉
院長趙萬郁
齋任李錫兖
張炳駿
黃博周
句管黃鳦周
院長鄭在喆未出座
齋任黃鳦周
張炳逵
丙戌
院長姜哲熙
齋任黃鳦周
張炳逵
丁亥
院長姜哲熙
齋任黃鳦周
張炳逵
李錫冕
院長盧在瓚
齋任黃鳦周
李錫冕
黃義牧
戊子
院長李鍾燮
齋任黃義牧
金龍赫
院長鄭東佐
齋任金龍赫
姜哲熙
院長李鍾麟
齋任趙成九
姜哲熙
院長金秉燾
齋任趙成九
姜哲熙
院長宋柱賢未出座
齋任趙成九
姜哲熙
院長盧性佐
齋任趙成九
姜哲熙
院長金佑賢
齋任柳弘植
姜哲熙
院長康炳憲
齋任柳弘植
姜哲熙
院長李舜敎
齋任姜哲熙
黃義健
庚寅
院長孫炳卓服單
齋任黃義健
宋度湜
辛卯
院長黃繼周
齋任鄭顯黙
宋度湜
院長趙萬赫
齋任鄭顯黙
金元祥
齋任黃馹周
院長李翊元未出座
齋任黃馹周
鄭完鎭服單
院長宋柱河
齋任韓慶煥
黃馹周
院長宋柱河
齋任孫熙遠
黃馹周
壬辰
院長柳寬植未出座
齋任琴玉淵
黃馹周
院長金永一
齋任琴玉淵
黃馹周
院長李時泰
齋任金善洙
黃馹周
院長李時泰
齋任金善洙
黃馹周
癸巳
院長李根翊
齋任金善洙
黃在德
琴秉浩
院長金秉式
齋任金善洙
琴秉鎬
院長金秉式
齋任金善洙
琴秉鎬
宋柱列
院長金秉式
齋任宋柱列
黃絇周
院長金秉式
齋任宋柱列
黃義良
院長黃在穆
齋任宋柱列
黃義良
甲午
院長黃在穆
齋任宋柱列
黃義良
院長鄭和黙未出座
齋任金相喆
黃義良
院長趙玩衍
齋任金相喆
黃義良
院長康信愚
齋任金相喆
李義淳
乙未
院長康信和
齋任趙翼衍
李義淳
院長李時亨
齋任趙翼衍
李義淳
宋圭煥
院長鄭泰黙
齋任宋圭煥
李義淳
丙申
院長李喆淵
齋任宋圭煥
李義淳
丁酉
院長金容春
齋任宋圭煥
鄭碩鎭服單
院長金容春
齋任李銀澤
宋圭煥服單
李宅河
院長金容春
齋任李銀澤
黃義泳
戊戌
院長李鍾倫
齋任黃義泳
孫晉遠
院長李程鎬
齋任黃義泳
孫晉遠
院長趙南喆
齋任黃義泳
孫晉遠
院長金相夏
齋任黃義泳
孫晉遠
院長金相夏
齋任黃義泳
孫晉遠
己亥
院長鄭謙黙
齋任黃義庸
宋晟浩
院長鄭謙黙未出座
齋任全相福
黃義庸
院長金炳準
齋任金相福
黃義庸
庚子
院長金炳準
齋任金相福
黃義庸
院長趙誠立
齋任黃義庸
姜信珏
鄭松黙
院長宋柱亨
齋任鄭松黙
琴大燮
辛丑
院長全胤錫
齋任李源河
琴大燮
壬寅
院長趙南巡
齋任李源河
李東春
院長李壽麒
齋任盧奭均
李東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