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4~1867년 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 도동서원(道東書院) 학계안(學稧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854.2771-20170630.Y175032002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작성주체 학계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작성시기 1854
형태사항 크기: 32 X 29
수량: 17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현소장처: 대구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안내정보

1854~1867년 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 도동서원(道東書院) 학계안(學稧案)
경상도(慶尙道) 현풍현(玄風縣) 소재 도동서원(道東書院) 운영과 관련해서 결성된 학계(學稧)의 계원 명부다. 본 자료는 「갑인2월일(甲寅二月日) 학계안(學稧案)」이라는 표제로 엮여져 있으며, 본문에는 1854년 2월부터 1867년 2월까지 학계 계원으로 활동했던 인사들의 성명이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는 서문(序文)이나 절목(節目)이 수록되어 있지 않아, 본 학계의 연혁이나 결성 경위, 운영상의 특징은 확인 할 수 없다. 다만 본 학계안이 도동서원에 소장되어 있고, 도동서원 운영과 관련된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도동서원 운영 보조나 학문 장려 보조를 위해 서원 재정과 별개로 조직된 결사 조직으로 추정된다.
명부는 1854년 2월부터 1867년 2월까지 모두 11개의 좌목(座目)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된 계원은 모두 189명인데, 가장 앞의 1854년 2월 좌목에만 137명이 확인되며, 나머지는 추가로 계원이 자들의 추입(追入) 좌목이다. 좌목은 성명이 기재되어 있고, 그 아래에 해당 계원의 출생 간지(干支)와 자(字)를 기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189명의 계원을 성씨 별로 나열하면, 곽씨(郭氏) 83명, 김씨(金氏) 69명, 이씨(李氏) 8명, 박씨(朴氏) 7명, 배씨(裵氏)·성씨(成氏)·엄씨(嚴氏) 각 5명, 류씨(柳氏)·최씨(崔氏) 2명, 양씨(楊氏)·채씨(蔡氏)·홍씨(洪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도동서원 배향자의 후손인 서흥김씨(瑞興金氏)와 현풍현의 대표적인 토성(土姓) 재지사족 가문인 현풍곽씨(玄風郭氏)가 계원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道東書院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朝鮮後期 書院硏究』,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854년 2월부터 1867년 2월까지 慶尙道 玄風縣 소재 道東書院 學稧에서 활동한 계원의 명부
甲寅二月日 學稧案
자료의 내용
1854년 2월부터 1867년 2월까지 學稧의 계원 명부로 「甲寅二月日 學稧案」이라는 표제로 엮여져 있다. 慶尙道 玄風縣 소재 道東書院에 소장된 자료인 것으로 보아, 도동서원 운영과 관련된 조직으로 추정된다. 학계는 학문 진흥의 목적을 가진 일종의 결사체다. 학계는 구성원의 성격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는데, 본 학계는 도동서원과 관련된 것이다. 序文이나 節目이 없어 이 학계의 성격은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도동서원 운영을 위한 기금 마련, 또는 도동서원 원생의 학술 활동을 보조하기 위해서 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안의 본문은 오로지 座目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학계의 연혁과 운영 규정 및 특징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다만 가장 말미에 1854년부터 追入하는 자는 ‘逐利許入’이라고 짤막하게 규정해 놓았다. 추입 때 일종의 물력을 납부해야지, 入稧를 허락한다는 규정으로 보인다. 학계안에는 1854년 2월 좌목부터 1867년 2월 13일 좌목까지 모두 11개의 좌목을 수록해 놓았다. 좌목의 계원 명부는 성명을 기재해 놓고, 그 아래에 출생 干支와 字를 세주로 기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원 대부분의 거주지는 도동서원이 소재한 현풍현 지역으로 보이나, 만약 他邑에 거주할 경우 성명 아래에다 해당 계원의 거주 지역을 부기하였다.
본 학계안 수록된 11개의 좌목에는 모두 189명의 계원이 확인된다. 가장 서두의 1854년 2월 좌목에만 137명이 수록되어 있는데, 처음 학계가 결성될 때의 계원으로 생각되며, 나머지 좌목은 10명 내외의 추입된 계원이다. 좌목별로 살펴보면 1854년 2월 좌목에는 137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성씨별로는 郭氏 65명, 金氏 55명, 裵氏 5명, 嚴氏 4명, 朴氏 3명, 柳氏·李氏 각 2명, 成氏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이어 1855년 정월 추입 좌목에는 郭氏 8명, 李氏 3명, 成氏 2명, 金氏·朴氏·蔡氏 각 1명씩 16명이 수록되어 있다. 1856년 정월 3일 추입 좌목에는 金氏 4명, 郭氏·朴氏·嚴氏 각 1명씩 7명을 수록해 놓았으며, 1856년 12월 16일 좌목에는 郭氏 5명, 成氏 2명, 金氏·朴氏·楊氏 각 1명씩 10명을 수록하였다. 1857년 12월 21일 稧會時 추입 좌목에는 8명을 수록하였는데, 성씨별로는 郭氏 3명, 金氏·崔氏 각 2명, 李氏 1명 순이다. 1859년 12월 4일 좌목에는 李氏 1명을 수록하였으며, 1860년 12월 16일 좌목에는 郭氏와 朴氏 각 1명이 수록되어 있다. 1864년 7월 초8일 좌목에는 李氏·洪氏 각 1명, 1864년 12월 13일 좌목에는 金氏 2명, 1866년 정월 초4일 좌목에는 金氏 3명, 1867년 2월 13이 좌목에는 金氏 1명이 각각 추입되어 있다. 본 학계안에 입록된 189명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郭氏 83명, 金氏 69명, 李氏 8명, 朴氏 7명, 裵氏·成氏·嚴氏 각 5명, 柳氏·崔氏 2명, 楊氏·蔡氏·洪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한편, 학계안에 가입된 계원 중에는 현풍현이 아니라 他邑 출신 18명이 입록되어 있다. 이들의 거주지는 靈山·昌寧·高靈·河陽·大邱·星州·晉州로 확인된다. 이들이 세거하는 지역은 도동서원의 배향자 金宏弼의 瑞興金氏 가문 또는 현풍현의 대표적인 재지세력인 玄風郭氏 가문과 인척관계를 맺고 있는 가문들이 세거하는 곳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서원의 운영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우선 학계는 조선시대 결사체 중 하나였다. 주로 재지사족들이 학문 진흥의 명분으로 결성하였는데, 그 형태는 다양하였다. 특정 인물의 門人들이 스승을 顯揚하기 위해서, 또는 문인들 간의 학문 교유와 결속력 도모를 위해서 결성하기도 했으며, 재지사족들이 자신들이 속한 지역이나 일족 내에서 後學 양성을 위해 학계를 결성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본 학계안은 그 중에서도 서원과 관련되어 있다. 자료에 서문이나 절목 등이 수록되어 있지 않아, 학계의 결성 경위와 운영 규정은 확인 할 수 없지만, 도동서원에 소장된 자료인 것으로 보았을 때, 교육을 목적으로 건립된 도동서원 운영 보조나, 도동서원에 入院한 원생 교육을 보조하기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핸 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도동서원 학계에 참여한 계원들은 도동서원 운영을 주도했던 가문 인사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중기 이래 현풍현에는 토성인 현풍곽씨를 비롯하여 서흥김씨·淸道金氏·慶州金氏·善山金氏·密陽朴氏·順天朴氏·寧越嚴氏·平康蔡氏·星州裵氏·壽城羅氏 등의 재지사족 가문이 분포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배향자의 후손인 서흥김씨와 현풍현의 대표적인 토성인 현풍곽씨들이 도동서원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1854년 2월부터 1867년 2월까지 학계 운영을 주도하였던 것이다. 그 외에도 성산배씨·영월엄씨 등도 일정 부분 도동서원 운영에 참여하였으며, 본 학계의 계원으로도 참여하였다.
한편, 학계와 같은 조직도 조선시대 서원의 경제적 기반 가운데 하나로 이해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서원의 경제적 기반으로는 전답과 노비를 비롯해 院屬, 관의 부조 및 사림의 기부 등이 있었다. 그러나 그와 별개로 서원 운영에 관련된 사림들이나 배향자의 후손들이 각종 계를 결성하여 해당 서원의 경제적 기반을 보조하기도 했다. 본 학계의 결성 의도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 역시 학문 장려 등과 같은 서원 운영 보조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학계는 도동서원의 경제적 기반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도동서원에는 학계와 별개로 서원 운영을 보조하는 補院契와 같은 조직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道東書院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朝鮮後期 書院硏究』,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甲寅二月日學稧案

甲寅二月日學稧案

郭永泰乙巳正欽】
郭基鼎戊申達甫】
金河運己酉羲瑞】
嚴在喆己酉大而】
金錫燦庚戌圭瑞】
郭址顥壬子而淳】
金奎彩甲寅德顯】
郭{王+畐}甲寅晦溫】

郭斗錫乙卯道吉】
金奎濚丙辰德五】
郭乃翰乙卯子擧】
郭重奎丙辰啓文】
裵應度丁巳子誠】
郭址斗丁巳而拱】
金奎爀戊午德曦】
金大忻丁巳子寬】

郭基碩庚申永則】
郭柱標庚申遠瞻】
郭宗汶庚申聖老】
金說濟庚申景楫】
金致濟庚申殷老】
金繼一辛酉能百】
金庸勳辛酉聖安】
郭邦翰壬戌命汝】

柳道相癸亥周聲】
郭胤錫癸亥永受】
金相斌癸亥叔文】
郭址德癸亥永潤】
朴文瑞壬戌祿瞻】
郭址大癸亥公善】
金祜東甲子公受】
金正忻甲子希舜】

郭址成甲子有一】
郭載坤甲子叔厚】
嚴宅祜甲子祜汝】
金章運甲子文贊】
郭仁性甲子聖敏】
郭廷潤乙丑德仲】
金駿東乙丑公發】
金世勳丙寅子裕】

郭永翰丁卯厚若】
郭址彦丁卯聖兼】
郭址國丁卯允仲】
郭址嶠己巳佞兼】
郭慶翼己巳孟擧】
金相泰己巳士恭】
郭廷旭己巳國彦】
郭文坤己巳在吉】

郭瑞奎癸亥極文】
金基五癸亥建禮】
郭址爀戊辰德輝】
郭厚性戊辰聖行】
郭元坤丁卯正厚】
金漢運丙寅景章】
金基斗丙寅寬禮】
嚴在性辛未能受】

郭利坤辛未應吉】
郭廷鎭戊辰希用】
郭址文戊辰明彦】
金淑濟壬申善若】
金芝忻壬申希文】
金奎漢壬申應五】
柳起和壬申惠叔】
郭址亨癸酉俊兼】

金兌重癸酉允章】
郭廷廈癸酉君實】
金基洪癸酉順汝】
金致碩丙子英範】
郭光燦丙子聖若】
金在東丙子公魯】
郭廷祐丙子受汝】
郭南修丁丑晉玉】

嚴在穆丁丑希秀】
金守忻丁丑聖述】
金奎燁丁丑明五】
郭儀坤丁丑希吉】
郭柄坤丁丑厚之】
金宗演丁丑聖浩】
金用濟戊寅傅若】
金奎應辛巳聚五】

郭鍾倫丁丑和彦】
郭恭翰己卯鳳若】
裵道燦甲戌德兼】
裵德綱癸酉仁謙】
金旭東壬午公輝】
金相東壬午公洛】
金德忻癸未聖遠】
郭大性辛巳養潤】

郭址升丁丑允兼】
郭明坤壬午允文】
李元埈辛巳德明】【靈山大川
郭升坤己卯象厚】
金弼永辛巳致亨】【河陽南河洞
金弼夏
金弼殷
金錫夏癸酉冀中】【昌寧葛洞

郭元性己卯而度】
金洛鼎甲申應瑞】
郭昌奎甲申致煩】
郭碩燦癸未叟若】
成柄杓戊子極汝】
郭址耆乙酉國叟】
郭址耈戊子達叟】
金晉東丁亥公鎭】

郭瓚基乙酉致仁】
朴永奎甲午致良】
朴祐錫己卯晉卿】
郭永源丁亥以厚】
郭大璹戊子士潤】
李時埈甲申德原】【靈山大川
金洪鍊甲申海則】
裵道鍊乙酉道兼】

金熙鐸己丑揆伯】
郭連坤乙酉元直】
郭南坤丙戌明吉】
金熙穆辛卯明元】
金熙興辛卯學汝】
金熙圭〔純〕癸巳學一】
郭正坤辛未德厚】
郭履坤戊子德基】

金宗周戊子汝卿】
金應鼎戊戌升瑞】
郭斗翰丙戌振若】
郭達奎丁亥明瑞】
郭弼都戊子成國】
金宗漢癸巳汝洪】
金致亮己卯英振】
裵祐綱己卯元兼】

郭址奎己卯燦五】
郭址善癸未元五】
郭起柱壬辰聖一】
金奎德己卯德英】
郭庠奎癸未瑞天】
金元東壬辰公一】
金漢東己卯星應】
金繼徹戊午士範】

金碩運丁卯明叔】

乙卯正月日追入
郭利燦己酉賢若】【自落】
郭海榮甲辰士坤】
李之榮乙卯華仲】
郭啓燦乙丑殷若】
郭信燦丁丑信若】

郭麟坤丁亥公振】【改名書坤字和吉】
郭永復辛未元汝】
成晦根戊寅士英】【昌寧麥山
成義根癸未士有】
朴啓源庚寅內沃】【高靈閒洞
郭廷謀丁亥君弼】
金斗濟丁丑景遂】
李元達庚辰善兼】

李元晦壬申善益】
郭斗壽癸未德運】
蔡東奎辛巳洛瑞】

丙辰正月初三日追入
金奭濟丙寅景應】
嚴在榮乙丑華一】
金繼殷己巳聖晦】

金繼英丙子禹瑞】
朴致奎庚寅文七】
金升濟【誠若】
郭鍾禧壬寅

同年十二月十六日追入
郭址恒庚午兼彦】
朴鐵鉉庚辰漢卿】【大邱妙洞

金養黙甲申希悅】【高靈佳谷
成鍾馹壬申聲元】
郭運坤己亥河應】
郭瓚奎甲午致圭】
郭大珏己亥
郭明奎己丑瑞應】
成鍾洛癸未黽瑞】
楊性奎辛巳和善】【昌寧桃洞

丁巳十二月二十一日稧會時追入
郭{氵+奎}壬戌源瑞】
金錫輔甲戌可翊】【昌寧昌樂
郭聖洙丙子允源】【高靈貴院
李鍾發庚辰和之】【館洞
郭基赫丁丑士玉】
金昊誠辛亥孟庸】【星州磨川
崔澐戊寅汝善】【晉州靑岡

崔瀧乙酉躍汝】【晉州靑岡

己未十二月四日追入
李壽濚丁酉士澄】【咸安墻內
庚申十二月十六日追入
郭壽魯乙丑聖則】
朴遂柱丁亥擎天】
甲子七月初八日追入

洪龍源丙寅利見】
李能發壬申贊之】【高靈館洞

同年十二月十三日追入
金思黙丙寅聲彦】
金啓黙己卯國鳴】

丙寅正月初四日追入

金熙均丁未道汝】
原同日追入
金必東戊子明瑞】
金俊國丙申忠一】
丁卯二月十三日追入
金庸國癸卯孟觀】【昌寧大垈


自今爲始如有追入者自甲寅逐
利許入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