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8년~1857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828.4725-20170630.Y1750201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작성시기 1828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1828년~1857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자료적 가치
현재 옥동서원에 현전하는 심원록은 모두 9책으로 본 자료는 그 중 하나로 戊子年 5월 26일부터 丁巳年 5월까지 작성된 것이다. 자료의 작성연대는 첫 번째 입록자인 吳致成은 상주목사로 1828년(순조 28) 1월부터 1832년(순조 32) 1월까지 역임했기 때문에 그가 옥동서원을 방문한 무자년은 재임 중인 1828년이다. 그래서 본 심원록의 연대는 1828년부터 1857년(철종 8)까지 30년간 서원을 방문한 94명의 명단이다. 서원 방문의 목적은 참배가 주된 이유이며, 소·대과 합격 후 관행에 따라 서원을 방문한 인사 즉 帶恩한 9명도 확인이 된다. 이들 방문자들의 43개 성관 중 황희의 후손인 장수황씨 가문이 22명으로 그 비율이 가장 높으며 진산강씨 5명, 관성전씨·풍양조씨 각 4명, 高靈 申·善山 金氏가 각 3명순이다. 방문자들의 거주지는 상주가 절대적이며 金山·밀양·榮州 등이다. 이중 중요 인물에 대해서는 표점을 찍어 구분했는데 모두 13명이다. 이들은 모두 소·대과에 합격했고, 주로 상주 내지 인근에 거주하는 인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인물은 1848년(헌종 14) 상주 공성면에 세거하는 여산 송씨 가문의 宋奎弼과 宋台霖이 주목된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陶山書院의 방문과 그 의미」『퇴계학과 유교문화』 53, 김명자,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828년~1857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자료적 가치
서원은 양반이라면 방문하고 싶은, 또 방문해야 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새로 도임한 관찰사, 고을 및 인근 고을의 수령·察訪·都事 등도 서원에 알묘하고 부조하였다. 지방관들뿐만 아니라 소·대과에 급제한 사람들도 新恩 인사, 전직관료, 유학 등도 거주지에 관계없이 서원에 들러 알묘하고 갔다. 후손·방손·外裔들도 끊임없이 서원을 방문하였다. 바로 심원록은 서원 방문자들의 이름을 적은 방명록이다. 심원록은 임원록과 함께 서원에서 중요히 취급했던 문서로 그 등재 여부도 엄격히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소수서원 심원록 표지에 本官 士人・서얼・中人은 勿書, 표제 인물・鄕員・本府人은 疊書한다는 문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色目이 判異하면 이름을 기재하더라도 인위적인 삭제를 가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서원 방문자들의 심원록 작성은 상식화 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참배 후 본관・이름・관직・字・날짜・방문목적・기타 등의 내용을 적는다. 현재 옥동서원에 현전하는 심원록은 모두 9책으로 본 자료는 그 중 하나로 戊子 5월 26일부터 丁巳 5월까지 작성된 것이다. 자료의 작성연대는 첫 번째 입록자인 吳致成은 상주목사로 1828년(순조 28) 1월부터 1832년(순조 32) 1월까지 역임했기 때문에 그가 옥동서원을 방문한 무자년은 재임 중인 1828년이다. 그래서 본 심원록의 연대는 1828년부터 1857년(철종 8)까지 30년간 서원을 방문한 94명의 명단이다. 기재 방식은 위에 언급한 방식과 유사하며 동행자 기록은 일부 나타나지만 방문 소회를 담은 詩나 방문자 문집 내 기행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 서원 방문의 목적은 참배가 주된 이유이며, 소·대과 합격 후 관행에 따라 서원을 방문한 인사 즉 帶恩한 9명도 확인이 된다. 이들 방문자들을 그 인원과 성관을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長水 黃 각 22명, 晉山 姜氏 5명, 管城 全·豊壤 趙氏 각 4명, 高靈 申·善山 金氏 각 3명, 慶州 金·固城 李·光山 金·南陽 洪·宣城 李·順天 金·安東 權·安東 金·礪山 宋·沃川 全·全州 柳·全州 李·晉陽 鄭·昌原 黃·海州 吳·興陽 李氏 각 2명, 甘泉 文·光陵 李·唐城 洪·密陽 朴·缶林 洪·商山 金·西原 李·星山 裴·星山 李·安定 羅·冶城 宋·永山 金·烏川 鄭·龍潭 金·龍潭 韓·一善 金·竹山 安·靑松 沈·坡平 尹·豊山 柳·韓山 李氏 각 1명 순이다. 43개의 성관 중 황희의 후손인 장수황씨 가문의 비율이 상당이 높으며 진산강씨·관성전씨·풍양조씨들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한편 방문자들의 거주지는 상주가 절대적이며 金山·밀양·榮州 등이다. 이중 중요 인물에 대해서는 표점을 찍어 구분했는데 모두 13명이다. 이들은 모두 소·대과에 합격했고, 주로 상주 내지 인근에 거주하는 인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인물은 1848년(헌종 14) 상주 공성면에 세거하는 여산 송씨 가문의 宋奎弼과 宋台霖이 주목된다. 먼저 전자는 字는 文徵이고, 호는 南皐로 1780년(정조 4) 출생하였다. 18세기 상주지역을 대표하던 立齋 鄭宗魯 문하에서 공부를 했고, 1814년(순조 14) 식년시 병과 11위로 급제한 후 承文院副正子·著作·博士·太常寺直長·宗簿寺主簿·典籍·監察·持平·連原道察訪 등을 거친 뒤 낙향하여 棣華堂을 지어 후학을 양성하고 향약을 제정하였다. 후자는 字는 壽汝로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注書·長寧殿別檢·成均館典籍·兵曹佐郞·正言·持平·吏曹正郎·梁山郡守·敦寧都正 등 내외직을 역임했다. 특히 1840년(헌종 6) 부임한 양산군수 재직 당시 三政에 대한 善政을 펼친 덕분에 이임 10년 후 송덕비가 건립되기도 하였다. 양자 모두 관직에서 퇴임 후 고향인 옥동서원을 방문했던 것이다. 18세기 말 이래 다양한 가문들이 옥동서원 원임직에 참여하게 된 것은 1789년(정조 13)의 사액이 큰 영향을 미쳤다. 사액이 된 이후 경주의 옥산·서악·용산서원과 같이 옥동서원상주목의 서부지역을, 도남서원은 동부지역을, 흥암서원은 관내를 영도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던 것은 분명했지만 여전히 상주 사림 이외의 옥동서원에 대한 출입이 그리 활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에도 지방관 방문을 비롯해 대소과 합격자 등의 방문에서 보듯 사액 후 지역 내 위상을 어느 정도 유지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옥동서원은 당색이 분명하지 않으나 대체로 남인계 서원으로서 자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자료적 가치
심원록 분석은 그 서원의 위상을 반영하는 일정한 窓이 될 수 있는데 본 자료를 통해서 옥동서원이 사액받기 이전 대외 인적 네트워크 파악에 일정한 의의가 있다. 또한 옥동서원의 학맥과 인맥, 정치적 성향을 가늠하게 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陶山書院의 방문과 그 의미」『퇴계학과 유교문화』 53, 김명자,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地主海州吳致成戊子五月二十六日祗 謁
晉山姜長欽六月初一日祗 謁
順天金晉礪七月初一日祗 謁
外裔靑松沈東翼七月晦日祗 謁
後孫黃正熙八月二十日祗 謁
外裔豊城趙述先具月初九日祗 謁
豊山柳憲春叔度 壬寅 同日祗 謁
韓山後人李南老叔明 甲戌 乙巳五月二十日 帶恩祗 謁
庬村後孫辛巳 靈翼 八月初十日祗 謁
後學星山裴相琳己巳 伯强 乙巳十一月初一日祗 謁
後學固城南錫景丙午正月二十九日祗 謁
庬村後孫龍源字君躍 甲寅生 居密陽丙午三月初八日祗 謁
礪山後人宋奎弼
礪山後人宋台霖
慶州後人金履泰
豊壤後人趙述孝
永山後人金斗秀同月二十五日祗 謁
庬村外裔南履穆丙午閏五月二十五日祗 謁
密陽後人朴履欽同日祗 謁
安東後人權最守六月十一日 帶恩祗 謁
南陽洪永燮丙午七月初一日祗 謁
庬村後孫泰源石元 丙子 七月二十四日祗 謁
桂源敬元 壬午
庬村後孫王+憲翼之 九月三十日祗 謁
伯圭 庚申
士綱 丁巳
禾+曾淸汝 乙酉
昌原黃在衡十月十一日以恩刂祗 謁 因宿 一叔馬
庬村十五代孫守黙十二月初五日祗 謁
庬村後孫自綱 乙卯 十二月二十三日祗 謁
庬村十四代孫東老箕叟 戊午
龍老應伯 氣味 丁未正月二十三日祗 謁
翔老明瑞 辛酉
坡平尹致華七月十五日 帶恩祗 謁 四僮 二馬
庬村十五代孫奎黙叔文 丁卯 十月十三日祗 謁
安東後人金孝健孟元 丙午 十一月十四日祗 謁
金在健而? 辛亥 同日祗 謁
西原後人李奎運宋賢 己巳 戊申三月二十八日祗 謁
槃磵先生外裔缶林洪殷標八月十六日 帶謁
高靈後人申象永八月十八日 帶恩祗 謁
庬村外裔晉陽鄭若愚八月二十日 帶恩祗 謁
順天後人金性舜仲善 丙辰 十一月十二日祗 謁
高靈後人申獻永致之 壬子 十一月十三日祗 謁
興陽後人李起泰君弼 乙亥 甲寅十二月十五日祗 謁
沃川全秀東寧一 辛亥 居榮州 乙卯正月二十日 ?奴一 正城祗 謁
烏川後人鄭允祐金山乙卯二月十七日過祗 謁
庬村後孫玄老景黙 丁亥 同月十九日祗 謁
光山後人金穉鉉祗 謁
沙西先生九代孫國漢 鴻漢乙卯二月念八日祗 謁
乙卯三月初七日未宿
晉山姜佐馨
姜睦永
甘泉文彙斯
晉山姜廈永
姜正熙
光山盧鳳贒士鴻 庚寅 三月初三日祗 謁
興陽後人李耆祖?述 丁酉 同日祗 謁
後孫黃義謙益可 丁酉 同日正月日祗 謁
高靈申震求在天 壬戌 三月十五日祗 謁
一善金器魯同月二十三日午前入祗 謁 滿月二十四日午後出
光陵李健秀四月初三日祗 謁
先城李宅壽同日祗 謁
海州後人鄭現致玉 丙子 乙卯二月日帶恩祗謁
固城李邁秀八月初六日祗 謁宿過
庬村外裔星山李驥相帶恩祗謁 乙卯八月二十六日
安東權煥奎九月初五日祗 謁
慶州金洪金+享月日祗 謁
昌原後人黃在瓚十月十日 率奴??宿
庬村後孫鎭黙泰汝 己丑 乙卯十月十六日祗 謁
外裔全州柳致好李好 戊辰 同月二十六日祗 謁
善山金道忠同月二十七日祗 謁暫過
金學洙
宣城後人李秉幹十一月初六午過有奴馬
庬村後孫處佐德華 辛未 乙卯十月十七日祗 謁
庬村後孫鼎源德受 己巳 丙辰三月二十五日祗 謁
庬村後孫基源啓啇 丙戌 丙辰三月二十五日祗 謁
庬村後孫商老景皓 戊午 四月十八日祗 謁
善山後人金時鳳士洪 乙亥 丙辰五月初十日帶 恩祗謁
豊壤後人趙黙泰大而 戊午 八月十二日來宿祗 謁
管城後人全奎權聖會 辛酉 四月二十五日 祗謁
全瑞奎而見 癸亥
全益鉉仲孺 庚午
全基萬世卿 乙酉
冶城後人宋鴻翼丙辰九月初四日 祗謁
庬村外裔豊壤趙虎榮文若 壬午十月初四日 祗謁
晉陽後人鄭顯愚同月十八日 祗謁
唐城後人洪時簡厚之 庚午 十二月十九日 祗謁
全州後人柳韺桂明 甲戌
全州後人李宗夏繼綱 壬午
竹山後人安復善泳化 辛巳 丁巳四月十一日來宿祗 謁
安定後人羅來純而繪 壬申 同月二十二日祗 謁
商山後人金漢升丁巳五月初七日祗 謁
全州後人李鉉奎
龍潭後人金祖淵丁巳五月初九日祗 謁
龍潭後人韓厚植丁巳五月祗謁 龍潭女是居卿共?無本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