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14년~1800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임원록(任員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1714.4725-20170630.Y175020101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작성시기 1714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119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1714년~1800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임원록(任員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서원을 구성하고 있는 실질적인 주체는 원임(院任)과 원생(院生)이었다. 옥동서원의 원임 구성을 알려주는 자료는 서원 소장 고문서로 ‘任員錄’이 있다. 현전하는 본 자료인 임원록에 의하면 옥동서원의 운영 체제는 ‘원장(院長)-재임(齋任)’ 체제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옥동서원의 인적 구성에 변화가 생긴 것은 1868년(고종 5) 가을부터였다. 이때부터 ‘원장-1유사-재임’, ‘1유사-2유사-재임, 장의(掌議)’의 체제로 변모하였다. 즉, 1714년부터 1868년 봄까지는 기존의 ‘원장-재임’체제가 이어졌지만, 1868년 가을부터 1885년(고종 22)까지 ‘원장-1유사-재임’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17년 동안 일정기간 기존의 원임체제로 운영되기도 했지만, 주로 유사를 원임으로 넣고 있었다. 이러한 체제에 변화가 나타난 것은 1887년(고종 24)년부터로, 원임 중 원장직을 없애고 ‘1, 2유사-재임’ 체제로 나간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2년이 지난 1889년부터는 ‘유사(有司)-장의(掌議)’체제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893(고종 30)년 ‘원장-재임’의 체제로 되돌리기 전까지의 일시적인 현상이었다. 옥동서원 원장은 1714년에서 1800년까지 86년간 92명이 평균 11.2개월을 역임하였다. 18세기 원장을 역임한 인사들을 성관별로 나열하면 장수황씨 22명, 풍양조씨 16명, 흥양이씨 13명, 진주강씨 10명, 상산김씨 5명, 부림홍씨 5명, 信川康氏 3명, 경주손씨 3명, 성산여씨 3명, 廣州노씨 3명, 진주鄭氏 2명, 沃川全氏 2명, 은진송씨 1명, 안동권씨 1명, 나주丁氏 1명, 의령남씨 1명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다시 이들의 직역을 구분하면 군수·현감 등의 지방관 4명, 장령·도사·헌납·봉사·주부 등의 관료 8명, 생원·진사 14명으로 나타난다. 모두 26명으로 전체 원장의 28%에 해당되는 수치이며, 나머지 72%는 모두 유학(幼學)이다. 19세기 들어 옥동서원은 중앙관료의 원장직 추대가 늘어나고 있었다. 이는 관권의 협조를 통해 서원의 운영을 원활히 하기 위한 조처로 보인다. 1850년(철종 1)에 상주목사가 임명된 이래 1910년까지 13명의 상주목사(군수)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714년~1800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임원록(任員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서원을 구성하고 있는 실질적인 주체는 원임(院任)과 원생(院生)이었다. 옥동서원의 원임 구성을 알려주는 자료는 서원 소장 고문서로 ‘任員錄’이 있다. 현전하는 본 자료인 임원록(1714∼1899, 1900∼1960) 2책에 의하면 옥동서원의 운영 체제는 ‘원장(院長)-재임(齋任)’ 체제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 옥동서원의 인적 구성에 변화가 생긴 것은 1868년(고종 5) 가을부터였다. 이때부터 ‘원장-1유사-재임’, ‘1유사-2유사-재임, 장의(掌議)’의 체제로 변모하였다. 즉, 1714년부터 1868년 봄까지는 기존의 ‘원장-재임’체제가 이어졌지만, 1868년 가을부터 1885년(고종 22)까지 ‘원장-1유사-재임’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17년 동안 일정기간 기존의 원임체제로 운영되기도 했지만, 주로 유사를 원임으로 넣고 있었다. 이러한 체제에 변화가 나타난 것은 1887년(고종 24)년부터로, 원임 중 원장직을 없애고 ‘1, 2유사-재임’ 체제로 나간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2년이 지난 1889년부터는 ‘유사(有司)-장의(掌議)’체제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893년(고종 30) ‘원장-재임’의 체제로 되돌리기 전까지의 일시적인 현상이었다. 옥동서원 인적 구성 변화의 주요 원인은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 이후 노론 집권 세력은 남인의 본거지인 영남 지역을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환경 변화에 맞추어 옥동서원 원장과 원임의 구성에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상주목 내에서 원장을 선출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주변 군현의 명망 있는 인사 내지 지방관을 원장으로 초빙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정치적 외풍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고, 옥동서원에 대한 우호 세력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의도도 일정 부분 있었을 것이다. 옥동서원 원장은 1714년에서 1800년까지 86년간 92명이 평균 11.2개월을 역임하였다. 18세기 이전 여타 서원들의 원장 재임 기간이 평균 2년을 상회하던 것과 비교하면, 옥동서원 원장의 재임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난다. 그러나 옥동서원을 1714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초창기에는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가급적 지역 내 명망 있는 인사들을 원장으로 초대하였으며, 2년의 임기 또한 잘 지켜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초대 원장 진사 李泰至(1674∼?)는 蒼石 李埈의 증손으로 당대 영남학파의 영수였던 갈암 이현일과 친교가 있던 인물이었다. 이후 1729년까지는 원장으로 진사 이태지, 掌令 권상일, 都事 鄭宗魯, 主簿 洪相民, 縣監 洪道達 등의 직역을 가진 자들이 임명되어 서원의 안정적 운영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특히 권상일과 정종로는 당대 상주 및 영남을 대표하던 학자로 옥동서원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원장이었다. 18세기 옥동서원 원장을 역임한 인사들을 성관별로 나열하면 장수황씨 22명, 풍양조씨 16명, 흥양이씨 13명, 진주강씨 10명, 상산김씨 5명, 부림홍씨 5명, 信川康氏 3명, 경주손씨 3명, 성산여씨 3명, 廣州노씨 3명, 진주鄭氏 2명, 沃川全氏 2명, 은진송씨 1명, 안동권씨 1명, 나주丁氏 1명, 의령남씨 1명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다시 이들의 직역을 구분하면 군수·현감 등의 지방관 4명, 장령·도사·헌납·봉사·주부 등의 관료 8명, 생원·진사 14명으로 나타난다. 모두 26명으로 전체 원장의 28%에 해당되는 수치이며, 나머지 72%는 모두 유학(幼學)이다. 원장들의 거주지를 살펴보면, 장수황씨·풍양조씨·흥양이씨·진주강씨 등 주로 서원이 위치한 상주 관내와 인접 고을 출신의 인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부분 변화가 있다. 전반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원장 역임자는 상주목 내 전역으로 확대되어가는 양상이었는데, 이는 우호세력의 확대와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한편으로는 제향인의 후손인 장수황씨들의 참여가 시대가 내려오면서 점차 많아짐이 나타난다. 이는 17세기 이후 서원의 성격이 문중서원화 되어 가던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원장으로 추대되고도 참석하지 않는 ‘미출좌(未出座)’로 표기된 인물들이 18세기 말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원장을 맡은 인사들의 성격 변화는 19세기 들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신천강씨·나주정씨·옥천전씨 가문 출신의 원장이 없어진 반면, 풍산柳氏 가문에서 4명, 여흥 가문에서 2명, 인천채씨·파평윤씨·순천박씨 가문에서 각 1명 등 새로운 가문 출신의 인사가 원장직을 역임하게 된 것이다. 이외에도 성산여씨·경주손씨·풍양조씨의 참여 수가 줄어들고, 이씨·홍씨·노씨·김씨·남씨·권씨의 참여가 소폭 증가하였다. 이들 가문 이외에 장수황씨 가문에서 42명, 진주강씨 가문에서 28명, 진주정씨 가문에서 15명, 상산김씨 가문에서 10명의 원장을 배출하였다. 특히, 은진송씨 가문의 경우 이전까지 1명의 원장만을 배출하였지만, 19세기 들어와 8명의 원장을 배출하면 그 비중이 크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 말 이래 다양한 가문들이 옥동서원 운영에 참여하게 된 것은 1789년(정조 13)의 사액이 큰 영향을 미쳤다. 사액이 된 이후 경주의 옥산·서악·용산서원과 같이 옥동서원상주목의 서부지역을, 도남서원은 동부지역을, 흥암서원은 관내를 영도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던 것은 분명했지만 여전히 상주 사림들의 옥동서원에 대한 출입이 저조하고, 원임 선발에서 어려움이 나타나는 것은 바로 특정 당색을 표방하지 않고 있던 옥동서원을 문중서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기에 지리적 요인에 의한 접근성이 제한된 것에 기인한 바가 컸다. 그래서 상주 서부지역을 아우르는 옥동서원에 강씨, 정씨, 김씨 등의 이 지역 사림들의 참여가 건립 초부터 많았던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19세기 들어 옥동서원은 중앙관료의 원장직 추대가 늘어나고 있었다. 이는 관권의 협조를 통해 서원의 운영을 원활히 하기 위한 조처로 보인다. 1850년(철종 1)에 상주목사가 임명된 이래 1910년까지 13명의 상주목사(군수)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후반으로 갈수록 빈도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었는데, 이는 서원훼철령과도 관련이 깊다. 서원철폐 후 국가에서는 남은 서원의 원장을 지방 수령이 담당하여 운영·관리토록 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서원의 운영체계도 변화가 나타났다. ‘원장-유사-재임’의 체제로 바뀐 것이다. 이전에 비해 유사의 직임이 늘어났다. 이는 원장을 수령이 담당하면서 서원의 업무를 전적으로 담당하기 어렵기에 원장을 보조하는 역할로서 유사를 추가로 두었던 것이다. 이러한 인적 구성은 1887년(고종 24)에 다시 ‘유사-재임’체제로 변경된다. 즉, 수령이 1유사로서 원장직을 맡고, 2유사를 향중에서 선발하여 서원의 실질적 운영을 담당하였다. 그 아래 재임을 두었는데, 이들 재임도 1889년(고종 26)부터는 장의(掌議)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러 1893년(광무 7) 가을, 이전과 동일하게 ‘원장-재임’의 체제로 정비되었다. 이때에는 수령이 원장을 맡는 것이 아니라 향중에서 원장을 선발하였다. 또한 원임의 선발도 이전에 비해 더욱 어려워져서 1년에 봄, 여름, 가을의 3차례를 주기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변화 등으로 인해 서원의 운영이 그만큼 어려워졌으며, 원임직의 권위가 이전 보다 크게 약화되어 사족들이 기피하는 대상이 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었다.
자료적 가치
사액과 훼철되지 않았던 상주지역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옥동서원 의 운영 체제와 인적 구성의 변화 및 상주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유의미한 자료이다. 대외 환경 변화에 따라 상주목 내에서 원장을 선출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명망 있는 인사 내지 지방관을 원장으로 초빙하여 정치적 외풍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고, 옥동서원에 대한 우호 세력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의도도 일정 부분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권상일과 정종로 등 당대 상주 및 영남을 대표하던 학자들이 원장에 초빙했던 것이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任員錄
甲午
院長李泰至
齋任黃汎
宋治文
金益紀
黃漪
金道標
丙申
院長姜珣
齋任黃漪
宋道天
黃鎭國
李增運
黃瀗
黃淑
趙允紀
黃龍河
生員 丁酉
院長洪相民主簿
齋任趙允紀
黃龍河
趙恁
李增該
黃泰河
己亥
院長洪道達縣監
齋任黃泰河
李增該
趙允裕
辛丑
院長康守楷
齋任黃泰河
趙允裕
宋光馥
黃翼纘
黃鍾䢖
趙命星
壬寅
院長呂以觀
齋任黃鍾䢖
宋邦泰
黃翼達
金寅紀
甲辰
院長黃鍾瑞
齋任金寅紀
黃翼達
黃溟
趙允明
丙午
院長權相一掌令
齋任趙允明
黃道重
黃翼纘
黃涑
宋道燮
丁未
院長李增燁進士
齋任黃涑
金瑞浻
金利國
黃澯
黃澈
己酉
院長盧思義
齋任黃澈
金德標
李挺
黃澕
庚戌
院長黃鎭中
齋任黃澕
宋邦翰
辛亥
院長趙自愼
齋任黃翼述
趙允楨
黃洌
李正相
壬子
院長黃澫進士
齋任黃洌
李正相
黃元重
黃淙
癸丑
院長金聖采
齋任金德標
黃聖河
成潝
甲寅
院長金良鉉
齋任黃氵+策
李正相
院長李麟至進士
齋任金瑞煥
黃處重
尹商輔
丙辰
院長黃龍河生員
齋任黃遠重
趙允賢
黃澕
戊午
院長趙允紀
齋任黃垕重
宋邦弼
院長姜碩弼
齋任黃處重
李正相
黃義重
宋王+寔
院長金寅紀
齋任宋王+寔
李正相
黃頤重
黃夏三
趙允祥
黃緯重
黃元重
庚申
院長康萬元
齋任黃元重
韓必壽
金利國
辛酉
院長李增茂
齋任黃澕
金利國
黃得重
宋㻛
曹顯國
黃景翰
壬戌
院長黃漪
黃景翰
曹顯國
黃垈重
癸亥
院長孫雲傑
齋任姜欐
李坤敏
黃性重
趙命弼
乙丑
院長康命杓
齋任趙命弼
黃性重
黃遠重
盧夏純
黃斗南
全致龍後改熙世
丁卯
院長呂台周
齋任黃斗南
全致龍後改熙世
趙命新
康度身
戊辰
院長李知聖縣監
齋任趙命新
康度身
己巳
院長金聖欽郡守
齋任趙命新
康度身
黃性重
庚午
院長宋邦維
齋任金聖鍵
黃性重
盧斗文
院長金寅紀
齋任黃性重
黃景幹
辛未
院長李漢訥進士
齋任黃景幹生員
宋思玄
金致龜後改熙祚
壬申
院長黃涑
齋任黃景幹
金致龜後改熙祚
金光葉生員
黃復熙
癸酉
院長姜杭
齋任金光葉
黃復熙
黃命幹
康獻身
黃孝重
金克敬
甲戌
院長黃湛
齋任黃孝重
金克敬
黃利幹
河龍國
黃處休
金相鐸
乙亥
院長趙天經進士
齋任河龍國
全相鐸
黃澣
丙子
院長黃氵+奭
齋任金相鐸
黃澣
黃尙謙
琴舜恊
丁丑
院長姜杭都事
齋任金相鐸
呂鑅
黃復熙
黃日熙
鄭再僑
黃獻文
黃䢖中
趙宇鎭
庚辰
院長鄭樂愼
齋任黃䢖中
趙命德
趙維鎭
黃祥幹
黃孝重
辛巳
院長全始亨
齋任黃祥幹
黃泰熙
黃孝重
姜杵
院長黃處重
齋任黃泰熙
姜杵
院長孫雲述
齋任黃䢖中
趙鎭宅
趙日鎭
黃履重
癸未
院長黃遠休
齋任黃履重
趙日鎭
院長全氣和
齋任盧鼎文
黃載熙
趙奎鎭
李增久
甲申
院長黃翼纘
齋任黃載熙
李增久
宋思仁
乙酉
院長盧漢文
齋任宋思仁
黃載熙
院長趙命熙
齋任黃敬中
宋思仁
黃履重
李愼儉
丙戌
院長姜杭都事
齋任趙奎鎭
李益榮
丁亥
院長李後松
齋任趙奎鎭
李益榮
徐麟玉
孫時璧
院長李增述
齋任孫時璧
盧性元
全熙達
戊子
院長姜銑
齋任盧性元
黃宅熙
全達道
己丑
院長李增暐
齋任趙雲慶
趙鎭基
庚寅
鄭禮模
黃敬中
盧光宅
辛卯
院長呂鐺
齋任黃敬中
黃泰熙
黃碩熙
金潤萬
壬辰
院長盧鼎文
齋任黃對休
趙遇和
李益榮
癸巳
院長趙允賢
齋任黃對休
李益榮
李堯臣
黃宅熙
呂俊復
院長黃大休
齋任趙重鎭
呂俊復
李益榮
黃百休
李東時
甲午
院長趙錫龍掌令
齋任黃百休
黃泰熙
金可權
孫必慶
乙未
院長黃景幹生員
齋任金可權
孫必慶
趙遇和
孫龍慶
鄭明魯
李堯蓂
黃弼熙
丁酉
院長趙鎭暐
齋任孫泰慶
黃弼熙
戊戌
院長黃瑞熙
齋任黃允熙
李益榮
己亥
院長李承廷
齋任黃允熙
李益榮
院長趙錫喆進士
齋任黃允熙
李益榮
孫鼎慶
庚子
院長趙錫喆
李益榮
權尙規
鄭得魯
院長黃啓熙
趙重鎭
趙遂和
院長洪羽吉
齋任李益榮
趙遂和
院長姜世晉
齋任李益榮
黃耳老
鄭成魯
趙述和
甲辰乙巳
院長黃聖休
齋任趙述和
鄭成魯
黃宗熙
李健培
全鼎後後改配垕
乙巳
院長姜必岳
齋任鄭重魯
趙鎭和
黃鶴老
丙午
院長姜必岳
齋任黃鶴老
黃學範
李國培
院長趙安經
齋任黃鶴老
李國培
呂大復
趙遇和
丁未
院長趙鎭完
齋任黃弼熙
李敏儉
李堯績
李挺儒
院長黃䢖中
齋任黃弼熙
李挺儒
孫弘慶
戊申
院長李禧遠
齋任黃弼熙
金憲慶
李最儉
己酉
院長趙錫穆獻納
齋任李堯績
黃弼熙
院長南必毅
齋任孫海慶
黃蓍老
庚戌
院長鄭宗魯
都事 齋任黃國老
黃莘老生員
李挺儒
黃趾熙
辛亥
院長黃復熙
齋任黃潤土+正
姜鳳欽
趙侃洙
李最儉
呂文復
李堯恊
姜世德
黃國老
壬子
院長李禧遠
齋任黃耳老
姜世德
黃極老
洪學南
癸丑
院長趙錫獻
齋任洪學南
黃極老
李翼煥
金百礪
黃巖老
甲寅
院長洪錫胤
齋任黃巖錄
金百礪
院長黃敬中
齋任李學培
黃蓍老
乙卯
院長黃敬中
齋任李學培
黃蓍老
金憲敬
丙辰
院長黃敬中
齋任趙抃然
鄭象晉參奉
黃極老
院長趙奎鎭
齋任黃極老
趙抃然
院長姜必章
齋任黃極老
趙抃然
金章泰
丁巳
院長趙沐洙未出座
齋任李健培
黃遇熙
院長李坤宅
齋任李健培
黃遇熙
趙承洙
黃眉老
院長李敬儒參奉
齋任黃眉老
李命培
黃極老
全在一
戊午
院長孫曾顯
齋任黃極老
李廣培
院長洪胤忠
齋任盧光瑞
李錫培
氣味
院長黃載熙
齋任李光瑞
李錫培
院長趙錫儉
齋任黃敬中
李錫培
孫鎭璧
庚申
院長呂俊復
齋任黃敬中
姜長欽
院長鄭重魯
齋任黃輔熙未出座
姜長欽
辛酉
院長黃載休
齋任黃輔熙
姜長欽未出座
黃蓍老
李養誠
黃禮熙
趙宅樑
金宗鎬
黃躋熙
柳光淑
壬戌
院長盧啓心
齋任黃躋熙
柳光淑
院長姜世白
正字 齋任金百礪
院長孫會慶
郡守 齋任黃頤老
申憬祿
癸亥
院長金可權
齋任孫覺慶
黃夏老
柳光淑
黃彦休
盧象敬
黃極老
全在一
乙丑
院長黃聖天
齋任趙泰永
李廷實
李養誠
丙寅
院長姜世白持平
齋任趙抃然
洪學謩
黃錫老
黃宣老
院長李敬儒奉事
齋任金宗鎬
黃躋熙
院長盧以文
齋任金宗鎬
黃躋熙
丁卯
院長黃鶴老
齋任金宗鎬
黃躋熙
趙鎭城改述老
黃宣老
戊辰
院長姜世謩
齋任趙述老
洪宣老
金赫傳
鄭致權
己巳
院長洪羲復
齋任羅漢東
黃淳老
黃挺熙
姜大欽
院長李之存
齋任黃轅老
金晉遇
庚申
院長李克培
齋任金宗鎬
黃轅老
辛未
院長黃華老生員
齋任姜哲欽生員
黃晉鉉
黃奎老
黃箕老
全秉一
壬申
院長鄭得魯
齋任姜大欽
黃處老
院長李學培
齋任姜大欽
黃處老
癸酉
院長黃禮熙生員
齋任姜大欽
3539
黃象鉉
甲戌
院長姜世綸修撰
齋任黃象鉉
宋啓泰
趙晉榮
黃晉鉉
李選基
李坤五
乙亥
院長黃眉老
齋任李坤五
黃浩善
洪燮周
黃漢老
金載崙
丙子
院長南漢皜
齋任黃浩善
洪燮周
李起宗
院長姜世揆正言
齋任黃浩善
李起宗
呂思汲
戊寅
院長鄭成魯
齋任黃益鉉
呂思汲
院長姜世興未出座
齋任黃益鉉
呂思汲
己卯
院長黃磻老生員
齋任黃益鉉
呂思汲
金載崙
院長洪學範
齋任黃淳老
李墵
庚辰
院長李正運
齋任黃淳老
盧立敬
院長黃錫老
齋任呂思著
黃泰鉉
黃昇鉉
金載獻
辛巳
院長鄭秉魯
齋任黃履鉉
宋啓卨
院長趙抃然
齋任南植正
黃奎鉉
孫鎭度
盧立敬
壬午
院長黃國老
齋任黃麟老
柳榮漢
院長姜鳳欽
齋任黃命鉉
趙秉坤
癸未
院長黃躋熙
齋任黃昇鉉
金宗儒
姜秀永
甲申
院長黃赫熙
齋任黃昇鉉
姜秀永
乙酉
院長盧象敬
齋任黃昇鉉
姜秀永
院長金經運
齋任黃彭老
孫石一
李天會
丙戌
院長趙侃洙
齋任黃彭老
李廷寶
李土+奭
院長黃贊熙正言
齋任黃汝熙
李土+奭
李圭夏
丁亥
院長盧光瑞
齋任李圭夏
盧性浩
孫石鍊
院長李錫培
齋任黃台鉉
李圭夏
院長黃趾熙
齋任黃勉善
李圭夏
黃典熙
李翼培
戊子
院長姜長欽參奉
齋任黃周鉉
金晉礪
院長鄭象履
齋任孫鎭度
黃昶熙
盧性純
黃源善
己丑
院長黃遇熙
齋任黃昶熙
盧性純
孫石鏞未出座
黃德老
院長李升培생원參奉
齋任黃大鉉
姜勉永
己丑秋
院長黃達熙
齋任黃大鉉
姜勉永
宋啓燮
院長柳尋春長史
齋任黃大鉉
姜始永
院長黃獻老
齋任李塾
黃箕鉉
姜斗欽
黃龜善未出座
黃兌老
金鱗河
李圭河
院長鄭象晉參奉
齋任黃兌老
李圭夏
黃得雨
宋鼎璉未出座
趙榮輔
院長姜世誾參奉
齋任孫石鏞
黃得雨
壬辰春
院長柳晉春
齋任黃龜善
盧主敬
院長李挺
齋任黃衡老
金秀敬
癸巳春
院長黃轅老
齋任黃衡老
宋啓浩
宋箕璉
甲午春
院長柳抃春
齋任李起夏
黃敎雨改在鍾
黃大鉉
金魯岳
院長黃獻老
齋任鄭民覺
孫石鏞
姜選永
李圭夏
乙未秋
院長姜大欽
齋任孫石鏞
李圭夏
丙申春
院長姜大欽
齋任孫石鏞
李圭夏
院長黃命鉉
齋任黃周鉉
宋仁璉
丙申秋
院長李挺實
齋任全大一
黃周鉉
丁酉春
院長姜哲欽生員
齋任趙益勳
黃廷老
宋奎淵未出座
丁酉秋
院長黃浩善
齋任孫石立
黃義老
黃弼老
姜命欽
戊戌秋
院長金揚壽生員
齋任黃一老
李會秀
黃敬雨
己亥春
院長宋奎弼正言
齋任黃邁善
全鳳九
院長黃益鉉
齋任黃邁善
全鳳九
盧性大
李圭夏
金秀敬
黃岡老
庚子春
院長姜俶欽
齋任姜性欽
黃弼老
黃得雨
李鉉佐未出座
李圭夏
庚子冬
院長金揚壽生員
齋任黃得雨
李圭夏
辛丑秋
院長李起魯
齋任黃佑鉉
黃敬雨改在鍾
李會秀
壬寅春
院長黃昇鉉
齋任李會秀
黃摯鉉
癸卯春
院長黃淳老
齋任孫永冑
金履秀
癸卯冬
院長洪大欽
齋任金永河
孫石宗
黃垈老
李圭夏
甲辰春
院長鄭象璜
齋任孫石宗
黃弼老
己巳春
院長金英壽
齋任姜運欽
黃弼老
己巳秋
院長姜哲欽
齋任趙璧勳
金鳳九
丙午春
院長黃龍善
齋任趙璧勳
黃在五
丁未春
院長姜秉欽未出座
院長鄭民穆
齋任金瑞河
金重燮
姜憲永
黃在直
院長洪肯周
齋任金重燮
黃在直
戊申春
院長李奎錫
齋任金重燮
黃馨周
院長黃源善
齋任鄭民啓
黃馨周
院長呂思汲
齋任鄭民啓
黃馨周
黃摯鉉
院長黃奎鉉未出座
齋任宋奎文
黃摯鉉
己酉
院長姜冑永
齋任全叔九
黃在敎
黃源一
李起榮
黃世鉉
院長蔡嶷東
齋任黃世鉉
李起榮
庚戌
院長黃台鉉
齋任李起榮
黃世鉉
鄭述愚
黃致老
地主院長金箕絢
齋任黃致老
鄭述愚
院長鄭民秉
齋任黃致老
宋奎澤
院長姜周永
齋任宋奎澤
黃致老
呂重祖
辛亥
院長李鉉象
齋任宋奎澤
呂重祖
黃圭老
辛亥秋
院長宋啓升
齋任呂重祖
黃圭老
黃宗雨
院長趙述銓
齋任黃在五
孫汲
金九恊
癸丑
院長黃範熙
齋任趙榮復
黃世老
院長盧立敬
齋任趙榮復
黃祺老
宋圭馹
黃在定
院長黃大鉉
齋任宋圭馹
甲寅
院長黃大鉉
齋任宋圭馹
黃在直
姜垈永
院長姜命欽
齋任黃奭鉉
趙基碩
乙卯
院長姜命欽
齋任黃奭鉉
盧秉觀
全永九
院長黃奎欽
齋任黃奭鉉
丙辰
院長黃垈老
齋任黃養善
金羲鏞
金漢羽
李弘敎
盧鳳賢
柳觀祚
黃蘭善
院長宋台霖正言
齋任柳觀祚
黃蘭善
院長鄭象樞正言
齋任姜逈永
黃達善
丁巳
院長宋鼎璉
齋任金羲鏞
韓致永
黃在中
院長趙述立未出座
齋任黃鐸
姜來永
院長黃集善
齋任黃鐸
姜來永
宋奎憲
戊午
院長孫石鍊
齋任宋奎憲
黃鐸
院長姜始永
齋任宋奎憲
黃鐸
院長黃奎鉉
齋任宋奎憲
黃鐸
姜運永
黃瓚周改庶周
己未春
院長洪肯周
齋任李秉華
黃鍍
院長金晉礪
齋任黃鍍
李秉華
洪祐善
黃麟周
庚申秋
院長姜性欽未出座
齋任黃麟周
院長黃大鉉
齋任洪祐善
黃麟周
辛酉春
院長盧圭敬
齋任洪祐善
黃麟周
李耆輔
李秉華
壬戌春
院長黃垈老
齋任姜春永
黃蘭善
癸亥春
院長姜彙永
齋任趙榮元
黃養善
金奎學
甲子秋
院長權逴
齋任黃養善
金奎學生員
乙丑春
院長姜胥永生員
齋任李秉華
黃文善
院長鄭允愚別提
齋任金遇河
趙光河
黃蘭善
丙寅春
院長宋箕璉
齋任黃蘭善
趙光夏
黃在敎
金憲奎
丙寅秋
院長趙逴
齋任黃源萬
黃箕善
金重八
丁卯春
院長鄭民采
齋任朴光梓
黃養善
黃寵周
姜逵永

院長金熙永縣監
齋任黃太周
姜逵永
戊辰春
院長黃摯鉉
齋任黃在昌
姜逵永
李韶九
黃炳善
宋基魯
黃達善

院長鄭基永地主
一有司姜申永生員
齋任黃達善
全相龍
己巳春
一有司黃廷老
齋任宋台浩
黃命善

院長南廷鶴地主
一有司宋鎭遠生員
齋任姜有馨
黃命善
庚午春
院長閔致序地主
一有司黃致老
齋任權杓永
黃命善
黃杰老
趙秉均

一有司全鳳九
齋任黃杰老
趙秉均
辛未春
一有司黃在五
齋任趙秉均
黃任周
辛未秋
院長趙秉老地主
壬申春
一有司鄭民采
齋任金秉欽改一
黃任周
壬申秋
一有司鄭民采
齋任金一欽
黃任周
癸酉春
院長柳重祚未出座
齋任趙在東
姜芷馨
癸酉秋
一有司鄭淵愚未出座
齋任黃建周
姜芷馨
甲戌春
院長洪祐慶地主
一有司洪宗雨
齋任趙在夏
黃建周
甲戌秋
一有司洪宗雨
齋任趙在夏
黃建周
乙亥春未出座
李秉宇
全洪九
黃夏鉉
乙亥秋
都執禮權逴
句管有司朴奎珣
丙子春
一有司姜佑永
齋任李時龍
黃羲學
丙子秋
院長金奭根地主
一有司黃勉周
齋任黃在瓚
丙子秋
一有司黃在弼
李時龍
丁丑春
一有司全鳳九
齋任呂錫九
黃明善
丁丑春
院長宋奎灝未出座執義
齋任呂錫九
黃明善
丁丑夏
一有司趙冑夏
齋任黃炳善
呂錫九
戊寅春
院長朴憲錫地主
一有司黃摯鉉
齋任黃炳善
呂錫九
盧載厚
己卯春
一有司鄭民英
齋任黃炳善
盧載厚
己卯秋
院長李土+喜
一有司姜來永
齋任黃瓚周
宋鎭兟
庚辰春
院長姜來永
一有司
齋任黃贊周
宋鎭兟
壬午春
院長宋泰璉未出座
齋任李時倬
黃景善
院長黃蘭善
齋任李時倬
黃景善
壬午秋
院長宋奎灝
齋任黃景善
孫永承
癸未秋
院長李晩綏地主
齋任鄭守黙
黃在鳳
黃在三
甲戌秋
院長姜福
齋任黃在三
鄭守黙
趙鵬九
黃在卨
乙酉夏
院長閔宗烈地主
齋任姜濬熙
黃在卨
丁亥夏
一有司閔宗烈
二有司李炳尙
齋任姜濬熙
黃在卨
戊子夏
一有司閔宗烈
二有司黃養善
齋任李時健
黃聖周
乙酉夏
一有司閔宗烈
二有司黃鍍
掌議李奎善
掌議姜蒔馨
孫學秀
黃源博
庚寅春
一有司閔宗烈
二有司黃鍍
掌議孫學秀
黃源博
庚寅春
一有司閔宗烈
二有司姜夏永
掌議孫學秀
黃源博
庚寅秋
一有司尹泰元地主
二有司姜夏永
齋任黃義覺
李晩敎
辛卯春
一有司尹泰元
二有司宋基殷
齋任黃義覺
李晩敎
辛卯秋
一有司尹泰元
二有司宋基殷
齋任黃義覺
李晩敎
壬辰春
一有司尹泰元
二有司鄭克愚
齋任黃義覺
李晩敎
壬辰夏
一有司尹泰元
二有司黃鍍
齋任黃義運
金秉善
壬辰秋
一有司尹泰元
二有司黃鍍
齋任黃義運
金秉善
癸巳春
一有司尹泰元
二有司黃鍍
齋任黃義運
金秉善
癸巳夏
一有司尹泰元
二有司黃鍍
齋任黃義運
金秉善
癸巳秋
一有司李命九
齋任黃義運
金秉善
甲午秋
一有司李命九
齋任黃在翼
柳道燮
甲午春
院長金遇河
齋任黃在翼
柳剛黙
黃羲集
甲午秋
院長黃蘭善
齋任黃羲集
蔡鴻說
乙未春
院長姜柱馨進士
齋任蔡鴻說
黃羲集
乙未
院長鄭東箕府使
齋任金萬源
黃芝善
乙未秋
院長李起源
齋任宋世浩
黃芝善
丙申春
院長黃文善
齋任宋世浩
黃在益
齋任金應奎
黃遠周
丁酉春
院長鄭賢愚未出座
齋任金應奎
黃遠周
院長黃達善
齋任金應奎
黃遠周
趙鳴夏未出座
丁酉
院長黃炳善
齋任黃菊善
姜允熙
院長姜楠馨
齋任黃在㮨
姜允熙
鄭在鎬
戊戌春
院長鄭善愚
齋任黃在㮨
鄭在鎬
院長李衡敎
齋任黃在㮨
鄭在鎬
句管有司黃義集
院長趙駿久府尹
齋任柳道燮
黃義集
己亥
院長姜正熙
齋任柳道燮
黃義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