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갑자년 3월부터 계유년 11월까지의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분향록(焚香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0000.4725-20170630.Y175020102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갑자년 3월부터 계유년 11월까지의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분향록(焚香錄)
갑자년 3월부터 계유년 11월까지 옥동서원에서 거행된 삭망제를 주관한 인물들을 기록한 명단인 〈분향록〉이다. 본 문서를 비롯한 옥동서원 소장 〈분향록〉에 의하면 삭망제는 대체로 원장과 재임, 유생이 주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문서에는 구성원의 직임과 성명만을 기록하고 있는데, 주로 황씨의 주도로 향례가 진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옥동서원이 위치한 상주목 천하촌 일대는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장수황씨의 세거지로서 서원은 바로 이들 후손의 주도로 건립·운영되었는데 이는 서원의 주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제향의식을 대부분 서원구성원들 특히 문중인 장수황씨에 의해 수행되는 사실이 나타나는 문서이다.
10년 동안의 기록을 성책한 것으로 갑자년 3월부터 9월까지 13회, 을축년 정월 2회, 신미년 정월부터 6월까지 14회, 임신년 정월부터 12월까지 18회, 계유년 정월부터 11월까지 15회 등 총 62회의 삭망분향시의 주관자들의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다만 수년 동안 누락된 해와 달에 어떠한 이유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옥동서원에서의 삭망분향을 주관하는 인물들 중 많은 수가 중복적으로 기재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중복의 경우를 제외하더라도 황씨가 가장 많이 등장한다. 옥동서원은 1789년(정조 13)에 사액을 받았는데 이후 상주목의 도남서원과 흥암서원과 함께 관내를 영도하는 위치에 서게 됨으로써 다양한 가문들이 서원 운영에 참가하기 시작하였고, 본 문서에 드러나는 여러 성씨들의 참여도 이러한 경향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갑자년 3월부터 계유년 11월까지의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분향록(焚香錄)
자료의 내용
甲子年 3월부터 癸酉年 11월까지 玉東書院에서 거행된 朔望際를 주관한 인물들을 기록한 명단인 〈焚香錄〉이다. 본 문서를 비롯한 옥동서원 소장 〈분향록〉에 의하면 삭망제는 대체로 院長과 齋任, 儒生이 주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문서에는 구성원의 직임과 성명만을 기록하고 있는데, 주로 黃氏의 주도로 향례가 진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옥동서원이 위치한 상주목 천하촌 일대는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장수황씨의 세거지로서 서원은 바로 이들 후손의 주도로 건립·운영되었는데 이는 서원의 주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제향의식을 대부분 서원구성원들 특히 문중인 장수황씨에 의해 수행되는 사실이 나타나는 문서이다.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질서체계를 이끌어나갈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 書院은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세워진 사립학교였을 뿐만 아니라 설립과 관련된 특정 유학자의 위패를 모셔 놓고 祭享을 하는 공간으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특히 조선후기로 접어들면서 서원은 교육기능보다는 상대적으로 제향을 통한 선현 숭배의 기능이 크게 강조되었다.
넓은 의미로서의 서원의 향례는 士林의 공론에 의해 결정되고 국가에 의해 인준되는 것이었으므로 여기에 참여한다는 것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일과 다름없었다. 더불어 享禮는 유교경전을 비롯한 유교문화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참여 자체가 자신의 유교적 소양을 대외적으로 높이는 것이기도 했다. 이런 연유로 서원의 제례의식은 유교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 사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했다.
현전하고 있는 옥동서원 관련 자료에는 제례와 관계되는 자료는 드문 형편이다. 따라서 분향을 비롯한 여러 제례의 절차나 형식, 내용에 관해서 알려져 있는 부분이 없으나 다만 본 문서를 비롯한 수십여 분향록을 통해 朔望焚香時의 참여 인원에 대한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고 하겠다. 삭망분향은 매달 음력 초하루와 그 달의 한 가운데 날인 보름날에 향을 피워 올리는 비교적 간단한 의례이다.
삭망분향은 주로 재임과 유생이 주관하고 있으며 단지 주관자의 성명만이 기록되어 있다. 본 문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일면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아 정확한 작성연대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성관의 분포로 보아 문중 중심으로 서원이 운영되던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10년 동안의 기록을 성책한 것으로 갑자년 3월부터 9월까지 13회, 을축년 정월 2회, 신미년 정월부터 6월까지 14회, 임신년 정월부터 12월까지 18회, 계유년 정월부터 11월까지 15회 등 총 62회의 삭망분향시의 주관자들의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다만 수년 동안 누락된 해와 달에 어떠한 이유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옥동서원에서의 삭망분향을 주관하는 인물들 중 많은 수가 중복적으로 기재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중복의 경우를 제외하더라도 황씨가 가장 많이 등장한다. 옥동서원은 1789년(정조 13)에 사액을 받았는데 이후 상주목의 도남서원과 흥암서원과 함께 관내를 영도하는 위치에 서게 됨으로써 다양한 가문들이 서원 운영에 참가하기 시작하였고, 본 문서에 드러나는 여러 성씨들의 참여도 이러한 경향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 사회에서 향사를 비롯한 유교적 의례 행위는 사회구성원들이 관계와 경계를 설정하고 형성하는 중요하고 효율적인 수단으로 작용하였다. 대내외적으로 향사에 참여하는 행위는 자신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것이었으며, 그 지역사회에서의 주도권을 누가 선점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주요한 척도였던 것이다.
자료적 가치
문서가 작성될 시점에 옥동서원의 삭망분향례를 주도하였던 인물들을 통해 당시 옥동서원의 실질적 운영주체의 일면을 보여주는 분향록이다. 조선시대 서원은 인재를 양성하는 사립 교육기관이었을 뿐만 아니라 설립과 관련된 특정 유학자의 위패를 모셔 놓고 제향을 하는 공간으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건립 초기에는 인재양성과 학문연구라는 교육적 기능이 우선하였지만, 점차 先儒 향사와 지역 사회의 교화적 기능이 중시되어갔다. 더불어 서원이 지역별, 학맥별로 유대를 강화해 가면서 그 상징적 제향인물에 대한 제례의식과 기능이 점차 증대되어 갔다. 본 문서는 서원의 제향의식이 명맥을 유지하는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당시의 院任과 院生의 인적구성의 단면을 보여주고, 상주 지역에서 옥동서원에 참여하는 이들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甲子三月望齋任 趙維鎭
黃瑞幹
四月朔
李坤敏
四月望
李坤敏
五月朔
李坤敏
十一月朔
黃祥幹

儒生 李益榮
十月朔
金光澈
齋任 黃建中
五月望
李坤敏
六月朔
李坤敏
六月望
李坤敏
七月朔
黃淙
九月朔
黃建中
同月望
黃國休
丁志贒
羅致儁
儒生 黃遠休
黃建中
七月望
李坤敏
八月朔
黃祥幹
八月望
李坤敏
九月朔
李坤敏
齋任 趙命悳
院長 丁樂慎
八月朔
儒生 黃祥幹
同月望
儒生 黃泰凞
七月朔
儒生 黃遠休
黃性重

黃元重
黃瑞幹
黃性重
乙丑正月初七日謁廟
康命初
黃建中

黃建中
四月朔
黃建中
黃泰中
趙宇鎭

黃澺
鄭壽崙
趙命弼
黃性重
黃命幹
黃運曦

黃性重
黃日凞
三月朔
儒生 黃泰凞

黃日凞
二月朔
黃日凞

金相允
琴命來
黃翼纘
黃涑
黃澈
黃性重
黃瑞幹
辛未正月初七日焚香
黃命幹
正月望
黃國休
黃執重
追到
黃達凞
黃祥幹
金寅紀
黃漪
黃澫
黃{氵+奭}
黃沈
金相允
黃澺
黃涑
黃一凞
黃運凞
黃命幹
李集聖
黃元重
黃復凞
癸酉正月初七日焚香
黃翼纘
成{氵+穎}
黃元重
黃澈
黃{氵+欽}
李集聖
黃遠休
宋思玄
黃命幹
十二月望
黃悌幹
十二月朔
黃命幹
十一月望
黃復凞
金相鐸
趙允成
黃性重
黃命幹
黃瑞幹
黃運曦
黃祥幹
正月望
黃命幹
黃運曦
李集聖
黃涑
十一月朔
黃命幹
十月望
金相鐸
黃運曦
二月朔
黃瑞幹
辛必遠
黃瑞曦
二月望
黃瑞幹
三月朔
黃元重
黃復凞
十月朔
黃命幹
九月望
黃復凞
金光葉
黃元重
黃涑
黃瑞幹
李坤敏
盧鼎元
望日焚香
黃瑞幹
四月朔
黃瑞幹

九月朔
黃復凞
八月望
黃復凞
八月朔
黃復凞
金光葉
七月望
黃瑞幹
五月朔
黃瑞幹
同月初十日奉審
黃龍河
黃漪
趙允重
黃{氵+萬}
黃復凞
七月朔
黃命幹
六月望
黃復凞
六月朔
黃復凞
五月望
黃翼達
黃澯
黃{氵+奭}
黃沈
黃翼纘
黃涑
黃元重
黃{氵+欽}
黃祥幹
五月朔
黃復凞
黃日休
黃啓休
齋任 金光葉
四月望
黃復凞
五月朔
黃景幹
五月望
李集聖 奉審
十二月朔
黃涑
黃漪
黃澺
李集聖
黃{氵+変}
黃洌
黃范
黃澈
黃渻
黃元重
黃翼纘
成{氵+穎}
黃義重
黃澈
黃{氵+変}
黃器重
黃遠休
黃命幹
黃瑞幹
李漢訥
黃澺
黃{氵+奭}
黃涑
壬申正月初七日焚香
黃景幹
十二月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