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조선후기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G.0000.4725-20170630.Y175020101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형태사항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25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조선후기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자료적 가치
본 자료의 작성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며 서원을 방문한 195명의 명단이 등재되어 있는데 성관은 모두 72개로 파악되었다. 이중 황희의 후손인 장수황씨 가문의 비율이 상당이 높으며 창녕성씨·풍양조씨들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창녕성씨는 상주지역을 대표했던 노론계 가문이며, 풍양조씨는 지역 가문 중 하나이다. 방문자들의 거주지는 상주가 절대적이며 龍潭·聞慶 등 인근 고을에 분포하고 있다. 자료 내 중요 인물에 대해서는 표점을 찍어 구분했는데 吳承鉉·高允相·趙在元·金圭錫·高夢洙·李源祚·黃峻老·盧鎭岐·盧德奎·洪祐昌·趙在一·李鍾善·張晉遠·李尙秊·黃起源·朴鳳煥·趙萬淳·盧恒敬·張箕遠·金錫倫·高基升·高水+式·金庸源·李敦煜·黃漢植·趙昇衍·李基一·黃義健·鄭淳采·洪大原 등이 그 대상이다. 대다수 생원·진사시와 문과에 급제한 자들로 거주지는 상주 내지 인근 고을이 많다. 본 자료는 옥동서원 한말 일제강점기 대외 인적 네트워크를 파악하는데 일정한 의의가 있다고 보여 진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陶山書院의 방문과 그 의미」『퇴계학과 유교문화』 53, 김명자,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조선후기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심원록(尋院錄)
자료적 가치
서원은 양반이라면 방문하고 싶은, 또 방문해야 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새로 도임한 관찰사, 고을 및 인근 고을의 수령·察訪·都事 등도 서원에 알묘하고 부조하였다. 지방관들뿐만 아니라 소·대과에 급제한 사람들도 新恩 인사, 전직관료, 유학 등도 거주지에 관계없이 서원에 들러 알묘하고 갔다. 후손·방손·外裔들도 끊임없이 서원을 방문하였다. 바로 심원록은 서원 방문자들의 이름을 적은 방명록이다. 심원록은 임원록과 함께 서원에서 중요히 취급했던 문서로 그 등재 여부도 엄격히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소수서원 심원록 표지에 本官 士人・서얼・中人은 勿書, 표제 인물・鄕員・本府人은 疊書한다는 문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色目이 判異하면 이름을 기재하더라도 인위적인 삭제를 가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서원 방문자들의 심원록 작성은 상식화 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참배 후 본관・이름・관직・字・날짜・방문목적・기타 등의 내용을 적는다. 현재 옥동서원에 현전하는 심원록은 모두 9책으로 본 자료는 그 중 하나로 작성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며 서원을 방문한 195명의 명단이다. 기재 방식은 위에 언급한 방식과 유사하며 동행자, 방문 소회를 담은 詩는 찾아 볼 수 없다. 서원 방문의 목적은 참배가 주된 이유이며, 帶恩·지방관의 내방 사실도 확인 된다. 이들 방문자들을 그 인원과 성관을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長水 黃 55명, 昌寧 成 10명, 豊壤 趙 8명, 南陽 洪·恩津 宋 각6명, 光州 盧·全州 李 각 5명, 開城 高·光山 金·密陽 朴·安東 權·沃川 全·義城 金·晉山 姜 각4명, 星山 李·玉山 張·仁同 張·眞城 李 각 3명, 慶州 李·潘南 朴·商山 金·星山 呂·永山 金·全義 李·晉陽 柳·鄭氏·靑松 沈·坡平 尹·韓山 李·陜川 李 각 2명, 慶州 盧·慶州 孫·管城 全·廣州 李·南原 尹·同福 吳·聞韶 金·碧珍 李·寶城 吳·鳳城 張·盆城 許·善山 金·宣城 金·順天 金·安東 金·楊州 趙·驪興 閔·延安 李·延日 鄭·完山 崔·蔚山 金·柳氏·完山 李·李氏·仁川 李·全州 朴·濟州 高·晉陽 鄭·昌寧 曺·昌原 黃·平山 申·豊基 黃·豊山 洪·海州 鄭·黃氏·興陽 李 각 1명 순이다. 72개의 성관 중 황희의 후손인 장수황씨 가문의 비율이 상당이 높으며 창녕성씨·풍양조씨들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창녕성씨는 상주지역을 대표했던 노론계 가문이다. 이 가문은 花潭·牛栗 문인 成灠이 1592년(선조 24) 이후 장모 인동장씨를 모시고 처향 상주 水回村에 移居 정착하면서부터 시작되며 바로 그 후손들이 이 지역 내 세거하였다. 풍양조씨는 15세기 이주한 가문으로 낙동 주변에 정착했으며, 趙光璧·趙靖·趙翊·趙榮遠 등의 인사들을 배출한 상주의 명문가이다. 한편 방문자들의 거주지는 상주가 절대적이며 龍潭·聞慶 등 인근 고을이다. 자료 내 중요 인물에 대해서는 표점을 찍어 구분했는데 吳承鉉·高允相·趙在元·金圭錫·高夢洙·李源祚·黃峻老·盧鎭岐·盧德奎·洪祐昌·趙在一·李鍾善·張晉遠·李尙秊·黃起源·朴鳳煥·趙萬淳·盧恒敬·張箕遠·金錫倫·高基升·高水+式·金庸源·李敦煜·黃漢植·趙昇衍·李基一·黃義健·鄭淳采·洪大原 등이 그 대상이다. 대다수 생원·진사시와 문과에 급제한 자들로 거주지는 상주 내지 인근 고을이 많다. 이중 주목되는 인물은 단연 1830년(순조 30) 8월 19일 방문한 李源祚이다. 그는 상주를 대표하던 立齋 鄭宗魯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809년(순조 9)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후 1837년(헌종 3) 正言으로서 쇄신책을 실시할 것을 극간하였다. 1850년(철종 1) 경주부윤에 오르고, 1854년 대사간공조판서를 지낸 인물이다. 당시에는 관직 진출 전 정종로에게 수학하던 시기로 보인다. 또한 예조·형조판서를 역임한 노론계 洪祐昌의 경우 부친 洪翰周가 상주목사를 재직하던 당시 서원을 방문했고, 유년시절부터 총명하여 약관에 문명을 떨치며, 이조정랑·사헌부장령·通禮院右通禮·宗簿寺正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한 黃起源은 황희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방문하였다. 문집 내 옥동서원 방문 기록을 남긴 高基升은 1880년(고종 17)은 문과 급제를 기념하기 위해 방문해서 「七月望日遊玉洞淸越樓」·「玉洞淸越樓三十人會話」를 남겼다. 또한 상주목사로 심원록에 이름을 올린 인물은 李晩綏와 閔種烈 2명이다. 특히 1898년 4월 초4일 방문한 민종열은 옥동서원 院宇 重修 차 방문했고 다음해 중수 기문을 직접 지었다. 그는 목사 재직 시 상주향교 운영 절목을 제정했고, 「尙州事例」를 지어 당시 상주 사정과 목민관으로서 해야 할 일을 정확히 기록해 두었다. 상주사례 내 대원군 훼철 당하지 않은 옥동서원興巖書院에 대한 관리 기록이 적혀있다. 그래서 현재 총 5기의 선정비가 상주지역에 세워져 있다. 옥동서원은 이 서원은 고종 연간 흥선대원군 집권기에 있었던 전국적인 서원 훼철령에도 제외된 미훼철 祠宇 47개소 중 하나로 그 원형을 보존하였다. 방문객 비율이 그 이전과 마찬가지로 장수황씨 가문이 높았고, 지방관 방문 등 상주지역 내 어느 정도 위상은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료적 가치
심원록 분석은 그 서원의 위상을 반영하는 일정한 窓이 될 수 있는데 본 자료를 통해서 옥동서원이 사액받기 이전 대외 인적 네트워크 파악에 일정한 의의가 있다. 또한 옥동서원의 학맥과 인맥, 정치적 성향을 가늠하게 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高基升, 恁堂集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陶山書院의 방문과 그 의미」『퇴계학과 유교문화』 53, 김명자,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尋院錄 戊午三月日
開城後人高舜相戊午三月二十六日祗 謁
聞韶後人金遠耆德老 庚寅 同月二十九日祗 謁
南陽後人洪泰鎭四月十二日祗 謁
洪泰欽
尨村後孫啓周景沃 辛卯 同月二十三日祗 謁
豊城後人趙榮來君七 壬戌 五月初二日祗 謁
星山後人呂鍾和景八 乙丑
尨村後孫任周大卿 壬寅
尨村後孫鍾奎聚五 甲子 六月十六日來宿祗 謁
南陽後人洪肯柱敬輿 甲戌 八月十五日祗 謁
沙西後孫燮簡敬老 丙午 八月二十四日日祗 謁
尨村後孫始黙聖希 壬戌 十月初六日祗 謁
聖黙德汝 己巳 同日祗 謁
平山後人申在仁景宅 癸亥 十月初六日祗 謁
尨村後孫洛熙穉書 辛亥
蓍黙景龜 庚午
珏老友玉 丁丑 同月十三日祗 謁
興陽後人李能鍊賢百 丁酉 月日祗 謁
尨村後孫冕周聖可 丁亥 十月二十七日祗 謁
尨村後孫歲憲十一月二十三日祗 謁
萬善濟父 己卯 同月同日祗 謁
尨村外裔吳承鉉和京 己卯 十二月初五日帶恩祗 謁
尨村後孫舜善聖宗 辛酉 同日祗 謁
豊壤後人趙述立弘濟 辛亥 己未三月二十六日祗 謁
光山後人金翰周翊文 甲戌 同日祗 謁
尨村後孫馨周明甫 丙子 同日祗 謁
開城後人高允相中可 壬辰 七月十四日來宿帶恩祗 謁
尨村後孫蘭善同甫 乙酉 同日祗 謁
豊壤後人趙在元景熙 庚寅 七月二十七日帶 恩祗謁
尨村後孫叔度 丁亥 同日祗謁
萬善濟父 己卯 同日祗謁
密陽後人朴炳幾幼省 庚寅 八月十五日祗謁
南陽後人洪龜鉉周瑞 丙辰 同月十八日祗謁
義城後人金鎭淳亨甫 丁亥
商山後人金圭錫斗應 戊子 同日帶恩祗 謁
延安後人李重崙大有 甲寅 同月二十一日祗 謁
開城後人高夢洙玄叟 乙巳 九月初四日 來宿祗 謁
豊城後人趙述庸敬吾 戊午 同日祗 謁
外裔星山李源祚周賢 壬子 同月十九日祗 謁宿
尨村後孫啓周十月十四日祗 謁改泰周
玉山後人張軾遠伯瞻 庚寅 庚申二月初日 奉審
尨村後孫月日祗 謁
安東後人權綏永克憲 乙酉 同月十五日祗 謁
宣城後人金樂澈兩吉 庚午 閏三月初八日祗 謁
尨村後孫黃峻老月日祗 謁
恩津後人宋秉運同日祗 謁
管城後人全大奎
光山後人盧悳敬直心 丙辰
南陽後人洪時簡厚之 庚午 以三三陟儒生十月初一日祗 謁
南原後人尹玉鉉鼎吉 辛卯 祗 謁
慶州後人盧鎭岐極文 甲申 十一月初六日帶恩祗 謁
外裔仁同張祿遠仲謙 壬午 辛酉四月初八日祗 謁
光州後人盧德奎美謙 癸亥 同月十五日來宿
盧秀英孟實 己卯
鳳城後人張在良智彦 戊子 辛酉四月晦日奉審
豊山後人洪祐昌幼盛 己卯 辛酉六月二十九日奉審
全州後人李建玉淳屋 甲戌 辛酉六月二十九日奉審
尨村後孫蘭善同甫 乙酉 同日祗謁
完山後人崔南植星老 壬申 辛酉七月十五日祗 謁
豊壤後人趙在一致萬 辛丑七月十二日帶恩祗謁
尨村後孫文善武兼 丙申 同日祗 謁
全州後人李鍾善應瑞 戊辰 同二十九日帶 恩祗 謁
慶州後人李鍾漢致聲 壬辰 八月初一日祗 謁
尨村外裔玉山張晉遠康叟 辛巳 九月初七日帶恩祗 謁
尨村外裔韓山李尙秊景八 乙丑 同月十九日祗 謁
尨村後孫起源夏言 甲寅 同月二十五日祗 謁
光山後人金錫龜禹祥 壬辰 十月初二日祗 謁
尨村後孫任周大卿 壬寅 同日日祗 謁
尨村後孫啇顯聖七 乙丑
在五元初 庚五 同月十六日祗 謁
尨村後孫公睢 丁卯 十月二十七日祗 謁
在璉文白 戊戌 同日祗 謁
同福後人吳鳳相舜瑞 己丑 十一月十五日祗 謁
全州後人李奎燮景理 丁卯 壬戌四月二十九日祗 謁
李恒善汝久 丙午 侍行
安東後人金來喬應天 壬辰 同日祗謁
眞城後人李在魯仲文 甲子
晉山後人姜日馨贊甫 甲辰 六月十二日祗 謁
密陽朴鳳煥舜瑞 乙酉 七月二十五日大 恩 祗 謁
豊基後人黃敎夏相之 己卯 十月十一日 謁
安東>後人權必憲 十二月十五日來宿祗謁
晉山>後人姜采永惠中 辛巳 月日祗 謁
姜善馨元甫 丙午 侍行
姜發馨圭甫 丁未
慶州後人李啓斗聖達 丁巳 癸亥七月初四日祗謁
光州後人盧應禧道應 乙未 九月初五日午
碧珍後人李東彦汝衡 壬寅
陜川後人李孟根元瑞 庚寅
尨村後孫龍源致鳳 壬午 辛未九月二十五日祗 謁
義喆元明 丙午 同日祗謁
錫禹範九 壬午 同日祗謁
肯周命可 辛卯 辛未十月十三日祗 謁 辛卯 辛未十月二日又 謁
翊周繼成 辛卯 辛未十月二日祗 謁
靑松後人沈相億德遠 辛卯 同日祗 謁
尨村外裔李範箕聖叙 壬寅 完山人 同日祗 謁
儒川后人柳秉奎升一 丁亥 辛未至月十二日來宿祗謁
昌寧後人成大源敬伍 癸卯
春源仁一 己酉
普源羲進 壬子
國源道一 甲寅
恩津後人宋柄斗子七 甲寅 壬申正月十一日祗 謁
眞城李晩敎道敬 甲寅 正月二十八日祗 謁
盆城許墶丁巳 同日祗 謁
黃命善叔天 丁酉
尨村後孫德坤明叔 壬申 五月十六日祗謁 居藍浦碧洞
尨村外裔鄭文愚郁汝 戊子 九月二十四日祗 謁
安東後人權永斗爵汝 壬辰
靑松後人沈宜黙聖實 乙丑 十月五日 祗謁
楊州後人趙萬淳景望 癸酉
星山後人李昞珍順卿 丙申
豊壤後人趙南駿時可 庚子 癸酉四月二十四日祗謁
全州後人朴永大國弼 己亥
星山後人呂命龍汝允 癸丑
仁同後人張昇鶴鳴可 辛丑 癸酉九月初四日祗謁恩行
昌原後人黃敦夏見度 丁未 癸酉十月十三日祗謁來宿
安東後人權琡叔玉 丙寅 甲戌二月十八日祗謁 爲宿 ?下人
尨村後孫命源
尨村外裔鄭民純乙亥 三月初四日祗 謁
沙西族孫緯漢
輔根甲戌三月二十六日祗 謁
尨村后孫字璣叔 丁亥生 甲戌八月二十一日祗 謁
尨村後孫炳善
尨村外孫義城金升淵字允夫 生丙辰 甲戌九月初五日祗 謁
開巖後孫金徽林字淸汝 生癸巳 甲戌七月六日祗 ?下人宿謁草二謁
尨村後孫顯漢字達元 丙戌生
尨村後孫字星老 己酉生 甲戌十月初九日祗 謁
義城後人金驥永乙亥八月初六日祗 謁
漢陽後人趙斗榮
尨村後孫字致善 辛巳生 忠州老隱
後孫字美中 丁巳生 乙亥十月十一日祗 謁
後孫元顯乙亥十月晦日祗 謁
慶州後人孫義秀乙亥十月初一日祗謁
全州後人李違衡丙子二月初四日祗 謁
光山後人盧恒敬丙子四月二十二日帶恩祗 謁
豊壤后人趙馨九丙子四月祗 謁
全義后人李章祿字聖謙 己卯生 閏五月朔祗 謁
秉一敬一 己未 同日祗謁居龍潭
昌寧后人成益源謙叟 乙巳 丙子閏五月十八日日祗 謁
密陽后人朴仁浩魯瑞 丙子 丙子閏五月十八日祗 謁
尨村外裔李祥龜己卯 禹錫 戊寅五月初十日日祗 謁
昌寧後人曺錫述乃顯 戊戌
坡平後人尹德逵而悅 辛丑
尹英逵來烈 乙巳
陜川後人李鍾德舜直 甲辰 己卯三月日
玉山後人張箕遠佑文 乙卯 帶恩祗 謁
晉州後人柳聞馨應會 甲子
尨村後孫在敏士言 庚申
台顯士希 壬寅
達源違千 甲寅龍潭黎谷
東奎鎭瑞 甲辰
憲模?千 戊寅
壬寅 聖直
丁巳 聖敎
禾+彦士彦 乙丑
禾+齋士文 癸卯?岐?山
星山後人李志遂文五 甲戌
光山後人金命敎性能 甲申
善山後人金錫倫穉五 庚戌 帶恩祗 謁
濟州後人高基升萬希 甲辰 帶恩祗 謁
開城後人高水+式眉老 庚戌 帶恩祗 謁
商山後人金庸源命海 壬子 帶恩祗 謁
正言韓山李敦煜致禎 乙酉 癸未八月二十日祗 謁
地主眞城李晩綏聞鳴 癸未 甲申四月祗 謁
尨村後孫黃漢植尹耕 乙巳 乙酉十月帶恩祗謁
豊壤後人趙昇衍庚申 同年十一月帶恩祗謁
晉陽後人鄭寅黙誠進 庚戌 同日帶恩祗 謁
仁川後人李基一致敬 丁亥 丙戌二月帶恩祗 謁
地主驪興後人閔種烈辛卯 同年四月初四日 以院宇重修次看審祗 謁
尨村後孫黃義健伯彦 壬辰 同年二月帶恩祗 謁
密陽後人朴在烋景元 丁亥
永山後人金孝信永彦 甲午
光山後人金永弼敬晩 壬寅
恩津後人宋秉海致拯 丙午
宋秉翼致方 己酉
宋箕憲東吾 丁亥四月二十三日祗 謁
宋奎憲聚五 丙寅
蔚山後人金奭中周老 乙卯
潘南後人朴弘緖士强 甲子
尨村外裔延日鄭雲弼丁亥閏四月十五日祗 謁
昌寧後學成百源致孝 丁丑生
成錫根致元 戊寅
成達源德老 癸未
成錫永景老 己丑
成有源聖民 庚寅
晉陽後學柳霖景源 癸未
永山後學金峻漢元明 乙未
海州後學鄭淳采聖涵 丙寅 六月二十日祗 謁
尨村後孫盛源季昌 戊子
翊顯聖奎 丁酉 丁亥十二月初五日祗 謁
參判
潘南後人朴性陽季善 己巳 戊子四月二十二日祗 謁
沙西後孫宗洛致瑞 乙巳 戊子五月三日祗 謁
持平張榮稷仁同舜命 辛酉 己丑九月初六日祗 謁
順天後人金商璉允命 丁丑 丙辰十一月十四日祗 謁居聞慶
南陽后人洪大原聖必 戊申 丙辰十一月二十五日祗 謁
廣州後人李宗煥漢卿 戊寅 癸酉八月初六日祗 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