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기미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9+KSM-XF.0000.0000-20170630.Y175010810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고
작성주체 옥산서원
형태사항 크기: 28 X 4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문중소개
현소장처: 경주 옥산서원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안내정보

기미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회문(回文)
기미년 2월 15일 각처에서 통문이 13통이 옥산서원으로 왔기에 이에 잇달아 돌려서 알린다는 回文이다. 옥산서원에서는 기미년 2월 15일 통문이 13통이 와서 이를 서원과 관련된 각 동네의 문중에 알려주었다. 회문과 더불어 통문을 열람시킨 동네는 판교, 하곡, 두류, 옥산, 산대, 구강, 양월, 원대, 사동, 기계, 양동, 유금, 국동, 갑산 등으로 경주 북쪽의 모든 고을에 해당된다. 또한 이들 동네의 유생들이 옥산서원 운영에 관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기미년 2월 15일 각처에서 통문이 13통이 옥산서원으로 왔기에 이에 잇달아 돌려서 알린다는 回文이다.
기미년 2월 15일 각처에서 통문이 13통이 옥산서원으로 왔기에 이에 잇달아 돌려서 알린다는 回文이다. 옥산서원에서는 기미년 2월 15일 통문이 13통이 와서 이를 서원과 관련된 각 동네의 문중에 알려주었다. 회문과 더불어 통문을 열람시킨 동네는 판교, 하곡, 두류, 옥산, 산대, 구강, 양월, 원대, 사동, 기계, 양동, 유금, 국동, 갑산 등으로 경주 북쪽의 모든 고을에 해당된다. 또한 이들 동네의 유생들이 옥산서원 운영에 관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이 회문은 옥산서원에서 통문이 도래하였을 때 그것을 원유들에게 돌려 열람케 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1차 작성자 : 이병훈,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回文
右回諭事各處通文十三度
來到 本院故玆聯輪告
照諒千萬幸甚
己未二月十五日齋任李
板橋
霞谷
斗流
玉山
山臺
龜岡
楊月
元臺
沙洞
杞溪
良洞
有今
菊洞
甲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