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44년부터 1986년까지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1933년부터 1944년까지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1933년부터 1944년까지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944.4725-20160630.Y163220201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944
형태사항 크기: 25.5 X 27.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38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944년부터 1986년까지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본 자료는 함창향교 소장 교임록(校任錄) 14책 가운데 마지막 것으로 1944년부터 1986년까지 총 323명의 교임을 수록한 명부이다. 표제에는 청금록과 임원록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좌목에는 직책, 성명, 간지가 기재 되어 있다. 해방 후 향교의 교임직은 전교(典校), 장의, 유사 체제를 유지했다. 도유사와 전교는 58명으로 성씨는 이씨 13명, 박・신씨 각 8명, 백씨 5명, 곽씨 4명, 권・표씨 각 1명 순이다. 장의 역임자 276명의 성씨는 이씨 69명, 김씨 47명, 권씨 37명, 채씨 28명, 류씨 18명, 남씨 15명, 신씨 12명, 박씨 9명, 곽씨 8명, 홍씨 7명, 도씨 5명, 표씨 3명 순이다. 재유사(齋有司)와 별유사(別有司) 17명은 이씨 11명, 반씨 5명, 곽씨 1명이다. 해방 이후 향교 운영의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함창향교의 교임직으로 교임 공급 부족 현상 때문에 한 사람이 여러 차례 연도를 달리하여 중임하는 현상과 임기를 무시하고 오랜 기간 재임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韓國의鄕校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44년부터 1986년까지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향교에는 운영을 총괄하고 담당했던 교임(校任)이 존재했는데 바로 그 명부가 교임록이다. 현재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교임록은 모두 14책으로 그 명칭을 청금임록(靑衿任錄)・임원록(任員錄)・향교임안(鄕校任案)으로 쓰고 있다. 고종 연간에 들어오면서 교임록이지만 청금록이라는 이름으로 작성하기도 했다. 흥선대원군 서원훼철 이후 관학부흥정책이 실시되었으나 한말 혼란한 정국과 개항 이후 신문물 유입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예조가 폐지되고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창설되면서 신학제 개편과 근대교육 기관이 부설되면서 향교는 그 교육적 기능을 상실하고 향사의 기능만이 남게 된다. 더구나 한말 정부는 신학문 교육을 위해 향교에 근대학교를 부설하였다. 1908년 칙령 제76호가 발표되어 향교 장의와 재임 직책이 폐지된다. 이는 종래 향론에 의한 자치적 운영에서 관청의 직접 통제 하에 복속시켜 지방관이 직접 관리하게 한 조치였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사족들의 신분적・계급적 특권 유지를 위한 향촌사회 거점이었던 향교의 매력 사라졌고 교생 입록이 자연스레 급감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본 자료는 14책 가운데 마지막 것으로 1944년부터 1986년까지 총 333명을 수록한 교임 명부이다. 표제에는 청금록과 임원록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좌목에는 직책, 성명, 간지가 기재 되어 있다. 교임의 명칭과 직제는 지역마다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교장(校長)・장의(掌議)・색장(色掌)을 두었는데 남부지방에서는 수임을 도유사(都有司)로 명칭 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향교 운영을 통제하고자 직원으로 그 명칭을 통일하고 관이 직접 임명하여 유림들의 활동을 제한 하였다. 해방 후 도유사를 사용하다가 현재까지 향교의 수임을 전교(典校)를 사용하고 있다. 먼저 함창향교 도유사(20명)・전교(38명)은 58명인데 이들을 중복 포함하여 성씨별로 나누어 분류하면 이씨 13명, 박・신씨 각 8명, 백씨 5명, 곽씨 4명, 권・표씨 각 1명 순이다. 두 번째 차임 장의를 역임한 276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살펴보자. 중복 포함하여 성씨별로 나누어 분류하면 이씨 69명, 김씨 47명, 권씨 37명, 채씨 28명, 류씨 18명, 남씨 15명, 신씨 12명, 박씨 9명, 곽씨 8명, 홍씨 7명, 도씨 5명, 표씨 3명 순이다. 마지막 말임의 재유사(齋有司)와 별유사(別有司)은 17명으로 이씨 11명, 반씨 5명, 곽씨 1명이다. 이상 해방 후 함창향교의 교임직으로 교임 공급 부족 현상 때문에 한 사람이 여러 차례 연도를 달리하여 중임하는 현상과 임기를 무시하고 오랜 기간 재임하는 경우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해방 이후 향교 운영의 추이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우선 본 자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일제강점기 교임 직책인 직원에서 원래 명칭인 도유사로 복구시킨 후 현재까지 사용하는 전교를 쓰고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韓國의鄕校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靑衿錄 任員錄三
甲申八月日
甲申八月日
都有司幼學南亨元
掌議蔡德鉉
李康弼
齋有司潘潤厚
乙酉春【享】
都有司幼學南亨元
掌議蔡德鉉
李康弼
齋有司潘潤厚
乙酉秋享
都有司幼學南亨元
掌議蔡德鉉
權義集
齋有司潘潤厚
丙戌春【享】
都有司幼學朴仁植
掌議蔡德鉉
權義集
齋有司潘潤厚
丙戌秋【享時】
都有司幼學申衡均
掌議蔡德鉉
李康弼
齋有司潘潤厚
丁亥春【享時】
都有司幼學蔡東煥
掌議郭潤河
李康弼
丁亥秋【享時】
都有司幼學蔡東煥
掌議郭潤河
李康弼
戊子春【享時】
都有司幼學蔡東煥
掌議郭潤河
李圭夏
戊子秋【享時】
都有司幼學蔡東煥
掌議郭潤河
李圭夏
己丑春【享時】
都有司幼學蔡東煥
掌議李圭夏
別有司李康鳳
己丑春【享時】
都有司李炳周
蔡基長
別有司李康鳳
庚寅春【享時】
都有司李炳周
蔡基長
別有司李康鳳
庚寅秋【享時】
都有司李基鎬
掌議蔡基長
李康鳳
別有司郭潤玉
辛卯春【享時】
都有司李基鎬
掌議蔡基長
李康鳳
辛卯秋【享時】
都有司南廷翼
掌議蔡基長
申喆均
齋有司李圭{氵+疋}+
壬辰春【享時】
都有司蔡漢秀
掌議蔡基長
申喆均
齋有司李魯燮
壬辰春【享時】
都有司南廷翼
掌議蔡基長
申喆均
齋有司李魯燮
癸巳春【享時】
都有司南廷翼
掌議蔡基長
金允衡
申喆均
齋有司李魯燮
癸巳秋【享時】
都有司表光國
掌議蔡基長
金允衡
齋有司李魯燮
甲午春【享時】
都有司申聖熙
掌議金允衡
李元宰
權承墨
齋有司李魯燮
甲午秋【享時】
典校申聖熙
掌議金允衡
李元宰
權承墨
齋有司李秀英
乙未春【享時】
典校白樂燦
掌議李元宰
權承墨
齋有司李秀英
乙未秋【享時】
典校白樂燦
掌議李元宰
權承墨
金羲說
丙申春【享時】
典校白樂燦
掌議南章憲
李元宰
表昌鉉
李聖熙
李秀英
丙申秋【享時】
典校白樂燦
掌議南章憲
李元宰
表昌鉉
李聖熙
李秀英
權榮國
丁酉八月日
典校白樂燦
掌議南章憲
李元宰
表昌鉉
李聖熙
李秀英
權榮國
戊戌八月日
典校權重燦
掌議金永鍊
李元宰
申萬祚
李永德
己亥八月日
典校申聖熙
掌議郭潤玉
朴正祥
李秀英
庚子八月日
典校申聖熙
掌議李圭珽
李秀英
柳承謨
辛丑八月日
典校申聖熙
掌議李圭珽
朴正祥
金羲馹
壬寅八月日
典校申聖熙
掌議李圭珽
李秀英
金羲馹
癸卯八月日
典校申聖熙
掌議洪承七
柳錫烈
金羲馹
甲辰八月日
典校印錫烈
掌議洪承七
李秀英
金羲馹
乙巳八月日
典校印錫烈
掌議洪承七
金羲馹
李秀英
乙巳十二月日
掌議李宣鎬
李相奭
申東勳
南淑元
丙午八月日
典校印錫烈
掌議李秀英
李宣鎬
李相奭
南淑元
申東勳
丙午九月日
典校印錫烈
掌議金天永
權榮國
李秀英
丁未八月日
典校印錫烈
掌議金天永
權榮國
李秀英
戊申八月日
典校印錫烈
掌議金天永
權榮國
李秀英
戊申十月日
典校李潤熙
掌議李秀英
金禹範
郭潤奭
李圭碩
洪貫一
南永熙
權榮均
己酉年屚記 上記同
庚戌八月日
典校李潤熙
掌議李秀英
李圭碩
權榮均
郭潤奭
金禹範
洪貫一
朴大洙
辛亥八月日
典校李潤熙
掌議李秀英
洪景一
權榮均
朴大洙
壬子八月日
典校李潤熙
掌議李秀英
洪景一
權榮均
朴大洙
癸丑八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權榮均
李永宅
李一黙
蔡漢明
金錫佑
甲寅八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權榮均
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李永宅
李一黙
金錫佑
蔡漢明
乙卯九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申東赫
李永宅
金錫佑
蔡漢明
丙辰八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申東赫
李永宅
金錫佑
蔡漢明
丁巳八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申東赫
李永宅
金錫佑
蔡漢明
戊午八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申東赫
李永宅
金錫佑
蔡漢明
己未八月日
典校朴大洙
掌議李永宅
權泰永
柳漢謨
金永基
申東赫
庚申八月初三日
典校郭潤奭
掌議李永錫
權五康
柳承相
金錫佑
蔡永熙
南在德
權榮元
辛酉八月初九日
典校郭潤奭
掌議李永錫
權五康
柳承相
金錫佑
蔡永熙
南在德
權榮元

壬戌八月初五日
典校郭潤奭
掌議李永錫
權五康
柳承相
金錫佑
蔡永熙
南在德
權榮元

癸亥八月初十日
典校郭潤奭
掌議李永錫
權五康
柳承相
蔡永熙
南在德
權榮元
李寅榮

甲子三月初二日【春享】
典校李永旭
掌議金羲純
金道永
南廷儀
都相喆
金章煥
柳承相
權羽集
朴魯榮
李莊燮
蔡忠植
郭二會
李寅榮

乙丑二月初一日【春享】
典校李永旭
掌議金羲純
金道永
南廷儀
都相喆
金章煥
柳承相
權羽集
朴魯榮
李莊燮
蔡忠植
李寅榮
乙丑二月初一日【春享】
典校李永旭
掌議金羲純
金道永
南廷儀
都相喆
金章煥
柳承相
權羽集
朴魯榮
李莊燮
蔡忠植
李寅榮
丙寅二月初五日【春享】
典校李永旭
掌議金羲純
金道永
南廷儀
都相喆
金章煥
柳承相
權羽集
朴魯榮
李莊燮
蔡忠植
李寅榮
丙寅八月初七日
典校李永旭
掌議金羲純
金道永
南廷儀
都相喆
金章煥
柳承相
權羽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