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慶尙北道 慶山郡 河陽鄕校가 聖廟를 重修하는 동안 제공 및 집행하였던 각종 음식과 물목의 종류·수량·비용 등을 기록해 놓은 日誌
河陽鄕校中 庚申十月十七日 聖廟重建時用記
자료의 내용
1920년 慶尙北道 慶山郡 소재 河陽鄕校 聖廟 重修 때의 日誌로 중수 과정에서 집행되었던 각종 음식과 물목의 종류·수량·비용 내역을 기록해 놓았다. 「河陽鄕校中 庚申十月十七日 聖廟重修時用記」라는 제목으로 그해 10월 17일 成冊된 것이다. 자료 말미에는 당시 교임 명단을 기재해 놓았는데, 都有司는 曺學璣, 掌議는 金石浩·朴景春으로 확인된다. 하양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1923년 「河陽聖廟重修時記略」에는 1920년 성묘 중수의 경위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河陽郡이 경산군에 통합된 후 하양향교가 퇴락해졌고, 그런 가운데 옛 하양군 지역 유림들의 모금과 중앙의 大東斯文會 활동의 영향을 받아, 그해 2월부터 성묘를 비롯한 향교 건물의 중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河陽鄕校中 庚申十月十七日 聖廟重修時用記」는 1920년 2월 2일부터 10월 3일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료 후반부에는 중수 때 집행된 物目의 수량과 비용을 기재해 놓았지만, 전반부에는 주로 음식 제공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음식 제공은 하양향교를 방문한 손님들에게 제공되었으며, 향교 내에서 어떤 사무가 있을 때, 校任과 殿直에게도 제공되었다. 또한 각종 연락을 위한 경비가 집행되기도 하였다. 그 사례로는 文券 引繼 때의 식사 제공, 太極敎의 通文이 왔을 때 개최된 士會의 식사 제공, 回文 발송 때의 使傭金,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거행되는 焚香禮 때의 식사 제공, 大邱府 소재 文友觀 왕래 때의 車賃, 향교 전답 收集 때의 식사 제공, 上京 인사가 향교에 도착했을 때의 식사 제공, 회문을 돌릴 때 숙식 제공, 郡廳 왕래 비용, 유림들에게 收錢回文을 돌릴 때의 비용, 移安享禮 回文을 돌릴 때의 비용, 聖會 때의 식사 제공, 文書 修整 때의 식사 제공, 星州에서 찾아온 손님 대접 때의 식사 제공, 郡廳에 보내는 편지의 우표 요금, 鄕校圖書金 등이 있다.
하양향교에서 교임·전직 및 방문 손님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는 기본 밥상을 비롯해 ?飯·湯飯·窓戶紙·白酒·酒食·薰肉·菜飯·肴 등이 확인된다. 또한 담배·白紙·燒木·卷紙 등이 제공되기도 하였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밥상과 담배, 그리고 ?飯이다. 이것의 비용은 밥상 1床에 1兩 5?, 담배는 1束에 2? 2分, ?飯 1床에 1兩 2? 5分으로 나타난다.
하양향교의 대성전 건물을 중수 할 때는 많은 물품이 소모되었으며, 그만큼 비용도 많이 집행되었다. 먼저 7월 4일 대성전 破屋 때의 木手 始役 접대비, 목수의 車賃, 木手工金, 畵工工金, 印朱 구입, 瓦工이 居家할 때의 술대접, 草席·?席·靑木·厚紙·大針·新聞紙·壁心木 등의 구입, 대구부에서 온 손님의 술대접, 대성전 내 공사가 끝났을 때의 役夫 접대, 木工이 居家할 때의 술대접으로 비용이 집행된 것으로 나타난다. 8월 3일 還安享禮 때의 物目과 8월 5일 거행된 釋奠享禮 때의 物目도 기재되어 있다. 8월 20일에는 대성전과 耆老所의 垣墻, 그리고 庫房 草壁 改築 때 비용이 집행되었다. 9월 9일 하양향교에 慶山郡守와 庶務, 新聞社를 비롯한 여러 손님이 방문했을 때, 접대를 위한 비용을 집행하였으며, 이때 上樑時賞給도 지급하였다. 9월 29일에는 대구부와 경산군의 儒敎振興會에 돈을 지급하였으며, 같은 날 經學院으로의 郵便票, 中門의 자물쇠 구입, 土役工金과 懸板工金에 비용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어 9월 9일부터 10월 3일까지는 役夫에게 인건비를 지급하였다.
자료 말미에는 1920년 2월 2일부터 10월 3일 집행된 경비 총액과 잔액 등을 기재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중수를 앞두고 모여진 돈, 즉 총수입은 12,027兩 5?이며, 쓰여 진 돈의 총 합계는 11,897兩 8? 5分으로 나타난다. 총수입 12,027兩 5?은 63개 門中에서 거두어들인 돈 9,550兩, 補助金 2,000兩, 引繼金 50兩, 그 외 3개 門中에서 거두어들인 돈 60兩, 役夫金 367兩 5?에서 마련된 것이다. 이때의 각 문중별 기부 액수는 「河陽聖廟重修時記略」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잔액은 129兩 6? 5分인데, 이 돈 중 88兩 4?은 1921년의 春享 때 사용되었음을 부기해 놓았다.
자료적 가치
19세기 말 근대화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향교의 교육적 기능은 상실되고, 사회적 지위는 약화되어 갔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그 운영에 있어 일제의 통제를 받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향교의 재정적 기반은 열악해졌고, 하양향교처럼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을이 통폐합되었을 경우, 건물 자체가 퇴락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 와중에도 지역의 유림들은 향교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1920년 舊 하양군의 유림들도 자금을 모금하여, 하양향교 성묘를 중수하였던 것이다. 본 자료에 기록된 각종 음식과 물목의 종류·수량·비용 등은 이 기시 향교 운영의 한 실태를 보여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