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4년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문배전담부인명록(鄕校門排錢擔負人名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904.4725-20160630.Y163220202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부조기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904
형태사항 크기: 30 X 20
장정: 선장
수량: 29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1904년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문배전담부인명록(鄕校門排錢擔負人名錄)
본 자료는 함창향교 소장 재정기반 2책 중 하나인 『향교문배전담부인명록(鄕校門排錢擔負人名錄)』이다. 1904년 작성된 것으로 자료의 구성은 향교문배전담부인명록, 향교문배질(鄕校門排帙), 향교의조실합기(鄕校義租實合記), 향교전실존기(鄕校錢實存記) 부문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향교문배전담부인명록은 17개 문중에서 60냥에서 300냥까지 총 1,890냥을 부조한 현황이며, 향교문배질은 91개 문중에서 1냥에서 100냥까지 총 881냥을 부조한 현황이다. 향교의조실합기는 57개 지역에 유사를 임명해 2차례 걸쳐 거둔 租作 총 1,054냥의 현황과 사용내역, 미수(未收)를 기록한 것이고, 또한 9개 지역에서 거두지 못한 미수질(未收帙)도 별도로 부기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향교전실존기에는 21개 문중・서당에서 총 2,026냥을 부조한 현황을 기재하고 있다. 한말 함창향교 운영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 배문의 출처를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1904년 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문배전담부인명록(鄕校門排錢擔負人名錄)
자료의 내용
향교의 중수나 이건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 많은 재원을 향교 자체적으로 마련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그러한 공역(工役)이 있을 경우 유전(儒錢)을 수봉(收捧)하여 그 비용을 충당하였다. 함창향교는 읍의 연혁으로 보아 빠르면 려말선초, 늦어도 조선 성종 조 이전에 창건 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자 구향리 남지위 소강으로 이건 하였다. 인조 14년(1636)에는 다시 교촌리로 이건 후 몇 차례 중수를 거쳤다.
함창향교의 전답과 노비 외 재정 기반 문서는 『관학원조학각인성명전수성책(官學院助學各人性名錢數成冊)』과 『향교문배전담부인명록(鄕校門排錢擔負人名錄)』이 현전한다. 후자인 본 자료는 병진(丙辰) 2월 초8일 즉 1904년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자료의 구성은 향교문배전담부인명록을 비롯하여 동년 2월 25일 향교문배질(鄕校門排帙), 동년 2월 30일 향교의조실합기(鄕校義租實合記), 동년 8월 15일 향교전실존기(鄕校錢實存記) 부문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문서 내 좌목 구성은 문중명・부조금액・성명・지명 등에 관한 사항을 적기하고 있다. 먼저 향교문배전담부인명록은 17개 문중에서 60냥에서 300냥까지 총 1,890냥을 부조한 현황이다. 이중 가장 많은 금액을 부조한 가문은 인천채씨 문중으로 함창향교 도유사를 채광환(蔡光煥)외 2명이 갹출한 것이다. 두 번째 향교문배질은 91개 문중에서 1냥에서 100냥까지 총 881냥을 부조한 현황이다. 이는 함창지역 거의 모든 문중에서 참여한 것이며 부조 액수가 많은 상위 가문은 주로 채씨・이씨・신씨・류씨 등 전통적으로 함창향교 교임직을 많이 배출하던 가문들에서 부담하였다. 어쨌든 금액에 관계없이 향교의 배문(排門)은 향내 유림과 문중에서 관심을 두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이는 조선후기 함창지역에는 유력한 서원이 없었던 관계로 재지사족들은 향교를 중심으로 그 기반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 향교의조실합기는 57개 지역에 유사를 임명해 2차례 걸쳐 거둔 租作 총1,054냥의 현황과 사용내역, 미수(未收)를 기록한 것이다. 또한 9개 지역에서 거두지 못한 미수질(未收帙)도 별도로 부기 되어 있다. 네 번째 향교전실존기 21개 문중・서당에서 총 2,026냥을 부조한 현황이다. 여기에서도 전통적으로 조선후기 함창향교 운영을 주도했던 가문에서 많은 금액을 지출했다.
이렇게 거둔 돈의 사용처는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1907년 전사청(典司廳) 중수가 이루어지는 등 향교 중수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관의 지원이 전혀 없이 오직 유전(儒錢)을 거두어 충당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한말부터 진행된 향교 재정 위축에서 비롯된 바 이다. 한말 정부는 근대식 공립 교육기관을 설립하면서, 향교의 재정을 전용하였고, 향교 재정을 지방관이 직접 관리케 하였다. 이로 인해 향교 재정은 크게 위축되어 향교 운영 내지 중수 등의 부분에서 자체적으로 시행 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자료적 가치
한말 함창향교 운영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 배문의 출처를 상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함창지역 대다수 유림과 문중에서 참여했고 조선후기 함창향교를 주도하던 가문에서 많은 금액을 부담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의 지원 기록이 없는 것은 한말 교육정책과 관련이 있다. 유림들의 부조 행위는 조선시대부터 있어 왔던 유전(儒錢)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현재까지 향교가 전통을 계승하고 외형을 유지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라 할 수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鄕校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韓國의 鄕校硏究』, 강대민, 경성대학교출판부, 1992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丙辰二月初八日
鄕校門排錢擔負人名錄
權氏門中 日百兩周巖
權丙夏
蔡氏門中 參百兩
蔡光煥
蔡基德
蔡圭範
李氏門中 貳百兩
李鳳宰
李賢揆
李康燮
南氏門中 壹百兩
南亨元
申氏門中 壹百兩
申文澈
李氏門中 貳百兩
李秉瑾
李圭冕
洪氏門中 六拾兩
洪載源
洪發源
洪鍾泰
柳氏門中 壹百貳拾兩
柳遠軾
郭氏門中 壹百兩
郭漢國
朴氏門中 壹百兩
朴周煥
朴光洙
金氏門中 壹百貳拾兩佳庄
金奎元
李氏門中 八拾兩
李相弼
權氏門中 八拾兩
權承達
潘氏門中 五拾兩
潘潤耆
金氏門中 壹百兩支坪
金容九
金聖範
南氏門中 四拾兩大峴
南泰祐
曺氏門中 四拾兩文昌
曺進斗
丙辰正月二十五日
鄕校門排帙
蔡氏門中 一百五十兩
權氏門中 五十兩
洪氏門中 三十兩
李氏門中 百兩
申氏門中 五十兩
柳氏門中 六十兩
朴氏門中 五十兩
郭氏門中 五十兩
金氏門中 六十兩
李氏門中 百兩大佳
李氏門中 四十兩龍洞
權氏門中 四十兩 島田
潘氏門中 二十五兩
金氏門中 五十兩支坪
南氏門中 二十兩大峴
曺氏門中 二十兩
表氏門中 十兩
姜氏門中 七兩
金氏門中 五兩菊洞
洪氏門中 五兩出茅亭
印氏門中 十兩出
安氏門中 三兩出安龍
鄭氏門中 六兩出安龍三兩出 工洞三兩
鄭氏門中 二兩大島
趙氏門中 五兩出雅川
徐氏門中 五兩 校邨
孫氏門中 十兩 下屹
趙氏門中 一兩 新里
任氏門中 三兩出 大佳
安氏門中 五兩出 文昌 安龍
權氏門中 二兩出 道谷
金氏門中 五兩出 鹿洞
金氏門中 五兩 校邨
金氏門中 二兩 校村
權氏門中 二兩出 支坪
李氏門中 五兩出 良凡
李氏門中 五兩出 鹿洞
兪氏門中 二兩 五台
洪氏門中 三兩出 儉沙
金氏門中 二兩 文昌
閔氏門中 五兩 校邨
張氏門中 二兩 工洞
洪氏門中 五兩出 朴氏門中玄 自乃
許氏門中 三兩出 赤長
都氏門中 三兩出
白氏門中 三兩出 陶溪
鄭氏門中 三兩 浦內
吳氏門中 一兩 校村
李氏門中 三兩出 良凡
李氏門中 三兩出 儉坪
全氏門中 三兩 鹿洞
高氏門中 一兩出 黑岩
金氏門中 二兩 小岩
曺氏門中 二兩 佳在
申氏門中 二兩 校村
姜氏門中 三兩 工洞
金氏門中 二兩出 茅亭
姜氏門中 五兩 大坪
李氏門中 三兩 沙峴
余氏門中 一兩 大佳
李氏門中 五兩 塔▣
金氏門中 二兩
王氏門中 二兩 南面
金氏門中 五兩 釜谷
吳氏門中 二兩出 校村
崔氏門中 二兩 五台
李氏門中 二兩 五台
李氏門中 三兩出 栗谷
柳氏門中 一兩 法常
李氏門中 一兩出 花坪
金氏門中 二兩 松峴
孫氏門中 二兩 校邨
林氏門中 一兩出 安龍
趙氏門中 一兩 樂陰
趙氏門中 二兩 舍音
奏氏門中 一兩 舍音
孫氏門中 一兩 舍音
李氏門中 一兩出 樂陰
李氏門中 一兩 雅川
宋氏門中 一兩出 新坪
鄭氏門中 一兩 鳳南
張氏門中 一兩 鳳南
吳氏門中 二兩 校邨
光山金氏門中 一兩 校邨
施氏門中 一兩出
全氏門中 一兩出
張氏門中 一兩出 樂陰
申氏門中 二兩出 鳳坪
金氏門中 二兩 樂陰
李氏門中 一兩 工洞
丙辰二月三十日
鄕校義租實合記
大佳租作 三十一兩 有司李相燮
黑岩租作 六十五兩 有司李基鎬
鳳南租作 五十二兩 都廳李秉瑾
利安租作 二十四兩 十九兩 有司蔡基祚
羅汗租作 四十七兩 有司表世周
上文昌租作 三十六兩五錢 有司潘潤蓍
新德松峴租作 三十七兩 有司李相弼
大峴租作 四兩 未收 有司南泰祐
小亭租作 二十兩五錢 有司權承達
校村租作 二十四兩 春享作用
支坪租作 十六兩二錢 春享作用
余句租作 五十七兩八錢 有司蔡世觀
安龍租作 四十兩 有司蔡斗鉉
小巖租作 七十一兩 有司蔡奎煥
貝陵租作 十六兩
上佳租作 三十一兩 有司郭鳳會
雅川租作 二十二兩來
曳丹租作 二十五兩 有司金成鍊
光爲租作 七兩八錢未收 有司申文澈
下文昌租作 三十一兩五錢 有司申九熙
杜谷鹿洞租作 二十二兩 有司南亨元
自乃租作 四兩
新里租作 七兩二兩未收 有司柳和秀
陶溪租作 六十九兩 有司柳蘭馨
茅亭租作 十九兩五錢 有司郭漢國
鳳坪租作 七兩
下佳租作 四十兩 有司金奎元
釜谷租作 三十兩 有司權重七
池浦租作 三十二兩
周岩租作 十九兩
龍湖租作 二十七兩未收 有司李有宰
芝山租作 三十三兩 有司申衡均
{氵+穎}溪租作 十兩
下屹租作 八兩
儉汗租作 二十二兩 有司金一範
良凡租作 六兩 有司李秉周
仙洞租作 十一兩 有司朴義源
舍音租作 二十五兩 有司蔡漢秀
五台租 五斗 未收
一千五十四兩八錢內未收四十五兩八錢
實一千九兩內二百二十七兩三錢六分春享
費與校中前後費用除在七百八十一兩六錢
四分內門排九十兩入合八百七十日兩六
錢四分內書堂力谷錢二十兩八合八百
九十一兩六錢四分
丙辰二月
各門排錢收合九十兩
六十二兩進無價
二十八兩卽時利息二兩八錢
丙辰二月日
右門價給案
蔡氏門中 一百四十一兩
權氏門中 五十兩
洪氏門中 十兩
李氏門中 百兩 六十兩卽未出給 貝陵{氵+穎}溪五台
申氏門中 五十兩
南氏門中 五十兩
柳氏氏門中 六十兩
朴氏門中 五十兩
李氏門中 百兩
郭氏門中 五十兩
李氏門中 三十七兩
權氏門中 四十兩
金氏門中 六十兩
姜氏門中 二十兩
金氏門中 五十兩
曺氏門中 二十兩
潘氏門中 二十五兩
表氏門中 二十兩
合九百三十兩
八百九十一兩六錢四分時作租進門排收合
条出給四十一兩三錢六分加入價三兩二錢合
四十五兩五錢六分大峴南氏出給条三兩四錢合四十
七兩九錢六分內三十五兩一錢除在十二兩八錢六分
八月十五日
大峴南氏門中價給二十兩案
申氏門排利子十兩 虎岩未收租利子二錢
大峴租本䄪合四兩四錢
南氏門排二十兩利子二兩合十六兩六錢
不定條三兩四錢貝陵出給
未收帙 丙辰二月日
龍湖 二十七兩 價二兩七錢
光 七兩八錢 價七錢八分 合八分五錢履直用
五台 五兩 價五錢
大峴 四兩 價四錢
新里 二兩 價二錢
芝山 二兩 芝浦四兩四錢 貝陵
芝浦 鄭氏門排二兩貝陵
池浦 九兩五錢 九錢五分
釜谷 五兩五錢 五錢五分
丙辰八月十五日
鄕校錢實存記
蔡氏門中 貳佰九十壹兩
權氏門中 壹佰兩
洪氏門中 四拾兩
李氏門中 貳佰兩
申氏門中 壹佰兩
南氏門中 壹佰兩
柳氏門中 壹佰貳拾兩
朴氏門中 壹佰兩
李氏門中 貳佰兩
郭氏門中 壹佰兩
蔡氏門中 貳佰九拾壹兩
權氏門中 壹佰兩
洪氏門中 四拾兩
李氏門中 貳佰兩
申氏門中 壹佰兩
南氏門中 壹佰兩
柳氏門中 壹佰兩
朴氏門中 壹佰兩
李氏門中 貳佰兩大佳
郭氏門中 壹佰兩
李氏門中 八拾兩 龍洞
權氏門中 六十五兩
金氏門中 壹佰貳拾兩 佳庄
姜氏門中 四拾兩
金氏門中 壹佰兩 支坪
曺氏門中 四拾兩
南氏門中 四拾兩
潘氏門中 五拾兩
表氏門中 四拾兩
書堂 五拾兩
加谷 五拾兩
都合貳千貳拾六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