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1~1912년 경상북도(慶尙北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액안(額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901.4721-20160630.Y1621902006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901
형태사항 크기: 31 X 27.5
수량: 2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901~1912년 경상북도(慶尙北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액안(額案)
1901~1912년 사이 작성된 경상북도(慶尙北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의 교생 명부다. 본 자료는 ‘액안(額案)’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으며, 액내(額內) 교생만을 수록하였다. 조선시대 동안 향교 교생은 신분적인 관념에 의해 구분지어 졌다. 이러한 구분은 지역별·시기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풍기향교의 경우 액내 교생은 전통적인 사족을 입록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신흥사족이나 평민, 서얼(庶孼) 등은 액외(額外) 교생으로 분류하여 별도의 명부를 작성하였다. 그러나 본 ‘액안’은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에 작성되어 전통적인 신분관념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는 않는다. 본 ‘액안’에서 1901년 8월 4일과 1902년 2월 6일의 명부에는 각각 50명과 43명이 확인된다. 이때의 명부는 풍기향교의 교생 모두를 수록한 것이며, 1905~1912년의 명부는 새로 입학한 액내 교생 7명만을 수록해 놓은 것이다. 입록 교생의 성관(姓貫)으로는 풍기군을 대표하는 가문인 창원황씨(昌原黃氏)·평해황씨(平海黃氏)·상산김씨(商山金氏)·선성김씨(宣城金氏)·진성이씨(眞城李氏)·영양남씨(英陽南氏)·여산송씨(礪山宋氏)·인천채씨(仁川蔡氏)·풍기진씨(豊基秦氏)·안동권씨(安東權氏)·순흥안씨(順興安氏) 등이 확인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901~1912慶尙北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生 명부
額案
자료의 내용
1901년에서부터 1912년까지의 慶尙北道 豊基郡 豊基鄕校 校生 명부로 ‘額案’이란 제목으로 성책되어 있다. 풍기향교에는 18세기 중엽 이후부터 작성된 ‘액안’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작성된 ‘校案’이 전한다. 이중 ‘액안’은 정원 내의 교생인 額內만 수록한 것이며, ‘교안’은 정원 이외의 교생인 童蒙과 額外도 함께 수록해 놓은 명부다.
본 ‘액안’은 1901년 8월 4일과 1902년 2월 6일의 교생 명부, 1905년부터 1912년까지 4회에 걸쳐 直書된 교생 명부로 구성되어 있다. 1901~1902년 명부는 당시의 액내 교생 전체를 수록해 놓은 것이며, 直書한 명부는 당시 액내 교생으로 입학한 인물만 기재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각 명부 말미에는 校任인 都有司·掌議의 성명을 함께 기재하였는데, 1912년의 直書 명부 말미에는 일제강점기 職任인 直員이 기재되어 있다.
‘액안’ 가장 서두에는 두 건의 1901년 8월 4일 교생 명부를 수록하였다. 각각 50명을 수록하였는데, 같은 날짜에 작성되었고 교임도 동일하지만 수록 인물은 50명 중 26명이 다르다. 수록 인물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첫 번째 1901년 8월 4일의 명부는 黃氏 23명, 金氏·李氏 8명, 宋氏 3명, 權氏·秦氏 2명, 南氏·柳氏·蔡氏·韓氏 각 1명 순이며, 두 번째 1901년 8월 4일 명부는 黃氏 26명, 金氏 7명, 李氏 5명, 南氏 3명, 權氏·秦氏 각 2명, 郭氏·宋氏·安氏·蔡氏·韓氏 각 1명 순이다. 이어 1902년 2월 6일 명부에는 총 43명을 수록하였는데, 성씨별로는 黃氏 17명, 金氏 14명, 李氏 6명, 權氏·朴氏·宋氏·安氏·秦氏·蔡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1905~1912년의 直書 명부에는 黃氏 2명, 金氏·南氏·安氏·李氏·秦氏 각 1명, 모두 7명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의 姓貫은 당시 풍기군 지역을 대표하던 가문인 昌原黃氏·平海黃氏·商山金氏·宣城金氏·眞城李氏·英陽南氏·礪山宋氏·仁川蔡氏·豊基秦氏·安東權氏·順興安氏 등으로 확인된다.
자료적 가치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향교의 인적 구성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조선시대 향교는 입학 교생에 대한 신분적 구분을 두었다. 이러한 구분은 지역에 따라, 그리고 시기에 따라 일정한 편차가 있었다. 풍기향교의 경우 기본적으로 교생을 액내와 액외로 구분하였다. 액내는 정원 내의 교생이다. 풍기군이 조선시대 동안 郡의 읍격을 유지하였기에 『經國大典』에 의거해 공식적인 정원은 50명이었다. 1901년 8월 4일의 액내 교생은 『경국대전』의 규정과 동일하다. 반면, 액외 교생은 정원 외의 교생인데, 그 성분과 추이는 지역·시기에 따라 차이가 난다. 보통 액외는 신흥사족이나 庶孼, 평민을 그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액외 교생 중에는 신분상승이나 避役을 위해 입록하는 비사족이 많았기에, 舊來의 사족들은 교생 명부에 구분을 두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액안’이 만들어지던 시기는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로 향교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이 크게 약화된 시기였다. 따라서 본 ‘액안’은 전통적인 신분 관념에 의한 풍기군 재지사족들의 동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는 않는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額案

額案
額內
李學求
黃淑鎭
宋冕求
李義璉
李賢求
黃正欽
李甲鎬
金秀俊【改秀荷】
黃永瓚
【仙】黃哲鎭
宋轍求
金秀東
李貞羽
黃順周【和中己巳
李鳳鎬
黃達鎭
金秉魯
黃夔欽
蔡相基
南德洙
黃穆欽
柳澤佑

金尙哲
黃老周【大仁甲戌
金運海
黃炳欽
李寅鎬
黃永穆
金容學
黃基榮
黃一欽
金容肅
黃順欽
秦鳳洛
黃昊鎭
權興洙
黃永河【聖一甲戌
李彦羽
黃在學
【仙】權正銖
黃師夏
【仙】黃濬欽
黃述欽
韓圭海
秦錫仁
【仙】黃鍾欽
黃文欽
黃潤濟

宋榮達
金泰元

辛丑八月四日
都有司秦相顯
掌議李中春
齋任柳澤佑
額內
李賢求
黃淑鎭
李義璉
金秀建
黃秉春
黃基賢
黃在淸
黃壽欽
南翊洙
【仙】黃在興戊午生
黃周洛
黃永三
黃敎欽
李甲鎬
黃順周
黃正欽
黃東鎭

金秀俊
權興洙
黃炳欽
黃永瓚
黃穆欽
金秀夏
蔡相薰
秦秉鈺
【仙】黃太欽
韓圭永
金東翊
安敎煥
黃善周【汝執壬申
金運海
黃贊欽
黃老周
李希洙
黃永河
郭明濬
秦鳳洛
黃順欽
南世永
金秀東
黃昊鎭
李貞羽
黃哲鎭

南翊洙
黃周洛
宋榮達
金泰元
黃達鎭【德老辛未
黃燦欽
【仙】權正銖

辛丑八月四日
都有司秦相顯
掌議李中春
齋任柳澤佑
額內
黃淑鎭
李義璉
金秀建
李庸宇
黃哲欽
【仙】黃秉夏
黃敎欽
李甲鎬
黃正欽
金秀俊
【仙】黃章欽
金斗淵
金周顯

李聖模
秦應善
金洙學【敬悅甲戌
金秀夏
金弼林
金秀東
權中洛
金容九
蔡周錫【改名東鎭】
黃永興
安鏞煥
黃永瓚
金秀華
朴仁洙
黃基仁
黃在象
金世基【汝顯丙子
黃永昌
黃炳欽
黃老周
黃永河
黃周洛
宋必億
黃哲鎭
李貞羽
黃濬欽

黃達鎭
黃秉春
黃基賢
李希洙
黃壽欽
黃永三
金秀憲
金運海
黃瓚欽
金泰元【聖會庚辰
黃基元

壬寅二月六日
都有司黃奎鎭
掌議黃述欽
齋任黃哲鎭
宋榮達
直書
黃在鎭【穉圭癸丑
乙巳二月四日都有司李東鎬
直書
黃載洛
【仙】安{王+丙}淵
丁未八月八日都有司李東鎬
直書

南世熙
金相孝【文極丁未
秦相奎
李豊煥【亨伯丁卯
戊申七月八日都有司宋
掌議黃善周
直書
孫鳳源【聖元壬申壬子二月四日直員張柄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