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명종 19년(1564)부터 광무 3년(1899)까지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인 도선생안(道先生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99.4725-20160630.Y163220203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899
형태사항 크기: 36.5 X 24.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38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명종 19년(1564)부터 광무 3년(1899)까지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인 도선생안(道先生案)
함창향교 소장 선생안(先生案)은 모두 3책으로 본 자료는 그중 도선생안(道先生案)이다. 명종 19년(1564) 2월 이우민(李友閔)부터 광무 3년(1899) 2월 김직현(金稷鉉-경상북도 관찰사)까지 290명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으로 입사성분・성명・재임기간・교체사유・퇴임 후 진로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자료에는 출사성분(出仕成分)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경상도 관찰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비교적 우수한 성적의 문과급제 출신들이 파견되었다. 이를 관찰사 제수 당시 관직 기록된 66명의 인사가 있어 출사성분을 통해 어느 정도 유출할 수 있다. 이를 내외직으로 구분해 보면 내직 제수자 45명, 외직 제수자 21명으로 내직에서 많이 제수됨을 알 수 있다. 관직의 품계는 정2품에서 종4품까지 다양하다. 교체사유는 체귀 103명[체귀(遆歸) 97명·체귀(遞歸) 6명], 체거(遆去) 22명, 졸(卒) 6명, 체부(遞付) 3명, 죄사(罪死) 1명・파귀(罷歸) 1명, 부상(父喪) 1명이다. 이처럼 경상도 관찰사의 교체 사유는 천관(遷官)이 압도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배 기록이 있는 46명 가운데 내직으로 천관된 자는 38명 외관직으로 천관된 자는 8명 뿐으로 내직이 훨씬 많다. 도선생안은 조선시대 경상도 관찰사의 전직(前職), 재임기간, 교체사유, 천관(遷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조선왕조실록,
「조선후기 경상감사고(상・중・하)」 『도협월보 21집~23집』, 장인진, 1980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이수건, 民音社, 1989.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명종 19년(1564)부터 광무 3년(1899)까지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인 도선생안(道先生案)
자료의 내용
선생안(先生案) 내지 관안(官案)은 도(道)・부(府)・목(牧)・군(郡)・현(縣)에 역대로 부임과 교체된 지방관의 성명・입사성분(入仕成分)・재임기간・교체사유・치적 등을 간략히 기록한 명부이다. 이러한 선생안을 작성하는 배경에는 부임해 오는 수령에게 선정과 악정(惡政)을 분별할 수 있게 하는 교훈의 성격과 권과(勸課)의 규범으로 삼고자 함에 있었다. 관찰사는 종이품(從二品) 문관(文官)으로 도내의 모든 정사를 관찰하여 외관(外官) 출척, 관곡(官穀) 감독, 민생안정과 유이민의 안집, 조세・공부(貢賦) 수송과 권농(勸農), 흥학(興學) 및 교화 임무, 사법문제, 군사행정 등 모든 통치행정 업무를 총괄책임자이다. 경상도 관찰사는 고려 문종 32년(1078) 이제원(李齊元) 도부서사(都府署使)로부터 비롯되었으며, 관찰사라는 명칭은 세조 11년(1465)에 사용되었다. 경상도 감영은 고려이래 조선 태종초까지는 경주에 태종 후반 상주로 이전했고 임란 이후 대구로 옮기면서 감사 직제가 2년의 솔권겸부사(率眷兼府使)의 유영(留營)체제를 확립했으나 행영(行營)과 유영체제를 반복하다가 18세기부터 유영체제로 통일되어 갑오개혁까지 유지되었다.
함창향교에는 선생안은 도선생안(道先生案) 1책, 함창현선생안 1책, 함창부임록(咸昌赴任錄) 1책과 모두 3책이 현전하고 있다. 본 자료는 3책 중 도선생안으로 기재된 것으로 명종 19년(1564) 2월 이우민(李友閔)부터 광무 3년(1899) 2월 김직현(金稷鉉-경상북도 관찰사)까지 290명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이다. 재임한 인물은 10명이다. 본 좌목에는 입사성분・성명・재임기간・교체사유・퇴임 후 진로 등을 수록하고 있다. 본 자료에는 출사성분(出仕成分)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경상도 관찰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비교적 우수한 성적의 문과급제 출신들이 파견되었다. 관찰사 제수 당시 관직 기록된 66명의 인사를 통해 출사성분을 어느 정도 유출할 수 있다. 이를 내외직으로 구분해 보면 내직 제수자 45명, 외직 제수자 21명으로 내직에서 많이 제수됨을 알 수 있다. 관직의 품계는 정2품에서 종4품까지 다양하다. 우선 내직에는 호조판서(戶判) 2명・대사헌(大司憲) 1명・참판(參判) 5명[형조참판(刑參) 2명・호조참판(戶參) 1명・예조참판(禮參) 1명・참판(參判) 1명]・부제학(副學) 1명・승지(承旨) 22명・좌승지(左丞) 1명・첨지(僉知) 4명・참의(參議) 5명[병조참의(兵議) 2명・예조참의(禮議) 1명・형조참의(刑議) 1명・호조참의(戶議) 1명]・판결사(判決) 1명・대간(大諫) 2명・응교(應敎) 1명이다. 이중 승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경상도 관찰사직의 중요성을 고려해서 왕이 신임하는 인사를 제수했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외직 제수자는 경기도 관찰사(畿伯) 1명・부윤(府尹) 4명[경주부윤(慶尹) 2명・광주부윤(廣尹) 2명]・우윤(右尹) 2명・광주목사(光牧) 1명・부사(府使) 13명[담양부사(潭陽府使) 1명・동래부사(東來府使) 2명・수원부사(水原府使) 4명・안동부사(安東府使) 4명・장단부사(長端府使) 1명・정평부사(定平府使) 1명] 이다. 경상도 관찰사의 임기는 법적으로 대구부사를 겸했을 때의 임기는 2년, 그렇지 않을 경우 1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규정된 임기가 있음에도 그 기간이 잘 지켜지지 않고 대부분 임기 만료 전에 빈번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본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교체사유는 체귀 103명[체귀(遆歸) 97명·체귀(遞歸) 6명], 체거(遆去) 22명, 졸(卒) 6명, 체부(遞付) 3명, 죄사(罪死) 1명・파귀(罷歸) 1명, 부상(父喪) 1명이다. 이처럼 경상도 관찰사의 교체 사유는 천관(遷官)이 압도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죄사된 자는 광해군 11년(1619)부터 광해군 13년(1621)간 재임한 정조(鄭造)로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폐모론(廢母論)의 주동자로 지목되어 처형되었다. 파직자는 숙종 38년(1712) 6월부터 숙종 40년(1714) 6월까지 재직하던 이탄(李坦)은 밥상에 금육(禁肉)을 올린 과실 때문에 파직당했다. 이배의 기록이 있는 46명 가운데 내직으로 천관된 자는 38명 외관직으로 천관된 자는 8명 뿐으로 내직이 훨씬 많다. 내직 관직에는 영의정(領相) 4명, 우의정(右相) 6명, 판서(判書)[이조판서(吏判) 10명・예조판서(禮判) 2명・형조판서(刑判) 2명・판서 2명], 대사헌(大司憲) 3명, 참판(參判) 4명[참판 3명・이조참판(吏參) 1명], 대사간(大司諫) 2명, 이조참의(吏議) 1명, 제학(提學) 1명, 판결(判決) 1명 순이다. 외관직에는 감사 6명[경기감사(畿伯) 1명・평안감사(平安監司) 4명・함경감사(咸慶監司) 1명], 유수 3명[강화유수(江華留守) 1명・개성유수(開城留守) 2명] 이다. 천관(遷官) 인사 7명을 제외하면 전부 승진 내지 동일 품계로 옮겼다는 사실은 경상도 관찰사 직이 요직(要職)임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우도 분리 시에는 좌감사(左監司) 1명, 우감사(右監司) 3명의 기록도 보인다.
자료적 가치
도선생안은 조선시대 경상도 관찰사의 전직(前職), 재임기간, 교체사유, 천관(遷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조선왕조실록,
「조선후기 경상감사고(상・중・하)」 『도협월보 21집~23집』, 장인진, 1980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이수건, 民音社, 1989.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道先生案
道先生嘉靖甲子以後案
李友閔【甲子二月到界乙丑二月遆歸】
李澤【乙丑二月到界同年四月遆歸】
宋贊【乙丑五月到界同年九月遆歸】
姜士尙【乙丑十一月到界丙寅十一月遆歸】
柳昌門【丙寅十一月到界丁卯九月遆歸】
朴啓賢【丁卯十一月到界戊辰六月遆歸】
鄭惟吉【戊辰七月到界己巳二月遆歸】
姜濯【己巳三月到界同年五月遆歸】
李陽元【己巳閏月到界庚午四月遆歸】
朴大立【庚午二月到界辛未二月遆歸】
在任宋贊【辛未六月到界壬申正月遆歸】
任說【壬申二月到界同年十二月遆歸】
盧禎【癸酉正月到界同年八月遆歸】
金繼輝【癸酉九月到界甲戌十月遆歸】
尹根壽【甲戌十月到界戊寅十月遆歸】
朴謹元【戊寅十月到界丙子二月遆歸】
朴素立【丙子三月到界丁丑三月遆歸】
李遴【丁丑三月到界同年八月遆歸】
兪泓【丁丑閏月到界戊寅正月遆歸】
崔顒【戊寅三月到界同年十月遆歸】
鄭之衍【戊寅十二月到界己卯五月遆歸】
許曄【己卯六月到界庚辰二月卒】
鄭彦智【庚辰三月到界同年七月遆歸】
洪聖民【庚辰八月到界辛巳九月遆歸】
尹卓然【辛巳十月到界壬午八月遆歸】
柳塤【壬午九月到界癸未八月遆歸】
柳成龍【癸未十月到界甲申七月遆歸】
權克禮【甲申七月到界乙酉八月遆歸】
李山甫【乙酉八月到界丙戌八月遆歸】
柳永立【丙戌八月到界丁亥八月遆歸】
權克智【丁亥八月到界戊子九月遆歸】
金睟【戊子九月到界庚寅六月遆歸】
再任洪聖民【庚寅六月到界辛卯六月遆歸】
再任金睟【辛卯六月到界壬辰八月遆歸】
左監司韓孝純【壬辰九月到界】
右監司金誠一【壬辰九月到界癸巳四月卒】
右監司金玏【癸巳五月到界同年十月遆歸】
再任韓孝純【癸巳十月合道甲午八月遆歸】
洪履祥【甲午八月到界丙申四月遆歸】
右監司徐渻【乙未二月到界】
左監司李用淳【丙申四月牧使到界】
李用淳【丙申六月合道戊戌二月遆歸】
尹承勳【戊戌二月到界同年四月遆歸】
鄭經世【戊戌四月到界同年十二月遆歸】
柳永慶【戊戌十二月到界戊寅三月遆歸】
韓浚謙【己亥三月到界庚子三月遆歸】
金信元【庚子三月到界辛丑十月遆歸】
李時發【辛丑十月自慶尹到界甲辰九月遆歸】
李時彦【甲辰九月自慶尹到界乙巳九月遆歸】
柳永詢【乙巳九月自定平府使到界丁未三月遆歸】
鄭賜湖【丁未四月到界同年十二月遆歸】
李尙信【丁未十二月到界戊申九月遆歸】
崔瓘【戊申九月到界己酉遆歸】
辛慶晉【己酉二月到界同年五月遆歸】
姜籤【己酉五月左丞到界庚戌三月遆歸】
李廷臣【庚戌三月安東府使到界辛亥三月遆歸】
尹昉【辛亥三月畿伯到界同年十一月遆歸】
宋英考【辛亥十二月到界壬子十二月遆歸】
尹暉【壬子十二月到界癸丑五月遆歸】
權昐【癸丑五月到界甲寅六月遆歸】
張晩【甲寅七月到界同年十一月遆歸】
沈悅【甲寅十二月到界乙卯六月遆歸】
成晉善【乙卯八月到界丁巳四月遆歸】
尹暄【丁巳四月到界戊午七月遆歸】
朴慶新【戊午七月到界己未十一月遆歸】
鄭造【己未十二月兵議到界辛酉十一月去罪死】
金止南【辛酉十一月到界癸亥七月遆歸】
閔聖徵【癸亥七月到界甲子三月遞歸】
李敏求【甲子三月到界乙丑四月遆歸】
金{糸+致}【乙丑四月到界同年五月卒】
元鎤【乙丑七月到界丙寅五月遆歸】
鄭蘊【丙寅五月大諫到界同年閏六月遞歸】
金時讓【丙寅八月僉知到界戊辰十二月遞歸】
洪霶【戊辰十二月到界庚午正月遞歸】
李溟【庚午正月刑參到界辛未正月遞歸】
趙希逸【辛未正月禮參到界同年九月遞歸】
吳䎘【辛未十月承旨到界壬申十月遆歸】
鄭世矩【壬申三月僉知到界癸酉二月遆歸】
洪命考【癸酉二月僉知到界甲戌七月遆歸】
李基祚【甲戌八月戶議到界戊寅八月遆歸】
兪伯曾【戊寅八月水原府使到界丙子三月遆歸】
沈演【丙子三月光牧到界丁丑四月遆歸】
李敬輿【丁丑閏四月承旨到界戊寅二月遆歸】
李景曾【戊寅二月大諫到界己卯四月遆歸官至吏判
李命雄【己卯七月到界庚辰七月遆歸】
具鳳瑞【庚辰七月承旨到界壬午七月遆歸】
鄭太和【壬午七月戶參到界同年十月遆歸領相
林墰【壬午十月安東府使到界癸未十月遆歸吏判
元斗杓【癸未十月江都守到界同年十二月遆歸】
再任林墰【甲子正月兵議到界乙酉二月遆歸】
兪㯙【乙酉二月承旨到界丙戌正月遆歸大司憲
許積【丙戌正月承旨到界丁亥七月遆歸領相
睦性善【丁亥七月承旨到界同年九月卒】
趙壽益【丁亥九月承旨到界戊子二月遆歸】
李曼【戊子三月禮議到界己丑十一月遆歸平安監司
閔應協【己丑十一月承旨到界庚寅十一月遆歸】
南銑【庚寅十一月大司憲到界辛卯七月遆歸吏判
柳淰【辛卯九月東來府使到界壬辰十月遆歸】
趙啓遠【壬辰十月潭陽府使到界癸巳十月官至正憲刑判忠靖公】
權堣【癸巳十月承旨到界乙未二月去開城留守
南翧【乙未六月安東府使到界丙申正月遆歸】
洪處厚【丙申正月承旨到界同年閏五月遆歸】
徐元履【丙申六月到界丁酉七月遆去咸慶監司
任義伯【丁酉七月到界戊戌九月遆去平安監司
洪葳【戊戌九月萊伯到界己亥九月遆歸】
再任洪處厚【己亥九月廣尹到界辛丑閏七月遆歸】
閔熙【辛丑七月承旨到界壬寅九月遆去右相
鄭萬和【壬寅九月承旨到界癸卯二月去平安監司
李尙眞【癸卯二月到界甲辰八月遆去右相
再任任義伯【甲辰八月到界乙巳八月遆歸】
金徽【乙巳八月右尹到界丙午正月遆歸吏判
閔點【丙午三月到界同年七月遆歸贊成】
李泰淵【丙午七月到界丁未八月遆去平安監司營卒】
南龍翼【丁未八月到界戊申四月遆去官至輔國吏判
沈梓【戊申四月承旨到界己酉遆去官至吏判
閔蓍重【己酉六月水原府使來壬子正月去】
李䎘【壬子正月來癸丑官至右相
李觀徵【癸丑四月承旨到界乙卯三月官至吏判奉朝賀】
鄭重徽【乙卯五月承旨到界丙辰九月官至參判海興君】
金德遠【丙辰九月承旨到界丁巳五月官至右相】
鄭檏【丁巳五月到界戊午二月官至大司憲
李端錫【戊午三月承旨到界己未六月官至參判
朴信圭【己未六月右尹到界庚申八月官至戶判
尹趾完【庚申八月到界辛酉四月官至右相
李翊【辛酉四月戶判到界同年遆去吏判
李秀彦【辛酉八月應敎到界壬戌九月遆去禮判
權是經【壬戌九月水原府使到界癸亥十一月官至判敦寧】
徐文重【癸亥十一月戶判到界甲子九月官至領相
再任尹趾完【甲子九月參判到界乙丑九月遆去右相
李奎齡【乙丑九月到界丙寅四月遆去刑判
朴泰遜【丙寅四月承旨到界丁卯九月遆吏議
李世華【丁卯九月長端府使到界己巳三月行吏判忠肅公】
李玄錫【己巳閏三月安東府使到同年十二月遆去禮判
吳始大【己巳十二月僉知到界庚午八月遆去江華留守
李聃命【庚午八月副學到界辛未七月遆去參判
閔昌道【辛未七月承旨到界壬申十月遆歸】
李玄紀【壬申十月承旨到界癸酉十月遆去大司諫
李端雨【癸酉十月到界甲戌閏五月遆去參判提學
李寅煥【甲戌閏五月刑議到界丙子五月遆去吏參
李善溥【丙子五月判決到界同年十二月遆歸】
李彦紀【丙子十二月到界戊寅九月遆去開城留守
金世翊【戊寅九月廣尹到界同年十月卒】
李世載【戊寅十一月到界辛巳二月遆去平安監司
崔錫恒【辛巳二月承旨到界壬午十月遆去大諫
趙泰東【壬午十月到界癸未七月遆去大司憲
朴權【癸未七月前承旨到界甲申六月吏參去至吏判
金演【甲申六月刑參到界丙戌七月右尹去至判書
李壄【丙戌七月到界戊子三月判決去至畿伯
洪萬朝【戊子三月到界官至判書
李師尙【己丑十一月到界】
兪命弘【庚寅六月到界】
李宜顯【辛卯八月到界壬辰六月大司諫去至領相奉朝賀】
李坦【壬辰六月水原府使到界甲午六月罷歸】
洪禹寧【甲午六月到界】
權{忄+業}【丁酉六月到界戊戌四月遆去判書
李㙫【戊戌四月到界己亥四月遆歸】
吳命恒【己亥四月到界】
趙泰億【庚子十一月到界】
洪禹傳【辛丑八月到界】
兪命凝【壬寅四月二十四日到界】
李廷濟【壬寅十月二十七日到界】
李世瑾【癸卯八月日到界】
金東弼【甲辰三月初八日到界】
柳以鎭【甲辰九月十九日到界】
趙榮福【乙巳四月二十四日到界】
兪拓基【丙午五月十九日到界】
黃濬【丁未七月二十四日到界】
朴文秀【戊申四月二十四日到界】
趙顯命【庚戌七月十七日到界】
金始炯【壬子十月十三日到界】
金在魯【甲寅七月二十三日到界】
閔應洙【乙卯三月初八日到界】
再任兪拓基【丁巳四月初七日到界】
尹陽來【戊午七月二十二日到界】
李箕鎭【戊午九月初九日到界】
趙明謙【기미六月二十九日到界】
鄭益河【己未十二月日到界】
沈聖希【辛酉六月十五日到界】
金尙星【壬戌九月日到界】
金尙魯【甲子四月日到界】
權爀【乙丑五月初九日到界】
南泰良【丁卯正月二十九日到界】
閔百祥【己巳正月日到界】
趙載浩【辛未六月日到界】
尹東度【壬申六月日到界】
李彛章【甲戌正月日到界】
李益輔【戊寅十月日到界】
李成中【丙子十月日到界】
趙雲逵【丁丑九月日到界】
趙曮【己卯正月十五日到界】
黃仁儉【辛巳正月二十二日到界】
金尙喆【壬午六月二十六日到界】
鄭存謙【甲申正月初九日到界】
金應淳【丙戌正月十七日到界】
趙暾【丁亥閏七月初八日到界】
李溵【丁亥十二月初八日到界】
金漢耆【己丑三月晦日到界】
李瀰【己丑十二月十五日到界】
李命植【辛卯二月十五日到界】
李潭【辛卯十一月十二日到界】
金華鎭【壬辰四月二十三日到界】
閔弘烈【甲午六月十八日到界】【同年九月初一日遭父喪】
尹養厚【甲午九月十二日到界】【本縣交龜】
金載順【乙未四月二十六日到界】【丙申五月遞付大司憲
李衍祥【丙申五月初六日到界】
李性源【丁酉八月初三日到界】
李在簡【戊戌九月初一日到界】
洪樂彬【己亥十月二十七日到界】
趙時俊【庚子二月二十七日到界】
李文源【辛丑二月初四日到界】
再任趙時俊【辛丑十月初九日本道慰使巡營交龜】
李秉模【壬寅十二月初九日到界尙州梧里院交龜】
鄭昌順【乙巳二月二十四日到界交龜亭交龜】
金尙集【丙午九月初四日到界】
金光默【丁未六月初九日到界亭松林寺亭交龜】
洪檍【己酉二月十二日到界尙州交龜】
李祖源【己酉十月二十四日到界善山交龜】
鄭大容【辛亥四月二十四日金山到界尙州交龜】
趙鎭宅【癸丑六月十三日到界交龜亭交龜】
李泰永【乙卯六月初七日到界尙州交龜】
李亨元【丁巳三月初九日到界尙州交龜】
李義綱【戊午六月初九日到界本縣交龜】
申耆【己未正月二十六日到界聞慶交龜】
金履永【庚申八月十七日到界制勝堂交龜】
南公轍【壬戌二月二十九日到界善山交龜】
金義淳【甲子正月十六日到界交仁同龜】
尹光顔【丙寅二月日秋風嶺到界仁同交龜】
鄭東觀
鄭晩錫
金會淵
金魯應
李存秀【甲戌七月十五日到界仁同交龜】
金魯敬【丙子十二月二十二日到界交龜亭交龜】
金履載
李在秀
金相休
李止淵
趙寅永
李鶴秀
鄭基善【丁亥九月初六日到界己丑六月日遞付吏曹判書
李勉昇【己丑七月十一日到界鳥嶺館交龜辛卯正月日遞付吏判
朴岐壽【辛卯正月十五日尙州交龜壬辰五月遆歸】
金陽淳【壬辰五月十六日到界】
徐喜淳【癸巳五月二十一日到界】
趙秉鉉【甲午十二月二十四日到界】
尹聲大【丙申十月二十二日到界】【戊戌五月初十日遆歸】
權敦仁【戊戌五月初十日到界】
金道喜【己亥三月二十五日到界】
洪在喆【庚子九月初六日到界】
李景在【壬寅四月初七日遆歸】
洪鐘英【癸卯十二月二十四日到界】
李啓朝【乙巳十一月十二日到界】
金公鉉【丁未四月初十日到界】
金大根【戊申八月日本邑交龜】
徐箕淳【己酉十月日到界】
李鼎臣【庚戌十月日到界】
李紀淵【辛亥三月日到界】
洪說謨【壬子二月日到界】
曺錫雨【癸丑四月二十日到界】
金學性【甲寅八月日到界】
申錫愚【乙卯三月日到界】
趙秉駿【丁巳四月日到界】
沈敬澤【戊午三月日到界】
洪祐吉【己未二月十七日到界】
金世均【庚申六月二十日到界】
李敦榮【壬戌】
徐憲淳【癸亥】
李參鉉【乙丑】
吳取善【戊辰】
金世鎬【己巳八月初四日到界】
兪致善【甲戌二月日到界】
洪垸【甲戌七月日到界】
朴齊寅【戊寅七月二十六日到界翌日交龜本邑】
李根弼【戊寅二月日到界】
尹滋承【辛巳二月二十一日到界】
趙康夏【癸未二月二十九日到營】
南一佑
李鎬俊
金明鎭
閔廷植
李憲永
李容直
趙秉鎬
安東觀察府金奭中
李南珪
北道李重夏
嚴世永
趙漢國
金稷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