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고종 31년(1894) 작성한 함창향교(咸昌鄕校)의 제물등록(祭物謄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94.4725-20160630.Y163220202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내용분류: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894
형태사항 크기: 36.5 X 25.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29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고종 31년(1894) 작성한 함창향교(咸昌鄕校)의 제물등록(祭物謄錄)
본 문서는 경상도 함창현에서 국가제사를 거행할 때 올리는 제물의 종류와 제기(祭器), 제복(祭服) 등의 현황들을 고종 31년(1894)에 정리해 놓은 제물등록(祭物謄錄)이다. 문서에 소개되는 순서는 제례의 종류를 비롯해서 제물의 유형과 수량, 제수, 제복 등의 순이다. 각 제향마다 제사 물품의 이름과 수량을 한 줄씩 연속하여 기록했는데 하단에 추가 수량과 공수처를 적기해 두었다. 제물은 음식류가 대부분이지만, 향(香)・폐백(幣帛)・촉(燭)・필묵(筆墨) 등과 같은 물품도 포함시켰다. 또한 1911년 향교 개수 후 올린 이안・봉안제 당시 올렸던 제물을 진설도(陳設圖) 형식으로 나타내었다. 이 등록은 국가 제사에 소요되는 제물의 종류, 수량, 제기, 제복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후기 지방에서 거행하던 제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의 국가 제사』, 한형주 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고종 31년(1894) 작성한 함창향교(咸昌鄕校)의 제물등록(祭物謄錄)
자료의 내용
본 문서는 경상도 함창현에서 국가제사를 거행할 때 올리는 제물의 종류와 제기(祭器), 제복(祭服) 등의 현황들을 고종 31년(1894)에 정리해 놓은 제물등록(祭物謄錄)이다. 유교적 이념을 국시로 표방한 조선에서는 오례(五禮) 가운데 제례(祭禮)를 가장 중요시 했다. 이는 천지와 조상 그리고 성현(聖賢)에 대해 예를 표하는 의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종 대 반포되는 국조오례(國朝五禮)에는 제사를 지내는 대상에 따라 천신(天神)에 지내는 것은 ‘사(祀)’, 지기(地祇)에 지내는 것은 ‘제(祭)’, 인귀(人鬼)에 지내는 것은 ‘향(享)’, 문선왕(文宣王)에게 지내는 것은 ‘석전(釋奠)’이라 하였다. 아울러 제례의 규모와 중요성에 따라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기고(祈告)・주현(州縣)・속제(俗祭)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중 주현은 지방 단위에서 지방관이 주재자가 되어 사직・문선왕・여제(厲祭) 등의 제사를 올리는 제사를 뜻하는 것으로 본 자료와 연관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함창현 사묘조에 사직단은 현의 서쪽, 문묘는 향교, 성황사는 현의 북쪽 3리, 여단(厲壇)은 현의 북쪽에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후대의 관찬지리서인 여지도서와 읍지 등에서도 관련 기록이 확인된다. 문서에 소개되는 순서는 제례의 종류를 비롯해서 제물의 유형과 수량, 제수, 제복 등의 순이다. 첫 번째 사항에서는 대제(大祭)에 오성위와 이십이현위(二十二賢位), 사직제와 기우제, 성황발고제(城隍發告祭), 여제(厲祭)에 성황일위(城隍一位), 무사귀십오위(無祀鬼十五位), 고유이안제(告由移安祭)에 오성위, 십구현위(十九賢位)가 언급되고 있다. 각 제사에 따라 그 제물의 종류가 차이가 있다. 두 번째 사항에서는 대제와 여제에 사용되는 각종 제기(祭器) 수량이 언급되어 있으며 아울러 사직제 때 착용하는 제복 규정도 마련되어 있다. 이어 위판(位版)을 조성하여 승배(陞配) 후 올리는 의식인 예성제(禮成祭) 등록, 김문정공승배추입향(金文正公陞配追入享), 고유제 등에 사용하는 제물 목록에 대해서도 상세히 적어 놓았다. 또한 이러한 물품을 동원하거나 보관 장소가 기재되어 있는데 열거하면 원두한(圓頭汗)・대동색(大同色)・관청・공고(工庫)・항교・통인(通引)・사창(司倉)・공방(工房) 등 다양한 곳에서 공수하고 있었다. 전체 기록을 살펴보면, 각 제향마다 제사 물품의 이름과 수량을 한 줄씩 연속하여 기록했는데 하단에 추가 수량과 공수처를 적기해 두었다. 제물은 음식류가 대부분이지만, 향(香)・폐백(幣帛)・촉(燭)・필묵(筆墨) 등과 같은 물품도 포함시켰다. 또한 1911년 향교 개수 후 올린 이안・봉안제 당시 올렸던 제물을 진설도(陳設圖) 형식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진설도는 제상(祭床)에 올려진 제물명과 향로만 적은 것이기에 그 수량을 실제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 등록은 각 제물의 수량을 자세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실제로 제사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좌목 말미에는 1894년 연도와 당시 중수한 함창현감 곽치년(郭致秊) 이름으로 끝을 맺고 있다. 현재 그의 선정비가 함창읍 증촌리 비석거리 내 세워져 있다.
자료적 가치
이 등록은 국가 제사에 소요되는 제물의 종류, 수량, 제기, 제복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후기 지방에서 거행하던 제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서는 관청에 소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향교에 있는 것은 한말까지 함창향교는 관의 통제 하에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며, 제향을 향교에서 많은 부분을 준비했을 가능성도 유출할 수 있다. 이는 조선후기 향교의 교육적 기능이 쇠퇴하고, 재정의 어려움으로 향교가 피폐해졌지만 고유의 제향 기능인 석전과 삭망분향의 향사를 통한 교화의 기능을 계속 유지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의 국가 제사』, 한형주 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光緖二十年甲午二月 日各祭祭物謄錄
大祭酒米 三斗四升 加壹升 每斗曲子四圓式官廳曲子伍介
聖隍祭酒米
社稷祭酒米壹斗升捌升 圓頭汗
厲祭酒米參斗陸升陸合
一大祭
五聖位
稲米貳斗貳升伍合 加壹升 圓頭汗
粘栗米貳斗貳升伍合 加壹升
忝米貳斗貳升伍合 加壹升
稷米貳斗貳升伍合 加壹升
鹿脯貳拾伍條 加貳條
鹿醢伍升 加壹升
兎醢伍升 加壹升 大同色
魚醢伍升 加壹升
醢伍升 加壹升
栗黃伍升 加壹升
乾棗伍升 加壹升
楱子伍升 加壹升
菱伍升 加壹升 官廳
芡仁伍升 加壹升
魚鱐伍條 代夻魚
刑塩伍升 加壹升 官廳
芹葅伍升 加壹升
靑菹伍升 加壹升
非葅伍升 加壹升
荀{艹+歹+且}伍升 加壹升 圓頭汗
羊腥壹口 司倉
豕腥壹口 司倉
祭酒參甁 校中
幣帛玖拾尺 每位周尺拾扒尺式
黃燭伍雙 加壹雙 大同色
香壹封 工庫
二十二賢位
稲米肆斗柒升伍拾 加伍升 加貳升伍合 圓頭汗
忝米肆斗柒升伍合 加伍升 加貳升伍合 農色
鹿脯伍拾柒條 加陸條 加參條
鹿醢壹斗玖升 加貳升 加壹升 大同色 塩肆升鹿醢所八官廳
菁葅壹斗玖升 加貳升 加壹升 圓頭汗
豕腥參口 加貳口 司倉
祭酒參瓶 校中
黃燭拾柄 加貳柄 加壹柄 大同色
晝燭肆拾陸柄 加肆柄 加貳柄 大同色
香壹封 工庫
栗黃壹斗玖升 加貳升 加壹升 官廳
黃筆壹柄 眞墨壹丁 大同色
祝文紙壹張 籩梪紙拾貳張 通引
燈油壹升 官廳
滌器布拾尺 官廳
封裏紙 拾伍張 通引
社稷祭春秋及祈雨祭幷同
粘栗米玖升
忝米玖升
稷米玖升 圓頭汗
鹿醢貳升
鹿脯肆條
栗黃貳升 官廳
乾棗貳升
漁醢貳升
刑塩貳升 官廳
菁葅貳升
芹葅貳升 圓頭汗
豕腥壹口 司倉
黃燭貳雙拾 大同色
祝文紙壹張 籩豆紙伍張 通引
黃筆壹柄 大同色
眞墨壹丁
祭酒貳甁 八鐥 圓頭汗
幣帛參拾陸尺 每位周尺拾扒尺 大同
香壹封 工庫
燈油貳合 官廳
封貳紙伍張 通引
城隍發告祭
栗黃貳升
鹿脯肆條 官廳
淸酒壹甁 壹鐥 圓頭汗
玄酒壹甁
黃燭壹雙 大同色
香壹封 工庫
祝文紙壹張
籩豆紙貳張 通引
黃筆壹柄
眞墨壹丁 大同色
燈油壹合 官廳
厲祭
城隍一位
稲米肆升伍合
粘栗米肆升伍合
忝米肆升伍合
稷米肆升伍合 圓頭汗
鹿脯肆條
鹿醢貳升
魚醢貳升 官廳
菁葅貳升
芹葅貳升 圓頭汗
刑塩貳升 官廳
栗黃貳升
乾棗貳升 官廳
豕腥壹口
羊腥壹口 司倉
祭酒壹柄 壹鐥 圓頭汗
玄酒壹甁
無祀鬼十五位
稲米拾伍斗
祭酒貳甁 十八鐥 圓頭汗
羊腥壹口司倉
豕腥壹口
黃燭壹雙 大同色
香壹封 工庫
祝文紙壹張
籩豆紙伍張
封裏紙伍張 通引
晝燭參拾參柄 工房
黃筆壹柄
眞墨壹丁 大同色
艮醬參升 官廳
甘雚伍立
燈油貳合 官廳
祈雨祭
酒米參升
曲子壹圓 酒婢上下
稲米貳升伍合 加壹升
忝米貳升伍合 加壹升
鹿脯肆條
鹿醢貳升 加壹升 官廳
豕腥壹口
香壹封 工庫
祭酒貳甁 酒母
黃燭壹雙 工庫
祝文紙壹張 通引
黃筆壹柄
眞墨壹丁 吏房
燈油貳合 官廳
告由移安祭還安祭幷同
五聖位
稲米貳斗貳升伍合
忝米貳斗貳升伍合
酒米參斗肆升
曲子壹同參圓
鹿脯貳拾伍條 本大同色
鹿醢伍升 加壹升 官廳
豕腥壹口 司倉
祭酒貳甁 加貳甁
黃燭拾柄 本大同色
十九賢位
稲米肆斗柒升伍合
忝米肆斗柒升伍合
鹿脯參拾貳條 加貳拾伍條 本大同色
鹿醢壹斗陸升 加參升 官廳
黃燭拾柄 本大同色
豕腥貳口 司倉
祭酒貳甁 加貳甁
晝燭參拾柄 工房
燈油伍合
滌器布拾尺 官廳
黃筆壹柄 本大同色
眞墨壹丁 本大同色
祝文紙壹張
籩梪紙伍張 通引
香壹封 工庫
一大祭祭器
簋二十八坐又二坐
簠二十八坐又二坐
爵參十四坐又一坐
罇五坐
飮福爵一坐校中
龍爵三坐
燭基九雙內 一雙在校 八雙在工庫 木燭臺一雙在客舍
香盒七雙內 一雙在校 六雙在工庫
香爐七坐內 一坐在校 六雙在工庫
菊伊 三坐
一社稷祭祭服
祭服三件
紅裳三件
冠三件
方心三件
革帶三件
襪三件
笏三件
幣膝三件
皮鞋三件
一厲祭祭器
簠二坐
簋二坐
爵三坐
木籩䇺八坐
燭臺一雙
香爐一坐
龍爵一坐
飮福爵一坐
沙鉢十五坐
貼匙
湯器 幷七十二坐
各祭酒飯米三石三斗六升六合內 十一斗五升農色給
禮成祭謄錄
五聖位
酒米貳斗貳參幷 加貳升
曲子玖圓 加貳圓
稲米貳斗貳升拾伍合 加壹升
忝米貳斗貳升伍合 加壹升
鹿脯陸升
豕腥壹口
黃燭伍雙 加壹雙
黃筆壹柄
眞墨壹丁
一十九賢位
稲米肆斗柒升伍合 加貳升伍合
忝米肆斗柒升伍合 加貳升伍合
鹿脯伍拾肆條 加參條
鹿醢壹兜玖升 加壹升
黃燭伍雙壹柄 加壹柄
籩梪紙拾張
滌器布拾尺
豕腥參口
祭酒參甁
已上春等米參石肆斗貳升陸合內
拾貳斗伍合農色
貳石柒斗貳升壹合圓頭汗
秋等米肆石肆玖斗扒升內
拾貳斗柒升伍合農色
參石拾參斗伍合圓頭汗
丙辰十一月十一日
金文正公陞配追入 享
告由祭
文宣王位
爵壹盛淸酒壹甁 二鐥
䇺壹盛芹葅貳升
籩壹盛栗黃貳升 官廳
黃燭壹雙 大同
燈油貳合 官廳
籩梪紙壹張 通引
文正公位 奉安
爵壹盛淸酒壹甁 二鐥
䇺壹盛芹葅貳升
籩壹盛栗黃貳升 官廳
黃燭壹雙
黃䇺壹柄
眞墨壹丁 大同色
籩梪紙壹張 通引
香壹封 工庫
鄕校滲漏時修改
聖廟移安辛亥四月初六日奉安五月十八日而移還安祭封進
鹿脯本大同色擔當一時裁脯兩祭物封進
鹿醢自官廳封進後考次價本則柒兩上下次
神位
鹿脯 栗黃
乾棗 魚醢 羊腥

鹿醢 靑菹
魚醢 芹菹
周尺
沴氣死亡人別慰祭祭物 設祭時設三層坍上中層盛以磁碗下層則威以 陶器祭物則以飯羹脯酒務令風備庚申▣依冠關設行
飯米參斗
甘雚參立
脯參貼
淸酒參甁
艮醬貳升
燈油參合
黃燭參雙
香參封
祝文紙壹張
黃筆壹柄
眞墨壹丁
封裏紙伍張
甲午仲春知府郭致秊重修茶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