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6~1887년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生 명부
자료의 내용
1876년부터 1887년까지 작성된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生 명부다. ‘額案’이라는 제목으로 성책되어 있는데, 명부는 모두 정원 내 교생인 額內로만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풍기향교에는 18세기 중반부터 작성된 ‘액안’과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까지 작성된 ‘校案’이 함께 전한다. 전자의 경우 액내 교생만을 수록하였고, 후자는 액내 교생을 비롯해 童蒙과 額外 교생도 수록해 놓은 것이다.
본 ‘액안’은 1876년 2월 초5일, 1877년 2월 15일, 1885년 8월 초1일, 1886년 8월 초8일, 1887년 2월 초8일, 그리고 1887년 8월 초3일 直書 명부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선 다섯 명부는 액내 교생 전부를 수록한 것이며, 直書 명부는 전체 교생이 아니라 당시 입학한 교생을 기재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풍기향교에는 본 ‘액안’ 말고 1860~1899년 ‘액안’이 함께 전한다. 본 ‘액안’과 작성 시기가 일치하는 명부가 함께 남아 있다는 것인데, 수록된 명단도 한두 명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두 명부를 비교해 보면, 본 ‘액안’의 宋必壽는 1860~1899년 ‘액안’에 누락되어 있으며, 1860~1899년 ‘액안’에 수록된 郭顯相·郭敦相은 본 ‘액안’에서 削籍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의 구체적인 사유는 알 수 없으나 이들의 액내 교생 입록을 둘러싼 풍기향교 유생들 간의 갈등을 추정할 수 있으며, 그런 가운데 복수의 ‘액안’이 전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각 ‘액안’의 말미에는 당시의 校任인 都有司·掌議·齋任의 성명이나 성씨가 수록되어 있다. 1885년에는 豊基郡守 兪達濬이 풍기향교의 首任인 도유사를 직접 맡은 것으로 나타난다.
가장 앞에 수록된 1877년 1월 초5일 명부에는 16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1명이 삭적되어 있다. 성씨별로는 黃氏 7명, 金氏 3명, 南氏 2명, 權氏·宋氏·李氏·蔡氏 각 1명 순이다. 1877년 2월 15일 명부에는 黃氏 26명, 金氏 7명, 南氏 3명, 李氏 2명, 權氏·柳氏·朴氏·宋氏·鄭氏·秦氏·蔡氏·韓氏·洪氏 각 1명 순으로 모두 47명이 기재되어 있다. 1885년 8월 초1일 명부에는 黃氏 30명, 金氏 7명, 李氏 4명, 南氏·宋氏 각 2명, 權氏·柳氏·尹氏 각 1명 순으로 모두 49명이 기재되어 있는데, 삭적 흔적이 한 곳 확인된다. 1886년 8월 초8일 명부도 모두 49명을 기재해 놓았으며, 삭적 흔적이 한 곳 있다. 성씨별로는 黃氏 26명, 金氏 7명, 南氏·宋氏·李氏 각 3명, 柳氏·秦氏 각 2명, 權氏·朴氏·韓氏 각 1명 순이다. 1887년 2월 초8일 명부도 총 49명 기재에 삭적 흔적이 한 곳 있다. 성씨별로는 黃氏 25명, 金氏 10명, 李氏 3명, 南氏·柳氏·宋氏 각 2명, 權氏·朴氏·秦氏·蔡氏·韓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1887년 8월 초3일 直書로 본 ‘액안’에 입록된 인물은 3명으로 黃氏 2명, 權氏 1명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구성과 19세기 후반 풍기군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經國大典』은 고을의 규모에 따라 교생 정원에 차등을 두었다. 이에 풍기군처럼 郡의 邑格을 가진 고을은 50명의 교생을 보유할 수 있었다. 본 ‘액안’에서 확인되는 액내 교생 수도 50명이거나, 이에 근접한 인원이다. 그런데 풍기향교에서 액내 교생으로 입록된 인물들은 전통적인 풍기군의 사족층이었다. 이와 별개로 신흥사족, 서얼, 평민과 같은 비사족층은 額外로 구분되었다. 액외 교생 중에는 신분상승과 避役을 위해 향교에 입학한 경우가 적지 않았기에 풍기향교에서는 사족층만이 입록된 본 ‘액안’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한편, 풍기군 지역을 대표하던 姓貫으로는 昌原黃氏·平海黃氏·商山金氏·宣城金氏·眞城李氏·英陽南氏·礪山宋氏·仁川蔡氏·豊基秦氏·安東權氏 등이 있다. 본 ‘액안’에 수록된 액내 교생들도 이들 가문을 출신이다. 19세기 후반 풍기군에서는 이들 성관이 풍기향교를 매개로 향촌사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해 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