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6~1887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액안(額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76.4721-20160630.Y1621902007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876
형태사항 크기: 34.5 X 34
수량: 29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76~1887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액안(額案)
1876~1887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의 교생(校生) 명부로 ‘액안(額案)’이란 제목으로 성책되어 있다. 본 ‘액안’에는 액내(額內) 교생만을 수록하였는데, 이들은 정원 내 교생을 뜻한다. 조선시대 각 향교는 교생들을 액내·액외(額外)·동몽(童蒙) 등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신분관념이 반영되어 있다. 전통적인 사족층은 신흥사족이나, 서얼(庶孼), 일반 평민 교생과 구분하는 별도의 명부를 만들었는데, 19세기 후반 풍기향교에서는 그것이 ‘액안’이라는 제목으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본 ‘액안’에는 모두 여섯 시기의 명부가 수록되어 있다. 1876년 2월 초5일 명부에는 모두 16명이 기재되어 있는데, 앞부분이 누락되어 있다. 이어 1877년 2월 15일 명부에는 47명, 1885년 8월 초1일, 1886년 8월 초8일, 1887년 2월 초8일 명부에는 각각 49명을 수록하였으며, 모두 삭적(削籍) 흔적이 한 군데씩 확인된다. 마지막 1887년 8월 초3일 명부는 전체 교생 명부가 아니라, 당시에 입학한 교생의 성명을 직서(直書)해 놓은 것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규정해 놓은 군(郡) 소재 향교 교생 정원 50명을 그대로 지키고 있다. 입록 교생의 성관(姓貫)으로는 창원황씨(昌原黃氏)·평해황씨(平海黃氏)·상산김씨(商山金氏)·선성김씨(宣城金氏)·진성이씨(眞城李氏)·영양남씨(英陽南氏)·여산송씨(礪山宋氏)·인천채씨(仁川蔡氏)·풍기진씨(豊基秦氏)·안동권씨(安東權氏) 등이 확인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876~1887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生 명부
자료의 내용
1876년부터 1887년까지 작성된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生 명부다. ‘額案’이라는 제목으로 성책되어 있는데, 명부는 모두 정원 내 교생인 額內로만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풍기향교에는 18세기 중반부터 작성된 ‘액안’과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까지 작성된 ‘校案’이 함께 전한다. 전자의 경우 액내 교생만을 수록하였고, 후자는 액내 교생을 비롯해 童蒙과 額外 교생도 수록해 놓은 것이다.
본 ‘액안’은 1876년 2월 초5일, 1877년 2월 15일, 1885년 8월 초1일, 1886년 8월 초8일, 1887년 2월 초8일, 그리고 1887년 8월 초3일 直書 명부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선 다섯 명부는 액내 교생 전부를 수록한 것이며, 直書 명부는 전체 교생이 아니라 당시 입학한 교생을 기재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풍기향교에는 본 ‘액안’ 말고 1860~1899년 ‘액안’이 함께 전한다. 본 ‘액안’과 작성 시기가 일치하는 명부가 함께 남아 있다는 것인데, 수록된 명단도 한두 명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두 명부를 비교해 보면, 본 ‘액안’의 宋必壽1860~1899년 ‘액안’에 누락되어 있으며, 1860~1899년 ‘액안’에 수록된 郭顯相·郭敦相은 본 ‘액안’에서 削籍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의 구체적인 사유는 알 수 없으나 이들의 액내 교생 입록을 둘러싼 풍기향교 유생들 간의 갈등을 추정할 수 있으며, 그런 가운데 복수의 ‘액안’이 전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각 ‘액안’의 말미에는 당시의 校任인 都有司·掌議·齋任의 성명이나 성씨가 수록되어 있다. 1885년에는 豊基郡守 兪達濬풍기향교의 首任인 도유사를 직접 맡은 것으로 나타난다.
가장 앞에 수록된 1877년 1월 초5일 명부에는 16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1명이 삭적되어 있다. 성씨별로는 黃氏 7명, 金氏 3명, 南氏 2명, 權氏·宋氏·李氏·蔡氏 각 1명 순이다. 1877년 2월 15일 명부에는 黃氏 26명, 金氏 7명, 南氏 3명, 李氏 2명, 權氏·柳氏·朴氏·宋氏·鄭氏·秦氏·蔡氏·韓氏·洪氏 각 1명 순으로 모두 47명이 기재되어 있다. 1885년 8월 초1일 명부에는 黃氏 30명, 金氏 7명, 李氏 4명, 南氏·宋氏 각 2명, 權氏·柳氏·尹氏 각 1명 순으로 모두 49명이 기재되어 있는데, 삭적 흔적이 한 곳 확인된다. 1886년 8월 초8일 명부도 모두 49명을 기재해 놓았으며, 삭적 흔적이 한 곳 있다. 성씨별로는 黃氏 26명, 金氏 7명, 南氏·宋氏·李氏 각 3명, 柳氏·秦氏 각 2명, 權氏·朴氏·韓氏 각 1명 순이다. 1887년 2월 초8일 명부도 총 49명 기재에 삭적 흔적이 한 곳 있다. 성씨별로는 黃氏 25명, 金氏 10명, 李氏 3명, 南氏·柳氏·宋氏 각 2명, 權氏·朴氏·秦氏·蔡氏·韓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1887년 8월 초3일 直書로 본 ‘액안’에 입록된 인물은 3명으로 黃氏 2명, 權氏 1명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구성과 19세기 후반 풍기군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經國大典』은 고을의 규모에 따라 교생 정원에 차등을 두었다. 이에 풍기군처럼 郡의 邑格을 가진 고을은 50명의 교생을 보유할 수 있었다. 본 ‘액안’에서 확인되는 액내 교생 수도 50명이거나, 이에 근접한 인원이다. 그런데 풍기향교에서 액내 교생으로 입록된 인물들은 전통적인 풍기군의 사족층이었다. 이와 별개로 신흥사족, 서얼, 평민과 같은 비사족층은 額外로 구분되었다. 액외 교생 중에는 신분상승과 避役을 위해 향교에 입학한 경우가 적지 않았기에 풍기향교에서는 사족층만이 입록된 본 ‘액안’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한편, 풍기군 지역을 대표하던 姓貫으로는 昌原黃氏·平海黃氏·商山金氏·宣城金氏·眞城李氏·英陽南氏·礪山宋氏·仁川蔡氏·豊基秦氏·安東權氏 등이 있다. 본 ‘액안’에 수록된 액내 교생들도 이들 가문을 출신이다. 19세기 후반 풍기군에서는 이들 성관이 풍기향교를 매개로 향촌사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해 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仙】南錫百
金福淵
黃雷鎭
權應淵
■■■
黃聖周
【仙】黃在元
金道相
黃?夏
宋必壽
黃晉欽
金益淵
黃在昊
南挺洙
黃在?
蔡相鎭
李東鎬

丙子二月初五日都有司金商學
掌議黃五▣
齋任

額內
洪鳳廈
【仙】金{?+喆}林
黃宇鎭
【仙】黃在薰
朴敍九
黃基鍾
【仙】金祚淵
【仙】鄭東洛
黃胤夏
黃五鱗
金文在
【仙】秦載旭
金浩淵
黃永八
【仙】黃在博
蔡相鎭
【仙】黃基明
李東鎬
【仙】黃在元
金道相
黃在慤
黃聖周
宋必壽

黃晉欽
金益淵
黃?夏
黃在昊
黃龍鎭
南挺洙
黃宅周【聖都壬戌
【仙】黃敦夏
韓翼烈
黃基周
黃基鎭
黃存厚
南命錫
黃學銖
【仙】李中坰
柳榮琇
黃大鎭
黃永五
黃應銖
【仙】南錫百
金福淵
黃雷鎭
權應淵
黃在錫

丁丑二月十五日
額內
黃永八丙午聖演】
黃學銖丙午聖習】
【仙】黃敦夏丁未見履】
柳榮琇己酉致善】
金福淵戊申敬叔】
黃永五己酉聖極】
南命錫壬子穉三】
黃應銖丙午平叔】
金商誨丙午殷甫】
黃汝鱗壬子來五】
金德淵丙午道卿】
黃庚夏丁未
李鼎鎬壬子應三】
宋必壽癸丑德汝】
南挺洙乙卯魯源】
權應淵庚戌聖博】
黃胃鎭癸亥應五】
金道相壬子景善】
黃在昊丙辰泰初】
黃文周戊午
黃度銖庚戌景叔】
黃龍鎭丙辰

【仙】尹學燮庚申致道】
黃在慤癸丑汝誠】
黃基憲己未章彦】
■■■【庚戌
黃在應辛亥宜鍾】
宋必萬己未福予】
【仙】黃在博辛亥聖淵】
黃永萬庚申
黃?夏辛酉敬能】
黃在昌甲寅
黃基鎭庚戌自卿】
李達洙戊午近如】
黃永祚甲寅
金秀英丁巳穉咸】
秦秉仁丙辰啓明】
黃大鎭壬子學賴】
【仙】黃在元己酉善卿】
金益淵丁巳友三】
黃勉欽癸丑致强】
黃永一甲寅聖淸】
【仙】李中穆丙辰羲經】
黃在錫癸丑應休】
李東鎬壬子晉卿】
黃永燾丙辰天▣】

黃台夏己酉聖佐】
金道淵丁巳孟浩】
黃聖周庚戌致鎬】
黃晉欽庚戌明彦】

乙酉八月初一日
都有司郡守兪達濬
掌議黃大鎭
齋任黃基敎
金益淵
額內
福淵
榮琇
黃永五
黃箕鎭
金道相【行弼壬子
黃大鎭
權應淵
李鼎鎬
秦相顯【平祜丁未
宋寅勉【穉庚丁未
黃在慤
金喆淵【竝吉甲寅

黃在敦【仁休丙辰
李壁鎬【友三丙辰
黃永祚【錫胤甲寅
金洛耆【英老乙卯
黃永一【聖請】
南命錫
黃達銖
柳道鶴【天可辛丑
宋必壽
黃德周【汝文辛酉
李達洙
黃晩欽【致誠丙辰
黃永燾
金秀潑辛酉
黃永來庚申
南挺洙
黃若欽
宋冕求【藻卿甲子
黃遠周【南逸癸亥
黃魯欽【聖問丙辰
金泰淵【魯瞻癸亥
黃勉欽
朴遇正
黃元夏【德老庚申
金秀英

黃胃鎭
黃在鳳【▣▣癸亥
南應洙【魯淵丁巳
黃斗欽【星七癸亥
黃聖周
韓圭海【聖觀丁卯
【仙】黃在瑞【右汝庚申
秦秉仁
黃淑鎭甲子
黃龍鎭
黃世欽【凡顯庚申
■■■
黃永萬

丙戌八月初八日
都有司黃?夏
掌議金德淵
齋任南命錫
黃勉欽
額內
金福淵
柳榮琇
黃永五
黃箕鎭
金道相

黃大鎭
權應淵
黃在慤
金喆淵
黃在敦
李壁鎬
黃永祚
金洛耆
黃永一
黃達銖
柳道鶴
宋必壽
黃德周
李達洙
黃晩欽
黃永燾
金秀潑
黃永來
南挺洙
黃若欽
宋冕求
黃遠周
黃魯欽
朴遇鴻【順翼甲子
黃元夏

黃聖周
韓圭海
黃在瑞
黃淑鎭
黃世欽
黃永圭【聖應丙寅
金秀敎【致悶己未
蔡相宇壬戌
黃禹欽【聖一戊午
秦秉源【景淵己酉
金秉奎【文五甲寅
金鐘善【伯常庚戌
黃台鎭【羲卿甲子
黃靖夏【致?庚戌
李中國
南龍煥【運七乙丑
金達淵【德三戊申
■■■【舜五戊午
金容璣丁未
黃擎夏戊申

丁亥二月初八日
都有司黃翼鎭
掌議黃箕鎭
齋任黃永一

秦秉仁
直書
黃中{?+和}【德如戊辰
權彰奎【聖玉辛巳
黃奭周【泰老丙戌

丁亥八月初三日
都有司黃基鎬
掌議柳榮琇
齋任黃宅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