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3년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향교전답도록(鄕校田畓都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73.4723-20160630.Y1610503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작성주체 신녕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작성시기 1873
형태사항 크기: 38 X 30
수량: 4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신녕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73년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 향교전답도록(鄕校田畓都錄)
경상도(慶尙道) 신녕현(新寧縣) 신녕향교(新寧鄕校)가 보유하고 있던 전답 장부로 1873년 8월 성책(成冊)되었다. 전답은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항목이다. 자료의 표제는 ‘향교전답도록(鄕校田畓都錄)’이며, 당시 신녕현감(新寧縣監)이었던 김우근(金友根)의 지시로 만들어졌다. 자료 가장 서두에는 서문 격의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 ‘향교전답도록’의 작성 경위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신녕현감 김우근이 부임 직후, 향교의 전답 보유 상황을 보니 교임(校任)들의 농간으로 척매(斥賣)된 것도 있었으며, 장부에는 알 수 없는 묵삭(墨削)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별정유사(別定有司)와 색리(色吏)로 하여금 향교 보유 전답을 일괄 조사하게 하였고, 그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본 ‘향교전답도록’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향교전답도록’ 본문에는 신녕현 관내에 산재한 전답의 위치와 규모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때 향교 보유 전답은 크게 교답(校畓)과 양사답(養士畓)으로 구분해 놓았는데, 전자는 일반적인 향교 운영에 쓰여 진 것 같으며, 후자는 강학활동을 비롯해 유생·교생 접제(接濟)에 쓰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교답에는 서재답(西齋畓)·별판답(別辦畓)의 명목이 따로 산정되어 있다. 자료 말미에 이것의 총계를 두락수(斗落數)로 합산해 놓았는데, 이에 따르면 교답은 전(田) 4석(石) 2도락지(刀落只), 답(畓) 14석 13두 5도락지, 서재답 1석 8두락지, 별판답 2석 10두 5도락지, 양사답 8석 7두 5도락지다. 그리고 이를 결부수(結負數)로 합산하면, 결락으로 일부 누락된 것을 제외하고도 총 13결(結) 65부(負) 3속(束) 이상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음이 나타난다. 『속대전(續大典)』에 따르면, 현(縣) 단위 고을의 향교에는 5결의 전답이 학전(學田)으로 획급되었지만, 신녕향교는 이와 별개로 전답을 증식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해 나갔던 것이다. 한편, ‘향교전답도록’의 전답 보유 현황 아래에는 후대 매용(賣用)된 사실과 사용처를 부기해 놓았다. 전답 매용은 향교 건물 수리, 사기(沙器) 무역(貿易), 감모궁(感慕宮) 파원시(派員時) 향회비(鄕會費), 춘추향비(春秋享費), 백학서당(白鶴書堂) 낙성비(落成費) 등의 마련을 위해 이루어졌는데, 그 시기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이다. 근대화 정책으로 인해 향교의 교육·사회적 기능이 크게 약화되는 시기의 매용 기록이라는 점에서, 이 시기 향교의 열악해진 재정 실태도 함께 살펴 볼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873년 8월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의 보유 전답을 기록해 놓은 장부
癸酉八月日 鄕校田畓都錄
자료의 내용
慶尙道 新寧縣 新寧鄕校의 보유 전답을 기록해 놓은 장부로 1873년 8월 成冊되었다. 가장 서두에는 서문 격의 글이 수록되어 있으며, 말미에는 ‘大邱鄕校節目謄草’와 ‘執事官料’를 부기해 놓았다. 향교전답도록은 당시 신녕향교의 대략적인 재정 규모를 보여주는 자료다.
먼저 서문 격의 글에는 향교전답도록의 작성 경위가 언급되어 있다. 당시 新寧縣監이었던 金友根신녕향교의 전답관리가 부실한 것을 보고, 향교 보유 전답을 일괄 조사하여 본 도록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르면 學田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답 매매 사실이 제대로 장부와 考往錄에 기록되고 있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校任에 의해 畓庫가 사사로이 斥賣되기도 했으며, 장부의 墨削 흔적은 그 연유를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녕현김 김우근은 別定有司와 色吏로 하여금 향교 전답을 일괄 조사케 했다. 그 결과 29斗落에 달하는 전답을 새로 찾아내었다고 한다. 그리고 향교전답도록 2本을 작성한 뒤, 신녕향교와 作廳에 비치하여 훗날 참고 자료로 활용하라고 당부해 놓았다. 이어 신녕현김의 着官과 署押, 교임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당시 신녕향교 首任인 都有司는 신녕현김 김우근이 직접 맡고 있었으며, 掌議는 韓弼殷·李基秀 2인이었다. 또한 별정유사는 金在濚이었으며, 그 외의 교임으로는 都訓長·齋有司·接有司가 확인된다.
향교전답도록의 기재 방식은 일반적인 量案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우선 보유 전답을 面 단위로 분류하였으며, 다시 各面의 坪·員별로 분류해 위치와 규모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답은 字號와 地番을 가장 상단에 기재하였고, 그 아래 토지 등급을 1~6等으로 구분해 놓았다. 이어 東西長·南北廣尺數, 結負數와 斗落數를 차례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가장 아래에는 賣用·例給 등의 사실을 부기해 놓았다.
향교전답도록에서 신녕향교 전답은 크게 校畓과 養士畓으로 구분되어 있다. 교답은 일반적인 향교 운영 비용으로, 양사답은 講學을 비롯해 儒生·校生의 接濟 비용으로 집행 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교답 중에는 西齋畓과 別辦畓·別備畓 명목의 전답을 별도로 두고 있어, 지출 비목에 따라 전답 구분이 이루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자료에 일부 결락이 있어 교답과 양사답의 정확한 분포 현황을 알 수 없으나, 자료 후반부에는 이것의 총계를 두락수로 표기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교답의 경우 田 4石 2刀落只 중 2石 11斗落只는 校奴婢 등에게 例給해 1石 4斗 2도락지가 남아 있으며, 畓 14石 13두 5도락지 중 1石 9두락지는 校奴婢 등에게 例給해 13石 4斗 5도락지가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외 신녕향교는 西齋畓 1石 8두락지, 別辦畓 2石 10斗 5도락지, 養士畓 8石 7斗 5도락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신녕향교의 전답은 관내 縣內面·雉山面·牙村面·代良谷面·古縣面·知谷面과 자료의 결락으로 명칭이 확인되지 않는 1개면에 분포하고 있었다. 여기서 나머지 1개면은 신녕현 관내 7개면 중 하나인 新村面으로 추정된다. 즉 신녕향교 전답은 신녕현 관내 7개면에 고루 분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일부 결락된 부분을 제외하고, 이를 結負數로 환산하여 면별로 나열하면 교답의 경우 현내면校洞員·倭坪員·鳴泉員·品山員·王井員·下麻員·上麻員에 2結 75負 5束, 치산면院後員에 18負 4束, 西齋畓으로 別訟亭員·加田一員에 21負 7束, 別辦畓으로 溫川員에 6負 5束, 신촌면中坪員·上坪員·下坪員·陳坪員·所月員·屈坪員·甘渠員에 1結 31負 1束, 別辦畓으로 甘渠員·굴평원에 11負 3束, 아촌면龍坪員·屈境坪員·神塘員·沙浦員·長贊員·葛麻員·豆也谷員·陳坪員·加逸員에 2結 36負 5束, 西齋畓으로 용평원·사포원에 45負 9束, 別辦畓으로 두야곡원·蓮堤員·薪績員·갈마원에 5負 8束, 別備畓으로 가일원에 11負 2속, 대양곡면郭山員·登谷員·穴巖員·獨山員·元塘員·耳溪員·毛山員에 85負 3束, 西齋畓으로 孝旨山員·모산원에 21負 5束, 別辦畓으로 모산원·이계원·永{(道-首)*去}林員에 31負 5束, 別備畓으로 古川員·乾堤員에 46負 6束, 고현면於方員·孝子員·米坪員에 41負 3束, 別辦畓으로 造山員에 4負 2속, 지곡면에는 別辦畓으로 溫川員에 13負 5束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양사답의 경우 현내면명천원·품산원·왕정원에 31負 7束, 치산면聖佐巖員·書堂員·水砧員·南亭員·蛇谷員·巖下員·?川員에 65負 6束, 아촌면刀贊員·下洑員·石侄員·두야곡원·연제원·가일원·釜堤員에 65負 1속, 대양곡면혈암원·水洑員·林南員·고천원에 50負 3束, 고현면미평원·公需員·雪今員·老方員·新洑員에 76負 6束, 지곡면사동원·齋宮員·巴塘員·松谷員·中里員에 68負 2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향교전답도록에는 신녕향교의 전답이 교답 10結 7負 8束, 양사답 3結 57負 5속, 결락부분을 제외하고도 총 13結 65負 3束 이상의 전답이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신녕향교 전답은 校基로 경작되거나 향교의 노비와 여러 下典에게 例給되었다. 향교전답도록에는 신녕향교 전답이 婢 銀切, 婢 明切, 婢 卜丹과 都下典·點火下典·庫子·殿直·驅從에게 例給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향교전답도록 작성 후, 전답을 賣用할 경우 해당 전답 아래에 사용처를 추가로 부기해 놓았다. 이때의 전답 賣用은 明倫堂 改瓦, 東·西齋 重建, 內·外三門 修理, 沙器 貿易, 感慕宮派員時 鄕會費, 下記報給費, 1907~1908년에 있었던 春秋享費, 白鶴書堂落成費 등의 비용 마련을 위해 이루어졌었다.
한편 향교전답도록 말미에는 ‘大邱鄕校節目謄草’와 ‘執事官料’를 추가로 기재해 놓았다. 이중 ‘大邱鄕校節目謄草’는 牧邑·府邑·郡邑·縣邑에 따른 儒生·童蒙·假屬·番下典, 그리고 應講儒生·免講儒生·客舍執事 등 여러 교생의 정원이며, ‘執事官料’는 신녕향교에서 개최하는 釋奠大祭·發告祭·?祭 때의 諸執事 官料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으로는 學田·校田 명목의 전답을 비롯해, 노비·官補·校保·屬寺·儒錢 등이 있었지만, 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것은 단연 전답이었다. 『續大典』에는 고을의 크기에 따라 향교에 지급되는 학전에 차등을 두었다. 하지만 이와 별도로 각 향교는 전답 증식을 통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해 나갔다. 『속대전』의 규정에는 향교 소재지가 縣일 경우 5結의 전답이 지급되었지만, 신녕향교는 이보다 훨씬 많은 13結 이상의 전답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19세기 후반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향교의 교육·사회적 기능은 약화되어 갔다. 이에 따라 향교 재정도 크게 위축되는데, 신녕향교도 예외는 아니었다. 향교전답도록에는 장부 작성 이후 이루어진 전답의 賣用 사실과 그 사용처를 기재해 놓았다. 대부분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 열악해진 향교의 재정 상황을 살펴 볼 수 있게 해준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癸酉八月日鄕校田畓都錄

酬應於勸課而有補無損自苦成
學校之立田土執禾乃是故供於將事
酬應於勸課而有補無損自苦成

學校之立田土執穀禾乃是支供於將事酬
應於勸課而有補無損自昔成規也奧自?
邑以來瞻謁廟宮隨聞物議享祀之儀
雖云豊際挽近以來法久連奸將奉之節未
免窘之故考閱事蹟參互聽聞則畓庫之
或有斥賣都錄之私自墨削未知?自何▣
而必也校任之用有所處旣不入於考往錄則
難免十手之指衆人之?也卽因別定有司及
色吏逐檢畓庫隨納文券還付於校宮新
推畓數爲貳拾玖斗落仍成兩件都錄一置
校中一置作廳▣爲日後參考之迹?擧

事實弁之卷首用戒爲任仕而損公益私者
都有司知縣金友根
掌議韓弼殷
李基秀
都訓長金準聲
齋有司楊慶▣
接有司權最鉉
別定有司金在濚
楊慶標
[着官][署押]新推畓貳拾玖斗落

癸酉八月日 縣內面 校洞員
黃六十九三等田【南北長三十七尺東西廣十三尺】三負四束【校基】
六十七三等分畓七負八束五庚四斗落時耕【倫堂改瓦東西齋重建內外三門修理時賣用】
分田四負二斗落時耕
七十七四等田【東西長四十九尺南北廣二十六尺】七負二斗落庫子例給
九十八三等田【南北長四十六尺東西廣二十三尺】七負四束
一百六十二等田【南北長四十六尺東西廣二十三尺】五負五束校基
一百七二等田【南北長五十三尺東西廣三十二尺】十四負四束

十三等田【南北長五十七尺東西廣三十七尺】十四負八束十斗落點火下典例給
宙十九三等半田【南北長七十八尺東西廣九尺】四負九束五斗落婢銀切例給
二十二三等半田【東西長五十尺南北廣十七尺】五負九束
二十五三等田【南北長四十尺東西廣三十尺】八負四束三斗落庫子例給
二十六五等田【東西長二十尺南北廣十八尺】一負四束三斗落所用沙器貿易條
二十七三等田【南北長二十八尺東西廣九尺】一負八束【鄕中賣用】
四十二五等田【南北長四十八尺東西廣十四尺】二負七束二斗落庫子例給
四十三五等畓【南北長六十二尺東西廣五尺】一負二束五庚二斗落殿直例給
四十四五等畓【南北長六十五尺東西廣四尺】一負
五十三等畓【東西長四十二尺南北廣十五尺】四負四束【感慕宮派員來時六次鄕會費賣用】
五十一三等畓【南北長三十尺東西廣二十四尺】五負五庚三斗落庫子例給代入【豆也員■■■■畓五斗?只】

九十四四等畓【南北長四十三尺東西廣九尺】二負一束【依鄕論下記報給次賣用】
九十五四等畓【南北長八十四尺東西廣九尺】四負八束三斗落婢明切例給
九十六四等畓【南北長八十尺東西廣六尺】二負六束
一百三四等畓【南北長六十四尺東西廣二十八尺】九負一束六▣▣▣▣▣▣▣例給
一百四四等畓【南北長三十四尺東西廣三尺】六束
一百八四等畓【南北長七十三尺東西廣十五尺】六負十三庚三斗落時耕
一百九四等畓【南北長五十七尺東西廣六尺】一負九束【倫堂改瓦東西齋重建內外三文修理時賣用
倭坪員
一百十四等畓【南北長五十二尺東西廣六尺】一負七束十二庚三斗落時耕
洪三十五五等畓【南北長八十三尺東西廣十四尺】六負四束【倫堂改瓦東西齋重建內外三文修理時賣用】

鳴泉員
皇二十二五等畓【南北長四十尺東西廣二十一尺】三負四束【鄕論享費不足賣用】
三十五四等畓【南北長八十三尺東西廣十四尺】六負四束加田五束十二庚三斗落婢卜丹例給【■■■■■】
五十六六等田【東西長二十尺南北廣四尺】二束
五十七六等田【東西長四十八尺南北廣四尺】五束
五十八六等田【東西長十八尺南北廣三尺】一束
五十九五等田【東西長二十八尺南北廣八尺】九束
六十五等田【東西長四十尺南北廣十一尺】一負八束
六十一三等田【東西長二十尺南北廣十九尺】二負七束
六十二三等田【東西長三十二尺南北廣十七尺】三負八束一石一斗五刀落
六十三三等田【東西長二十四尺南北廣二十尺】三負四束

六十四五等田【東西長四十一尺南北廣三十五尺】五負七束
六十五五等田【東西長三十七尺南北廣十四尺】二負一束
六十六六等田【南北長三十尺東西廣八尺】六束
六十七六等田【南北長一百十一尺東西廣十二尺】三負三束
六十八六等田【南北長一百三十七尺東西廣二十尺】六負九束
六十九六等田【東西長三十四尺南北廣十九尺】一負六束
月三十二三等田【南北長五十尺東西廣二十尺】七負五斗落婢明切例給
三十三三等田【南北長三十七尺東西廣二十一尺】五負四束
三十四二等田【南北長二十尺東西廣十五尺】二負五束二斗落殿直例給
三十七分田七負五斗落婢正心例給

品山員
崗八十一三等畓【東西長一百一尺南北廣十九尺】十三負四束一庚五斗落時耕【感慕宮派員來時六次鄕會費賣用】
?四三等畓【東西長七十一尺南北廣三十六尺】十七負九束五庚五斗落時耕
王井員
珠三十八四等畓【東西長一百一尺南北廣二十九尺】十六負一束四庚五斗落時耕【■…■時賣用行會時】
下麻員
菜四十八三等畓【南北長七十四尺東西廣三十尺】十五負五束四庚五斗落時耕
四十九三等畓【南北長三十尺東西廣十七尺】三負六束【感慕宮派員來時六次鄕會費賣用】
上麻員
重五十八分畓十負一庚三斗落校書員例給鄕論【享費不足賣用】
芥八十四五等畓【東西長四十二尺南北廣二十四尺】四負

八十五五等畓【南北長三十尺東西廣四尺】五束十一庚三斗落時耕驅從例給
八十六五等畓【南北長二十六尺東西廣十尺】一負【鄕論享費不足賣用】
八十三五等畓【南北長七十二尺東西廣二十尺】五負八束十二庚三斗落婢銀切例給【鄕論享費不足賣用】

雉山面
院後員
服四四等畓【東西長二十尺南北廣七尺】八束【倫堂改瓦東西齋重建內外三文修理時賣用】七庚六斗落時耕
八四等畓【東西長八十二尺南北廣三十九尺】十七負六束
西齋別松亭員
問十一三等畓【南北長二十五尺東西廣二十三尺】四負
十七分畓三負七束五庚五斗落時耕
加田一員
垂四十八二等畓【南北長一百五十尺東西廣十一尺】十四負

別辦溫川員
在二十五等畓【東西長四十尺南北廣十八尺】二負九束三庚二斗落時耕【■…■入】
二十一分畓三負六束

中坪員
悲二十一四等畓【東西長三十三尺南北廣十九尺】一負七束
二十二四等畓【東西長一百六十一尺南北廣三十三尺】二十九負二束十庚九斗落時耕【■…■戊申
上坪員
四十二五等畓【南北長二十四尺東西廣四尺】四束
四十三四等畓【南北長五十二尺東西廣二十八尺】八負五庚九斗落時耕
四十七四等畓【東西長一百十七尺南北廣三十尺】十九負三束
下坪員
維一四等畓【東西長一百十八尺南北廣五十尺】【■…■】三十二負四束十二庚九斗落時耕【修理費賣用】
陳坪員

羔四十二四等畓【東西長三十四尺南北廣十三尺】二負四束
四十三四等畓【東西長三十七尺南北廣二十六尺】五負三束四庚二斗落時耕
所用
詩四十九四等畓【南北長八十三尺東西廣十六尺】七負三束七庚三斗落時耕
屈坪員
景二十一三等畓【南北長六十尺東西廣二十尺】八負四束一庚三斗落時耕
甘渠員
特六十一五等畓【東西長六十尺南北廣八尺】一負九束
六十二五等畓【東西長五十二尺南北廣十四尺】二負九束五庚六斗落時耕
六十三四等畓【東西長六十二尺南北廣三十五尺】十一負九束

別辦甘渠員
黑四十三分畓八負八束一庚三斗落時耕【■…■】
屈坪員
景二十五四等畓【東西長六十四尺南北廣七尺】二負五束二庚二斗落時耕

牙村員
龍坪員永川
男二十一畓十九負五束三庚五斗落時耕【■…■】
二十三畓二負
屈境坪員
因十七四等畓【東西長六十三尺南北廣十一尺】三負八束一庚三斗落時耕【丁未享費不足條賣用】
新塘員
緣七十九一等畓【東西長五十一尺南北廣三十一尺】十五負八束【恒定二石】
八十一等畓【南北長六十尺東西廣十九尺】十一負四束一庚六斗落時耕【■…■依鄕論還退】
沙浦員

二十三沙等畓【東西長四十尺南北廣二十尺】四負四束七庚四斗落時耕
二十四五等畓【東西長二十三尺南北廣二十三尺】三負七束
三十六分畓三負二束七庚四斗五刀落時耕
四十五五等畓【東西長七十九尺南北廣七十五尺】十一負八束
三十四分畓五負二束五庚四斗落時耕
分畓五負六束
長贊員
聲八三等畓【東西長一百一尺南北廣十三尺】九負二束三庚三斗落時耕
葛麻員
陰三十六一等畓【南北長一百四尺東西廣二十八尺】二十九負一束八庚五斗落時耕
競二三等畓【南北長七十九尺東西廣三十尺】十六負六束九庚五斗落時耕

豆也谷員
孝二十三四等畓【南北長七十三尺東西廣二十八尺】十一負二束八庚七斗落時耕
三十九三等畓【南北長六十二尺東西廣十二尺】五負二束
四十七四等畓【南北長五十九尺東西廣四十八尺】十五負六束一庚五斗落時耕【庫子例給】
當三十四三等畓【東西長七十三尺南北廣四十四尺】七負一束【現存二庚二斗落】
三十五三等畓【南北長六十四尺東西廣十尺】四負五束三庚三斗落時耕【■…■都下典例給】
五十六三等畓【東西長九十尺南北廣二十七尺】十七負五庚五斗落時耕【■■戊申春享費賣用】
陳坪員
君三十九四等畓【南北長六十六尺大闊七十二尺小闊十九尺】十六負五石四庚六斗落時
耕【戊申二月春享費不足賣用】
加逸員

二十四四等畓【東西長四十尺南北廣四尺】九束六庚二斗落丘從例給【丁未秋享費不足條賣用】
二十五五等畓【東西長四十五尺南北廣五尺】九束
五十五三等畓【東西長七十三尺南北廣三十尺】十五負三束四庚五斗落時耕【丁未秋享費用】
與四十八四等畓【東西長五十五尺南北廣三十八尺】十一負五束五庚五斗落時耕【戊申三月鄕會費賣用】
西齋龍坪員永川
養三十八畓十八負一束三庚四斗落時耕
沙浦員
尺二十八三等畓【東西長九十尺南北廣三十二尺】二十負二束八庚五斗落時耕【■…■】
二十九三等畓【南北長三十六尺東西廣三十尺】七負六束

別辦斗也谷員
嚴二十五六等半畓【南北長一百五尺東西廣二十四尺】六負三束五庚三斗落時耕
蓮堤員
聽十二三等畓【東西長五十五尺南北廣十一尺】四負二束二庚三斗落時耕【■…■】
十三三等畓【東西長六十尺南北廣十尺】四負二束
薪積員
念一百一分畓六負六束
一百二二等畓【東西長四十三尺南北廣五十二尺】七負五束【五斗落感慕宮派員來時六次鄕會費賣用】

一百四二等畓【南北長三十五尺東西廣十三尺】三負九束
一百五二等畓【南北長三十三尺東西廣三十尺】四負二束
葛麻員
陰四十八一等畓【南北長十九尺東西廣十七尺】三負二束二庚三斗落時耕供
五十一等畓【南北長四十八尺東西廣二十尺】九負六束
竟五十二三等畓【南北長七十四尺東西廣十六尺】八負三束一庚三斗落時耕
別備加日員
榮九十八十一負二束五庚四斗落時耕【西耆老去】

代良谷面
郭山員
止八十一四等畓【東西長三十六尺南北廣二十四尺】四負七束一庚三斗落時耕
八十二四等田【東西長四十七尺南北廣四尺】一負七刀落
登谷員
思五十三等畓【南北長七十一尺東西廣三十五尺】十七負四束四庚三斗落時耕
穴巖員
貴十一二等畓【東西長五十一尺南北廣十四尺】六負一束一庚三斗落時耕
獨山員
去四十七五等畓【南北長十四尺東西廣七尺】四束一庚三斗落時耕【倫堂改瓦東西齋重建內外三門修理費用】
四十八二等畓【東西長四十七尺▣▣▣▣▣▣】九負六束

元塘員
淸三十三四等畓【東西長七十二尺南北廣十二尺】四負七束二庚三斗落時耕【丁未享費不足條賣用】
三十五四等畓【南北長十尺東西廣六尺】三束
四十七四等畓【南北長八十一尺東西廣十九尺】八負五束一庚三斗落時耕丁未春享費不足賣用】
似五一等畓【南北長四十三尺東西廣十七尺】七負三束四庚二斗落時耕丁未春享費不足條賣用】
六一等畓【東西長二十七尺南北廣七尺】一負九束
耳溪員
如六十三等畓【東西長五十九尺南北廣十七尺】七負一庚三斗落時耕
松四十一三等畓【東西長一百三十尺南北廣二十四尺】十六負八束六庚五斗落時耕

西齋孝旨山員
淵五十六四等反畓【東西長四十一尺南北廣二十一尺】四負七束一庚三斗落時耕
不三十七四等畓【南北長七十三尺東西廣十八尺】七負二束二庚三斗落時耕
毛山員
終八十三等畓二負九束
八十四等畓一負八束二庚三斗落時耕
八十八等畓二負
宜四等畓二負九束
別辦毛山員

耳溪員
松三十九分畓三負五束一庚二斗五刀落【家垈入】
之四十六分畓二負時耕
四十八分畓三負五束二庚二斗落
永{(道-首)*去}林員
尺十六畓十一負一束五庚六斗落【■…■】
十七畓十一負四束
別備古川員
基十五二十九負六束一庚六斗落時耕【東耆老去】
乾堤員
?一百十五負三束
一百十三一負一束
一百十二八束四庚四斗落時耕【■■■■東耆老去】
一百十四六負五束
一百卄一一負七束
一百卄二一負六束

古縣面
於方員
子六十六四等畓【南北長四十四尺東西廣二十三尺】五負六束三庚三斗落時耕【■…■】
六十七四等畓【南北長七十九尺東西廣八尺】三負五束
七十四等畓【東西長七十五尺南北廣十尺】四負一束二庚二斗落時耕【■…■】
兒一百十四五等畓【東西長六十四尺南北廣十四尺】三負六束二庚二斗落時耕【丁未水貰條賣用】
孝子員
同四十三四等畓【南北長七十八尺東西廣十一尺】四負七束二庚三斗落時耕
四十四等畓【東西長五十尺南北廣十尺】一負四束
米坪員
規六十八四等畓【南北長六十二尺東西廣十尺】三負四束

六十九三等畓【東西長三十三尺南北廣二集五尺】五負八束
仁三四等畓【南北長三十尺東西廣二十八尺】四負六束四庚五斗落時耕
四四等畓【南北長二十二尺東西廣九尺】一負一束
五三等畓【東西長二十八尺南北廣二十三尺】三負五束
別辦造山員
猶二十四等畓【南北長一百十尺東西廣十四尺】四負二束一庚二斗落時耕【丁未水貰條賣用】

知谷面
別辦溫川員
二二十四等反畓【南北長七十四尺東西廣二十一尺】八負五束五庚三斗落【■…■】
二十一四等反畓【東西長三十尺南北廣六尺】一負
永川溫川員
賤六十七畓一負三庚二斗落【■…■】
七十二畓三負

[印]

養士
縣內面
鳴泉員
宙十二畓【南北長二十六尺東西闊十五尺】二負三束七庚二斗落【接加下賣用】
品山員
號一三等畓【東西長七十八尺南北廣二十尺】六負五束二庚二斗落
玉井員
歲二十四四等畓【南北長三十尺東西廣二十七尺】四負四束二庚二斗落
珠四十二三等畓【東西長九十尺南北廣二十一尺】十三負二束二庚四斗落【反田故恒定租十斗】【同上賣用】
五十一四等畓【東西長六十四尺南北廣十五尺】五負三束二庚三斗落

雉山面
聖佐巖員
平七十五二等畓【東西長三十二尺南北廣二十四尺】六負五束
七十六四等畓【東西長二十一尺南北廣十七尺】二負九庚三斗落
七十七五等反畓【南北長四十八尺東西廣十一尺】二負一束
五十四三等畓【南北長三十七尺東西廣十一尺】二負八束七庚三斗落
五十五二等畓【東西長三十二尺南北廣十八尺】四負九束
書堂員
問二一等畓【南北長四十七尺東西廣二十一尺】九負九束三庚二斗落
水砧員

愛三十六二等畓【南北長四十一尺東西廣十六尺】五負六束加田四束一庚二斗落
南亭員
周三十一三等畓【南北長五十尺東西廣十三尺】四負五束一庚二斗落
蛇谷員
推五十三三等畓【東西長六十七尺南北廣三十二尺】十五負一庚五斗落【賣用】【學校鄕會時】
巖下員
民三十一三等畓【南北長三十八尺東西廣十五尺】四負二庚一斗五刀落
?川員
樹五五等畓【南北長五十六尺東西廣三十二尺】七負二束三庚二斗落

牙村面
刀贊員
慶六十三三等畓【東西長四十八尺南北廣十六尺】五負四束一庚三斗落
下洑員
尺三十分畓七負一庚二斗落■■■■
壁二十六五等畓【東西長六十一尺南北廣十二尺】二負九束二庚二斗落
二十七五等畓【南北長十九尺東西廣二十九尺】一負一束
石侄員
非十三分畓十三負三束六庚四斗落
豆也谷員
力七十一五等畓【東西長四十八尺南北廣十四尺】二負七束

七十二五等畓【東西長四十五尺南北廣十三尺】二負三束二庚三斗落【接加下不足賣用】
五十五三等畓【東西長七十三尺南北廣三十尺】十五負三束二庚三斗落【白鶴書堂落成時賣用】
蓮堤員
競十四等畓【東西長五十五尺南北廣二十一尺】六負三束三庚二斗落【接加下賣用】
加逸員
巖四十八四等畓【南北長三十七尺東西廣三十五尺】七負一束四庚三斗落
與二分畓五負二庚二斗落
釜堤員
聽四十三分畓六負七束三庚三斗落【白鶴書堂落成時賣用】

代良谷面
穴巖員
賤三十八三等畓【南北長六十八尺大闊四十七尺小闊十二尺】十四負三庚四斗落【接加下賣用】
水洑員
言五十六四等畓【南北長四十五尺東西廣三十三尺】八負二束三庚五斗落【白鶴書堂落成時賣用】
五十九三等畓【南北長五十五尺】六負五束
林南員
淸二十三四等畓【南北長五十二尺東西廣三十二尺】九負一束三庚三斗落【白鶴書堂落成時賣用】
古川員
籍九三等畓十二負五束二庚四斗落【賣用】

古縣面
米坪員
仁十二四等畓【東西長五十一尺南北廣十六尺】四負五束二庚三斗落
規二十六四等畓【南北長一百二十六尺東西廣二十六尺】十八負二庚五斗落
公需員
箴四三等畓【東西長三十尺南北廣十八尺】三負八束二庚三斗落
五三等畓【東西長三十尺南北廣二十尺】四負二束
雪今員
交二十四三等畓【南北長五十四尺東西廣三十三尺】十二負五束一庚三斗落
老方員

孔五十四四等分畓一負九束一庚三斗落
六十七五負一束
新洑員
枝二十三五等畓七負一束一庚四斗落
四十二五等畓九負一束二庚四斗落
六十四五等分畓四負五束一庚二斗落
交二十六三等分畓五負九束一庚二斗落
知谷面
蛇洞員

京四十五四等反畓【南北長一百三十一尺東西廣八尺】五負八束十四庚四斗落
四十六分畓三負六束
齋宮員
背十五四等畓【東西九十一尺南北廣十一尺】五負五束一庚二斗落【白鶴書堂
落成時賣用】
巴塘員
操二十九五等畓【南北長三十四尺東西廣二十尺】二負七束二庚二斗落
三十二等畓【南北長八十四尺東西廣十六尺】十一負四束一庚三斗落【白鶴書堂落成時賣用】
五十分畓三負九束一庚二斗落
五十七分畓三負一庚二斗落
松谷員

三十四四等畓【東西長三十二尺南北廣十六尺】二負八束
三十五四等畓【南北長三十五尺東西廣十四尺】二負七束五庚四斗落
三十六四等畓【南北長五十八尺東西廣十二尺】三負八束
三十七四等畓【南北長四十六尺東西廣八尺】二負
加里洑員
隱九十一一等畓【南北長五十九尺東西廣十五尺】八負八束二庚二斗落【此庫誤入於新推故丁丑正月日自鄕中完議還本事】
中里員
眞三十八一等畓十二負一束一庚二斗落

都以上本所田四石二刀落只內
二石十一斗落只校奴婢等例給
在一石四斗二刀落只
畓十四石十三斗五刀落只內
一石九斗落只校奴婢等例給
在十三石四斗五刀落只
西齋畓一石八斗落只
別辦畓二石十斗五刀落只
養士畓八石七斗五刀落只

大享祭任米參斗柒升
曲子壹同參片

大邱鄕校節目謄草
牧邑儒生九十人
童蒙三十人
假屬七十名
番下典四十名
府邑儒生七十人
童蒙二十五人
假屬五十名
番下典三十七名
郡邑儒生五十人
童蒙二十人
假屬四十名
番下典三十五名
縣邑儒生四十人
童蒙十五人
假屬三十名
番下典三十名
大邱鄕校
應講儒生七十人
免講儒生六十人
赦文開?儒生四人
陪香儒生六人
赦文陪行儒生五人
童蒙二十一人
客舍執事二十四人
假屬五十名
番下典三十七名

釋奠大祭執事官料
白米肆斗貳升
甘醬貳斗貳升
甘藿貳丹貳條
靑魚肆拾貳尾
活鷄玖首壹丈
眞油壹升肆合貳夕
形鹽肆升貳合
乾蔘肆拾肆尾
明太貳拾貳尾
社稷祭官料
百尾壹斗肆升
甘醬壹升伍合
明太柒尾
■…■
靑魚柒尾
活鷄貳首貳脚
眞油壹合貳夕
形鹽壹升
祭酒米貳升
曲子陸片
發告祭執事官料
甘醬壹升
眞油壹合
白米壹斗
明太伍尾
乾蔘柒尾
甘藿伍條
靑魚伍尾
活鷄壹首
祭酒米伍升
?祭執事官料
白米壹斗肆刀
甘醬壹升伍合
明太柒尾
乾蔘拾尾
甘藿柒條
靑魚柒尾
活鷄貳首貳脚
眞油壹合貳夕
形鹽壹升位木伍疋貳拾玖尺玖寸
祭酒米肆斗
曲子壹同陸片
土店例納器物件
大篤壹貳坐
大{曾+尾}壹坐
■■■■
大筏壹坐
中樽壹坐
四口貳箇
盆貳箇
圓盆貳箇

惟此都錄取重無比永永相傳勿爲遺失而相考事

校畓▣▣都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