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4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액안(額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24.4721-20160630.Y162190200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824
형태사항 크기: 27 X 37
수량: 15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24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액안(額案)
1824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의 교생(校生) 명부다. ‘액안(額案)’이란 제목으로 성책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정원 내 교생인 액내(額內) 교생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각 향교는 전통적인 신분관념 하에 교생들을 액내·액외(額外)·동몽(童蒙) 등으로 구분하였다. 전통적인 사족들은 신흥사족, 서얼(庶孼), 일반 평민 교생과 구분하는 별도의 명부를 만들었는데, 1824풍기향교에서 작성한 본 ‘액안’도 그 중 하나다. 1824년 ‘액안’의 명부는 2월 초2일의 것과 12월 11일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50명씩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규정해 놓은 군(郡) 소재 향교의 교생 정원 50명과 일치한다. ‘액안’에 입록되어 있는 교생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성씨는 황씨(黃氏)로 전체 교생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각각 풍기군을 대표하던 창원황씨(昌原黃氏)·평해황씨(平海黃氏)다. 그 외에도 진성이씨(眞城李氏)·상산김씨(商山金氏)·순흥안씨(順興安氏)·인천채씨(仁川蔡氏) 등의 사족 가문 출신이 확인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824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生 명부
額案
자료의 내용
1824년의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 校生 명부다. ‘額案’이라는 제목으로 성책되어 있으며, 수록된 인물은 정원 내 교생인 額內로만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풍기향교에는 18세기 중반부터 작성된 ‘액안’과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까지 작성된 ‘校案’이 함께 전한다. 이중 ‘액안’은 액내 교생만을 수록하였고, ‘교안’에는 액내를 비롯해 童蒙과 額外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1824년의 ‘액안’은 2월 초2일의 것과 12월 11일의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둘 다 50명의 교생을 수록해 놓았다. 명부 말미에는 校任을 기재하였다. 2월 초2일 명부에는 都有司·掌議·齋任의 성명을 기재해 놓았으며, 12월 11일에는 도유사와 鄕會班首를 기재하였다. 이중 도유사는 豊基郡守가 직접 맡고 있었다. 2월 초2일의 도유사는 풍기군수 洪羲喆, 12월 11일의 도유사는 풍기군수 韓光善으로 확인된다. 본 ‘액안’의 수록 인물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2월 초2일의 명부는 黃氏 28명, 李氏 7명, 金氏 4명, 南氏·蔡氏·韓氏 각 3명, 朴氏·安氏 각 1명 순이며, 12월 11일의 명부에서는 黃氏 27명, 李氏 8명, 金氏 5명, 南氏 4명, 蔡氏 3명, 朴氏·安氏·韓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구성과 19세기 전반 풍기군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經國大典』에는 고을의 邑格에 따라 향교 교생 정원에 차등을 두었다. 이에 풍기군처럼 郡의 읍격을 가진 고을은 향교 교생 정원이 50명이었다. 풍기향교의 액내 교생도 법전이 정한 것과 일치한다. 그런데 이들은 풍기군의 전통적인 사족층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신흥사족, 庶孼, 평민과 같은 비사족층으로 이루어진 명부가 따로 작성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은 額外로 구분되었을 것이다. 액외 교생 중에는 신분상승과 避役을 위해 향교에 입학한 경우가 적지 않았기에 풍기향교에서는 사족층만이 입록된 ‘액안’을 작성하였던 것이다. 한편, 본 풍기군의 대표적인 사족 가문으로는 昌原黃氏·平海黃氏·眞城李氏·商山金氏·英陽南氏·仁川蔡氏·順興安氏 등이 있다. 본 ‘액안’에 수록된 액내 교생도 이들 성관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19세기 전반 풍기군에서는 이들 성씨가 풍기향교를 매개로 향촌사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해 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額案

額內
黃雨鱗
韓東範
黃毅漢
李相經
黃中晉
黃載熙
李汝雨
李汝霖
李仁溥
黃名幹
李彙庭
黃中春
金衡在
韓守範
黃起鱗

朴獻秀
李彙玉
黃時夏
李靜浩
金鉉九
安廷鈺
黃寧漢
黃中載
黃獻周
黃中運
韓戌範
黃中惺
南漢宗
【仙】黃彛幹
金璣在
黃元幹
蔡周冕
黃瑞周
【仙】蔡周鼎

黃琳夏
黃宅夏
南始震
黃中鎬
黃泗鱗
黃載鱗
黃中浩
黃中質
黃鍵
黃文夏
黃中獻
黃中奮
南景燮
黃斗夏
金聲在
蔡周虎

甲申二月初二日
都有司行郡守
洪羲喆

掌議黃時夏
齋任金璣在
黃琳夏
額內
黃雨鱗
黃毅漢
李相經
黃中晉
黃載熙
李汝雨
李汝霖
李仁溥
黃名幹
黃中春
金衡在
韓守範
黃起鱗
朴獻秀
李彙玉
【仙】黃時夏

李靜浩
金鉉九
安廷鈺
黃寧漢
【仙】黃中載
黃獻周
黃中運
黃中惺
南漢宗
【仙】黃彛幹
金璣在
黃元幹
蔡周冕
黃瑞周【除隨行】
蔡周鼎
黃宅夏
南始震
黃中鎬
黃泗鱗

黃載鱗
黃中浩
黃中質
黃文夏
黃中獻
黃中奮
南景燮
黃斗夏
金聲在
蔡周虎
南圖翼
李宇鍵
金宗緖
黃海鱗
李最東

甲申十二月十一日
行郡守
鄕會班首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