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3년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성묘중수시기략(聖廟重修時記略)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23.4729-20160630.Y1610802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내용분류: 경제-토목/건축-중수기
작성주체 하양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작성시기 1823
형태사항 크기: 26.5 X 22
수량: 3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경산 하양향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823년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 성묘중수시기략(聖廟重修時記略)
경상도(慶尙道) 하양현(河陽縣) 하양향교(河陽鄕校)에서 1822년 진행하였던 대성전(大成殿) 중수(重修) 일지(日誌)다. 「하양향교상(河陽鄕校上) 성묘중수시기략(聖廟重修時記略) 당저 22년 임오(當?二十二年壬午)」란 제목으로 엮여져 있는데, 자료 말미에 수록된 발문(跋文)의 작성 연도로 보아, 1823년 성책(成冊)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양향교상 성묘중수시기략 당저 22년 임오」의 본문은 ‘하양향교중수기략(河陽鄕校重修記略)’, ‘부용하기(附用下記)’, ‘유호전봉상기(幼戶錢捧上記)’, 발문, ‘추록(追錄)’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양향교중수기략’은 1822년 8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대성전 중수 과정을 날짜별로 정리한 것이다. 여기에는 이안제(移安祭)와 환안제(還安祭) 때의 헌관(獻官) 및 집사(執事)의 성명도 기재되어 있다. ‘부용하기’는 중수 과정에서의 수입과 지출을 회계(會計)한 것이다. ‘유호전봉상기’에는 수입의 대부분이었던 유호전(幼戶錢)의 봉상(捧上) 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유호전은 관내 유림들이 향교에 납부하는 일종의 기부금이다. 당시 하양현 관내에는 933호가 유호(幼戶)로 지정되어 있었으며, 이중 891호가 각 2전(?) 식의 돈을 납부하였다. 발문은 1823년 2월 20일 김이덕(金履德)이 작성한 것이다. 김이덕1822년 중수 때 하양향교 도유사(都有司)를 역임하였었다. 발문에서는 1822년 대성전 중수의 의의를 기리고 있다. ‘추록’은 1823년 5월에 작성한 것으로 1822년 중수 이후의 하양향교 수리 및 정비 사실을 기재해 놓았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822년 동안 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에서 진행된 大成殿 重修 과정을 정리하여, 1823년에 成冊한 日誌
河陽鄕校上 聖廟重修時記略 當宁二十二年壬午
자료의 내용
1822慶尙道 河陽縣 河陽鄕校에서 진행되었던 大成殿 重修 日誌다. 「河陽鄕校上 聖廟重修時記略 當?二十二年壬午」란 제목으로 엮여져 있지만, 자료 말미에 수록된 跋文의 작성 연도를 보아 1823년에 成冊된 자료로 여겨진다. 「河陽鄕校上 聖廟重修時記略 當?二十二年壬午」는 ‘河陽鄕校重修記略’, ‘附用下記’, ‘幼戶錢捧上記’, 跋文, ‘追錄’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河陽鄕校重修記略’은 1822년 8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대성전 중수 과정을 날짜별로 요약해 놓은 것이다. ‘河陽鄕校重修記略’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1822년 8월 거행된 釋菜禮 때 대성전과 兩? 등을 奉審하였는데, 비가 새는 곳이 많아 논의 끝에 중수를 결정하였다. 이에 관청에 중수를 건의하였고, 河陽縣監 李台升은 이 사실을 慶尙監營에 轉報하였다. 9월 9일 慶尙道觀察使 金相休는 같은 내용으로 정부에 啓聞하였고, 이로 인해 하양향교 대성전 중수가 결정되었다. 이에 앞서 6일에는 外三門 등을 미리 수리하였다. 이때 재목은 許樟·朴守?·都尙龍이 前任 校任으로 있을 때 裁斷해 놓은 碧松과 하양현 소재 環城寺에서 가져온 나무를 사용하였다. 이중 환성사는 조선후기 동안 하양향교에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해 주던 屬寺로 존재하던 사찰이다.
10월 4일 大邱府의 儒生들이 使君과 함께 香祝을 가지고 왔다. 이들이 하양현 관내 化良驛에 도착하자 祗迎하였으며, 하양현감하양향교 교임들은 紅箭門 밖에서 이들을 맞이했다. 그들이 가져온 향축은 大成位 香卓에다 奉安했으며, 이어 중수하는 날을 卜日하였다. 이날 기록 사이에는 경상도관찰사하양현감에게 보낸 關文이 세주로 기재되어 있다. 이 관문은 하양향교 대성전 중수를 허락하는 禮曹의 관문에 의거해 작성된 것이다. 하양향교의 요청에 따라 중수를 허락하고 향축을 보내니, 이것이 내려가는 대로 卜日하여 대성전을 중수하라고 지시해 놓았다.
10월 19일 移安祭가 거행되었으며, 위패는 明倫堂으로 옮겨졌다. 이에 앞서 전날 저녁, 使君이 祭物을 陪하자 獻官과 諸執事가 三門 밖에서 이를 祗迎하였으며, 이안제 준비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때 帳幕도 마련되었는데, 환성사에서 가져온 것이다. 告由는 辰時에 거행되었으며, 하양현감 이태승이 잃었다. 당시 獻官은 하양현감 이태승하양향교 齋長 金履德, 琴湖書院 院長 蔡碩履가 맡았다. 금호서원하양향교 인근에 위치한 賜額書院이다. 그 외 諸執事의 성명도 함께 기재하였는데, 諸執事로는 集禮·大祝·奉香·奉爐·東?奉香·東?奉爐·西?奉香·西?奉爐·典祀官·謁者가 확인된다. 이중 奉香와 奉爐는 하양향교 교임이었던 曹錫潭許瓚이 각각 맡았으며, 東?의 奉香과 奉爐는 금호서원 院任인 許瓘朴守文이 각각 맡았다. 이어 이안제 때 사용된 祭物과 수량을 기재해 놓았는데, 이중 鹿脯와 酒飯米는 大同米에서 會減한 쌀 3石으로 마련한 것이다. 나머지 제물도 관청에서 마련해 주었다. 告由가 끝나자, 대성전에 있던 孔子의 神位와 交倚·香卓·香盒·香爐·燭臺 등의 祭具를 차례대로 명륜당으로 옮겼다. 명륜당으로 옮겨진 신위와 제구는 齋任들이 還安 때까지 매일 새벽에 瞻拜하고 奉審하였다. 또한 하양향교 교생과 금호서원 원생 2인이 下典 2명과 함께 명륜당 輪直을 맡았다.
이안 이튿날인 10월 20일 대성전 기와를 철거하였는데, 役丁은 하양현 관내 瓦村面에서 調用했다고 한다. 10월 21일에는 중수 준비를 위해 대성전까지 뻗어 있던 은행나무 가지를 베었다. 10월 22일부터 본격적으로 중수 공사를 시작하였는데, 먼저 서까래를 수리하였다. 10월 26일에는 도배와 단청 작업, 10월 27일에는 기와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로써 14일 만에 대략적인 공사를 마무리되었다. 11월 1일에는 대성전 扁額에 대한 改粉과 단청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사용된 재료는 新寧·神光·長?에서 구해 온 것이다. 11월 2일 제기를 修繕했고, 11월 3일에는 神門을 수리하였으며, 11월 7일에는 신문의 계단을 수리하였다. 11월 11일 대성전의 殿門과 祭器庫의 鎖?을 새로 마련하였다. 11월 12일에는 鋪陳을 새롭게 마련하여, 제기 및 도구에 대한 정비도 일단락되었다.
11월 13일 還安祭를 거행하였다. 이에 앞서 전날 저녁 使君陪가 일전과 같이 香祝을 가지고 왔으며, 하양현감이 이들을 맞이하였다. 환안제 때의 首獻官은 하양현감 이태승, 東?의 分獻官은 김이덕朴守英, 西?의 分獻官은 채석리曺彦國이 맡았다. 그 외 諸執事의 성명도 기재되어 있는데, 奉香을 맡은 李用觀과 東?奉爐를 맡은 金翊東은 당시 進士였다. 告由는 午時에 거행되었다. 11월 15일부터는 추가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날 西齋와 명륜당을 수리하였고, 11월 30일에는 香卓을 새롭게 마련하였으며, 대성전을 위협하는 은행나무의 가지를 쳤다. ‘河陽鄕校重修記略’ 말미에는 대성전 중수를 담당했던 인사들의 성명과 署押이 기재되어 있다. 당시 하양향교 都有司는 김이덕, 都監은 금호서원 원장 채석리, 掌議는 조석담허찬, 別有司는 秋榮震, 殿直은 奴 作之였다.
‘附用下記’는 하양향교 중수 때의 수입과 지출을 정리한 것으로 12월 1일자로 작성되었다. 가장 앞의 수입 항목에는 幼戶錢을 기재해 놓았다. 유호전은 하양현 유림들이 기부한 돈으로 일종의 儒錢에 속한다. 이때 각 幼戶는 1戶 당 2?씩 납부하였는데, 하양현 관내 933호의 유호 중 42호를 제외한 891호가 참여하였다. 이렇게 모여진 돈이 다른 수입과 합쳐 총 191兩 5? 5分이었다. 이어 수록된 지출 항목에는 191兩 5? 5分에 대한 지출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이 돈은 각종 祭器와 祭具 구입, 공사에 투입된 장인의 인건비, 공사 재료와 도구 구입비, 각종 명목의 접대비 등으로 사용되었다. 지출 총액은 237兩 7? 8分으로 수입과 비교하면, 46兩 1? 3分이 적자였다. 부족한 돈은 하양향교·금호서원·南湖社·東湖社·養士齊가 추가 납부한 것으로 충당하였다.
‘幼戶錢捧上記’는 하양현 관내에서 거두어진 유호전에 대한 捧上 내역이다. 유호전은 面別, 그리고 洞里別로 捧上되었다. 이에 ‘幼戶錢捧上記’에는 어느 면의 어느 동리에서, 몇 개의 유호가 몇 냥을 납부했는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각 동리별로 有司가 임명되어 있는데, 이들이 유호전의 수합과 납부를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幼戶錢捧上記’ 말미에는 유호로 분류되었으나, 유호전을 납부하지 않은 ?戶에 대해 언급해 놓았다. 이들에 대해서는 본 장부에 기록하지 않고, 별도로 備妄하는 조치를 취한다고 하였다.
跋文 격의 글은 1823년 2월 20일 김이덕이 작성한 것이다. 김이덕1822년 중수 당시 하양향교 도유사였다. 중수가 끝나고 회계가 마무리되자, 이듬해 중수 과정을 본 자료로 성책하면서, 그 의의를 기리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발문에서 주목되는 점은 1710년에도 1822년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대성전 중수가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김이덕1710년 중수를 주도했던 邑先生 金克濂의 高孫으로 나타난다.
가장 말미의 ‘追錄’은 1823년 5월 작성된 것으로 1822년 중수 이후, 추가로 진행된 수리 및 정비 사실을 기재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대성전 기와 보수, 명륜당 편액 改粉 등이 있었고, 正祖 綸音과 儒案 2건을 하양향교 樓上에 奉安했다고 한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운영 양상과 경제적 기반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으로는 전답과 노비, 校村·校保, 官의 지원, 屬寺, 儒錢 등이 있었다. 본 자료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儒錢, 즉 幼戶錢의 운영이다. 儒錢은 지방 유림들이 향교 운영을 위해 납부하는 일종의 기부금이다. 이렇게 모여진 돈은 향교의 일상적인 운영보다는 건물 중수처럼 큰 자금이 필요할 때 집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양향교의 유호전은 하양현 관내에서 幼戶로 지정된 933호 중 891호에서 거두어들인 것이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朝鮮後期 書院硏究』, 李樹煥, 一潮閣, 2001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河陽鄕校上聖廟重修時記略當?二十二年壬午

河陽鄕校重修記略
當?二十二年壬午道光二年】八月議修文廟
八月初六日丁未行釋菜禮奉審殿內兩?
北廚柱頭雨漏成紋稟于官家轉報于
【主?李候台升字斗臣完山人】
九月初九日庚辰啓聞【巡相金尙書相休光山人】
前期初六日始事大木用碧松材【前任所裁斷者許斯
文樟
朴斯文守?都斯文尙龍也】浮梯木蒐境內各堂【環城桓木三十株
頂橫木三十株阿沙?木四十株】使之運納治而待

先修外三門
?控四椽木十二
十月初四日己巳香祝降

人定時大邱儒生奉臨化良驛使君具儀
祗迎行望關禮仍陪入于校齋任迎候于
紅箭門外奉安于大成位香卓而退【節到付禮曹
啓下關授巡營關內節啓下敎本道書狀授曹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日前河陽縣鄕校聖殿朽傷修改時先告
事由移還祭祭香祝令該司照例磨餘急速下送從須卜日設行之意行移何如道光二年九月十八日同副承旨趙次知啓
依允事啓下爲有置啓上內辭意奉審施行事關是置有亦同香祝大邱儒生處?奉下送爲去乎關辭奉審依禮文】
設行後粘兩以爲轉移之地】遂卜吉
十月十九日庚申移安于倫堂廳事
前夕己未使君陪祭物入獻官諸執事祗迎
于三門外典祀官奉進于神廚
奉香祝于倫堂正間北蘗下?上祝啓緘獻
官俯伏于倫堂東間西向諸執事序立于西間
東向塡祝仍安于?上各還齋次沐浴更衣
贊者設獻官諸執事內外位設堂療位遂滌
器判陳設陳設祝典祝于神位之右?上獻
官諸執事各服其服整肅候時【前面以環城寺新件帳?擁衛
後面裏簽鋪陳以簽代之】?【塗排廳事】
辰時告由道光二年月日干支
朝鮮國王謹遣臣通訓大夫行河陽縣監

李台升敢昭告于
當移奉先告事由謹以牲醴庶品式陳明薦
以先師?國復聖公顔氏邸國宗聖公曾氏
沂國述聖公孔氏鄒國亞聖公孟氏配尙
饗【五聖位香封壹從享位香封壹】
獻官李台升【本官城主】
金履德【時齋長】
蔡碩履【時院長】
集禮許{木+?}
大祝都命舜
奉香曺錫潭【時校任】
奉爐許瓚【時校任】
東?奉香許瓘【時院任】
奉爐朴守文【時院任】
西?奉香申宅棟
奉爐韓爾俊
典祀官金元履
謁者曺慶憲

祭物【自官家備進而鹿脯及酒飯米以大同米會減壹石柒斗伍刀兩次合參石】
上酒米參斗
稻米柒斗肆刀伍合
黍米柒斗肆刀伍合
生猪貳口
鹿脯捌拾伍?
鹿?參斗
黃燭貳拾參柄
黃筆壹柄
眞墨壹丁
眞油壹刀
拭巾伍尺
禮畢齋長入文宣王神位前鞠躬噫歆
奉位板出一人奉交倚在前二人奉香卓次之二
人奉香盒香爐次之二人奉燭臺次之大祝奉
香祝繼之首獻官磬折後由正門當中下
中階出神門正間當中至倫堂後折旋堂之
東詹至前階升堂之正間奉安于北蘗下正
南向設香卓如儀

奉配位出正門稱由門之東西邊中階東西邊
神門正間東西邊之倫堂後折旋堂之東?
至前階由堂之正間東西邊升奉安如儀設
香卓
奉從享位東從位出殿門東夾西從位出殿
門西夾東從位下東階出神門東夾西從
位下西階出神門西夾東從位折旋堂之東
?至東階西從位折旋堂之西?至西階
東從位升堂之東一間西向西從位升堂之西
一間東向奉安如儀齋任逐日昧爽瞻拜
奉審校院生二人輪直下典二名踐更
二十日撤殿瓦
役丁瓦村一面次第調用
二十一日剪銀杏木
木在殿之東西二枝逼近殿宇恐有後
慮故從衆議除之
二十二日升而始事
兩邊受病處四椽初欲易之材旣治仍舊貫
低仰之至二十五日而旣?控四符椽二前後

椽含也
二十六日去殿內塗排及三面??使泥匠補內
外虧欠處
塗排紙積累力厚不相沕合有蟲鼠埃?之
弊遂代之以丹?
二十七日蓋瓦
瓦子之堅實新不如舊故以神門所覆者補
其不足【後?舊無塞瓦求之於甲峴權斯文家用之】
十一月初一日丹?改粉大成殿三字額
始終凡十四日而訖山之僧錦謙也【白土文移慶州取諸神光靑土
取許新寧之長靑沙綠取貿於長?捐烟取貿於營庫】
二日修繕祭器
爵十一尊五?一燭壹二香盒蓋子一
三日癸酉修神門
神門三?椽?朽次照見天日鳩材於近地各
藪首瓦凡十有一日而落長棋一?控四道理二
椽木四十二【瓦子以前任所措置者用之其餘留在】
七日修三階
東西仍舊整齊之中階治四石代之

十一日改備殿門鎖?及祭器庫門鎖?
十二日改進鋪陳
細莞席柒黃布飭之
十三日癸未巳時還安
前夕壬午使君陪奠物入迎候如初當日塡
祝俟時行事
午時告由
獻官李台升本官城主
首獻官李侯台升
分獻官金履德東?
蔡碩履西?
朴守英東?
曺彦國西?
執禮黃昌洛
大祝金正履
奉香李用觀【本官子舍進士】
奉爐許瓚
東?奉香曺錫潭
奉爐金翊東【進士】
奉香金顯周

奉爐曺學鵬
西?奉香許瓘
奉爐朴守文
奉香蔡敏道
奉爐崔振羽
典祀官許?
謁者都鼎東
祝文【五聖位香封壹從享位香封壹】
月日干支云云載葺載完工事告訖吉日還
妥禮?芬苾【?音奐備也】奉還節次一如移安時故省文
十五日裏?
西齋南北角朽?繼而葺之?控四椽木

倫堂正間板門空缺新造謹管?只使
朔望開關
三十日新造香卓而進之
大成位香卓?漏不精以所剪銀杏木
治而御之【舊件備尊床之?者】
?桶藏之酒庫浮梯直之殿後

都有司金履德[署押]
都監蔡碩履【時琴湖院長】
掌議曺錫潭[署押]
許瓚[署押]
別有司秋榮震[署押]
殿直奴作之
壬午十二月初一日
需米壹石
五?香祝陪束大邱儒生馬貰
六兩九?錐刀匠
七兩九?鍮次匠
四兩七?祭器二價
爵十一
享五
燭臺一雙
香爐臺子一
?子一
附用下記
幼戶九百三十一戶

加八二戶【中井河沙姜錫仁金成元兩生以籍外來納】
合九百三十三戶內
?四十二戶
實在八百九十一戶每戶二?式
持錢壹百柒拾捌兩貳?
杏木錢貳兩玖?伍分
塗排紙價拾兩伍?
實在錢壹百玖拾壹兩伍?伍分
一兩殿門鎖?一
一兩祭器香鎖?一
一兩二?柒石玖洛
六?柒石運般時役丁慰?酒饌
五兩五?蓋瓦匠
二兩五?泥匠
一兩外三門告事
一兩內三門告事
二兩一?五分蓋瓦四十三丈
十七兩廟內鋪陳【細莞席三竹十五兩?飭布一疋二兩】
三兩木手兩以慰?酒肴

五?蓋瓦匠錢送時
五錢盡僧錢送時
一兩三錢五紛各匠人九名磨一部式
三?祭酒篩子
二?額號改粉
一兩一?一分香卓幷鎖丁二十八介
一兩九?五分倫堂塗排紙十三束
五兩二?八分?第
五?香木▣伐貰
四錢五分兩邑差奴路貰【三?五分竝仁松北二道納一?新寧邑內泥匠納】
十七兩五?▣匠
舊丁一石十三冊七介
新丁大者四冊八介
平査丁三十冊六介
風在丁二十一冊
裏囊丁十冊二介
蜈蚣鐵二片
門環?鐵六片
突作鐵四介

長實伊三介【三木手決知】
三十七兩木手
都料匠二十一兩
同事一人十三兩
一人三兩
三十三兩三?一分畵工
菜色十一兩
石以緣一斗五刀四兩五?
松烟一斗一兩
白出使路貰一兩
靑出使路貰二?六分
盡具白木一疋二兩
盡具沙器六?
盡時?炭七?五分
工價十二兩
十一兩合母鹽醬而菜
一千四百三十四床
三十兩五?九分粮米九十一斗七刀六合
五合料二十一斗五刀五合

七合料七十斗二刀一合
自九月初六日午
至十一月十六日午
三兩七?六分養賢米十一斗三勺
十三兩九?九分時酒草肴核等物
右移安時
需米一石
十六兩九?二分
十三兩五?二分庫子雜用【首瓦七十日酒草饌等物】
合用錢貳百參拾柒兩柒?捌分
不足飭四十六兩一?三分以分排
十一兩五?三分排校
九兩四?琴湖
八兩四?南湖
八兩四?東湖
八兩四?養士齋【卽育英齋也】
幼戶錢捧上記
邑內面東上下洞有司朴勉己

十五戶三兩九月二十九日
西上下洞有司金振聲
七戶一兩四?九月二十四日
石邦有司金重鍊
十戶二兩十月二十九日
島里場地里有司張碩憲
十七戶三兩四?十月十九日四??
四面大谷有司李民芳
七戶一兩四?十月初一日
磨陽面上洞有司許?
四十四戶八兩八?十一月十八日一兩二??
上洞有司許琳
十六戶三兩二?十一月十八日四??
馬屹里有司李震?
二十戶四兩十一月十八日
南下洞有司金正履
三十八戶柒兩六?十月十八日四??
陽泉里有司宋景元
十七戶三兩四?九月二十四日

新基里有司鄭始亨
十八戶三兩六?九月二十四日二??
大島里有司鄭禮淳
三十一戶六兩二?九月二十四日二??
安心面外洞有司金七諧
四十六戶九兩二?十月十四日八??
內洞有司黃道榮
三十三戶六兩六?十月初四日二??
西洞新有司柳相權
四十一戶八兩貳?九月二十六日二??
牛岩梅余里有司崔擎極
二十八戶五兩六?九月二十九日
樂山面駕萬里有司曺慶憲
四十四戶八兩八?十月十四日
斗印洞有司曺學龜
二十七戶五兩四?九月二十四日
臺子里有司金在燮
二十戶四兩九月二十四日二??
內外時有司張鎭奎

五十一戶十兩二?九月二十九日二??
崔沙北洞有司曺澤奎
十戶二兩十一月十五日二??
中林面阿沙洞有司李東臣
二十二戶四兩四?九月二十五日二??
內里平沙里有司申宅柱
十戶二兩九月二十四日
外里有司韓爾後
五十三戶十兩六?九月二十四日六??
當基里有司曺夏信
三十二戶六兩四?九月二十四日六??
瓦村面雉巖洞有司張安稷
十八戶三兩六?十一月初五日
上洞有司許晦
十戶二兩十月十四日二??
所堂里有司崔慶元
十三戶二兩六?九月二十四日四??
陶信龍川有司金馬鉉
十九戶三兩八?九月二十四日二??

匙洞有司金樂捌
二十七戶五兩四?九月二十九日
島里有司禹纘緖
二十六戶五兩二?九月三十日
東里東罔有司宋啓魯
四十四戶八兩八?九月二十四日
侯項有司金聲兌
二十戶四兩九月二十四日
北面栗里有司郭致巖
九戶一兩八?十月十一日二??
洞內大同里有司都贊東
六十七戶十三兩四?十月十一日四??
諭斯洞有司崔命湜
二十一戶四兩二?十月十一日四??
?戶姓名不忍載錄別付備忘
庫子奴元得
食母婢得心
都下典奴孟得
壬午十二月初一日
一日觀按上故事得一黃以相?最初往錄

也謹按
崇禎後二庚寅
命修
聖廟其時邑先生金公克濂
不?之高祖考也鳴世之相後百有五
十年事之相近若合一契何其異哉
遂校梯書卷末
癸未二月二十二日金履德謹書
追錄【前冬未盡之事至是始句當】
聖廟前?薦瓦之塞者二十二丈始得覆之
神門土功及繒事告訖
垣墻自酒庫後至外三門東貰人改?而瓦

明倫堂三字改粉
正廟綸?奉安于樓上【所藏?舊在祭器庫中而破碎不謹以鐵】
【丁數十完飾之移安于明倫堂樓上】
天啓崇禎時儒案二件改裝與記略幷藏于
樓上文書?中【?亦毁破無管?以鐵丁飾之以?堅鎖之】
懸食鼓于倫堂廳事舊無今有
癸未五月端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