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순조 2년(1802)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02.4725-20160630.Y1632202009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작성시기 1802
형태사항 크기: 34 X 23.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20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순조 2년(1802)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본 자료는 함창향교 소장 교임록(校任錄) 14책 가운데 하나로 순조 2년(1802) 작성한 것으로 102명의 교임의 명부이다. 도유사 역임자 52명의 성씨는 이씨 12명, 권씨 9명, 채씨 8명, 남씨 7명, 류씨 4명, 신・홍씨 각 3명, 정씨 2명, 강・박・손・조씨 각 1명 순이다. 장의 역임자 55명의 성씨는 이씨 15명, 권・채씨 12명, 남씨 7명, 류씨 5명, 박・신씨 2명 순이다. 위의 도유사 가문 성씨들과 비슷하다. 유사・재임 역임자 54명의 성씨는 김씨 10명, 이씨 9명, 허씨 6명, 인・채씨 5명, 강・남・신씨 각 4명, 권씨 3명, 손씨 2명, 서・홍씨 1명 순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조선후기 함창 향촌사회를 주도했던 월성전주이씨, 인천채씨, 의령남씨, 평산신씨의 가문 비중이 높다. 이들 가문이 19세기 초반 함창향교의 교임직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 교임록은 19세기 초반 함창향교의 인적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韓國의 鄕校 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순조 2년(1802)작성된 함창향교(咸昌鄕校) 교임록(校任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향교에는 운영을 총괄하고 담당했던 직임 즉 교임(校任)이 존재했는데 바로 그 명부가 교임록이다. 현재 함창향교에 현전하는 교임록은 모두 14책으로 그 명칭을 청금임록(靑衿任錄)・임원록(任員錄)・향교임안(鄕校任案)으로 쓰고 있다. 고종 연간에 들어오면서 교임록이지만 청금록이라는 이름으로 작성하기도 했다. 교임의 명칭과 직제는 지역마다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교장(校長)・장의(掌議)・색장(色掌)을 두었는데 남부지방에서는 수임을 도유사(都有司)로 명칭 했다. 도유사 선출은 대체로 봄의 석전제(釋奠祭) 종료 후 헌관(獻官)과 유림들이 천거로 수령에게 삼망(三望)하여 택임하는 방법을 취했고, 장의와 색장은 도유사의 천거로 삼망하고 관의 택임을 받는 형태를 취했다. 함창향교도 이러한 방식을 따랐을 것으로 판단된다. 함창향교의 교임직 명칭과 직제는 수임(首任)은 상재(上齋)・도유사, 차임(次任)은 장의, 말임(末任)은 유사(有司)・재임(齋任)・재유사(齋有司) 등으로 불렸다.
본 자료는 14책 가운데 하나로 작성연대 임술(壬戌) 2월로 기재되어 있는데 상재(上齋) 남한보(南漢普)가 순조 3년(1803) 계해(癸亥) 증광시(增廣試)에 합격한 것을 고려하면 순조 2년(1802)에 작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임원록(任員錄)의 수록 인원은 총 161명이다. 표제에는 임원록으로 되어있고, 좌목에는 직책・성명・간지(干支)・부임여부・개명(改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다. 교임의 체제는 도유사 1명, 장의 1명, 유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유사는 향교운영의 총책임자로 향중의 명망 있는 인사가 장의와 유사는 도유사를 보조하는 유생들이었다. 먼저 함창향교 도유사를 역임한 인물은 52명이며, 중복 포함하여 성씨별로 나누어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이씨 12명, 권씨 9명, 채씨 8명, 남씨 7명, 류씨 4명, 신・홍씨 각 3명, 정씨 2명, 강・박・손・조씨 각 1명 순이다. 좌목에는 본관이 기입되어 있지 않아 입록자의 성관이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지만 주요 인물과 함창 지역 지리지 자료를 살펴보았을 때 이씨는 월성전주이씨, 권씨는 안동권씨, 채씨는 인천채씨, 남씨는 의령남씨, 류씨는 진주류씨 등의 가문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19세기 초 함창향교 도유사를 역임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던 가문 출신으로 볼 수 있다. 이중 중복 역임한 횟수는 2회 10명, 3회 1명으로 확인 되었다. 함창향교 차임인 장의를 역임한 55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살펴보자. 중복 포함하여 성씨별로 나누어 분류하면 이씨 15명, 권・채씨 12명, 남씨 7명, 류씨 5명, 박・신씨 2명 순이다. 위의 도유사 가문 성씨들과 비슷하며, 중복 역임한 횟수는 2회 5명, 3회 2명, 4회 1명이다. 마지막 말임인 유사・재임을 역임한 54명에 대해서도 살펴보자. 중복 포함하여 성씨별로 나누어 분류하면, 김씨 10명, 이씨 9명, 허씨 6명, 인・채씨 5명, 강・남・신씨 각 4명, 권씨 3명, 손씨 2명, 서・홍씨 1명 순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조선후기 함창 향촌사회를 주도했던 월성전주이씨, 인천채씨, 의령남씨, 평산신씨의 가문 비중이 높다. 이들 가문이 19세기 초반 함창향교의 교임직을 장악하고 있었다. 한편 교임록 수록 인물 가운데 향안과 청금록에도 중복 입록자들이 다수가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청금록과 향안 및 교안이 독립적으로 작성·운영된 것이 아니라 모두 양반사족의 권위를 상징하는 명부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함창향교 교임은 향교 운영을 주도하던 함창의 재지사족 층 이었다.
자료적 가치
함창향교 교임록은 19세기 초반 함창향교의 인적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를 통해 당시 교임록 현황과 주도 가문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안(案)과 비교를 통해 함창의 향촌사회 내 사족의 동향과 향교와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향교의 주도 가문이 큰 변화가 없던 것은 조선후기 함창지역에는 유력한 서원이 없었던 관계로 재지사족들은 향교를 중심으로 그 기반을 유지했음을 본 자료가 일정정도 증명하고 있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2
『韓國의 鄕校 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咸昌鄕校誌』, 함창향교, 2010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壬戌二月 日
任員錄
都有司蔡獻轍
掌議柳天培
有司金斗淳
上齋柳光培
都有司權{亻+斌}
掌議李羲逸
有司李丁奎
都有司李大奎
掌議申紹明
有司蔡浻大
申紹述
都有司孫誼顯
掌議柳榮益
都有司申泰魯癸亥【春享事】
掌議李煥奎癸亥【春享事十日】
有司申紹述丁亥【春享事七日官】
掌議南景漢
有司徐時曄
上齋南漢普【未行公】
掌議蔡邦轍【未行公】
有司李基孝
都有司蔡膺汎
掌議南景漢
有司南必翼
都有司蔡象圭
掌議李閔孝
有司蔡禹圭【未行公單遞】
都有司權楏
掌議李閔孝
有司李陽秀
都有司蔡象玄
掌議蔡聖轍
有司印景宅
上齋南漢普
掌議權{亻+}
有司李緯奎
都有司洪圭夏甲子【秋未行公】
掌議李明奎【改鍾奎】
有司洪宅仁
都有司權象奎甲子【九月帶】
掌議蔡翼轍【九月帶】
有司李齊德【九月帶】
都有司權象奎乙丑【三月日帶】
掌議權儁【同月日帶】
有司李果玉【同月日帶】
有司南呂正
上齋李璋斗乙丑【四月三十日帶未行公】
掌議蔡禹圭【同月日帶】
有司金國鳴【同月日帶】
都有司申泰魯乙丑【五月初七日帶】
掌議蔡禹圭【五月十二日】
掌議南必翼【未行公】
有司金國鳴
都有司李重玉乙丑【五月帶秋享遞】
掌議柳榮益
齋任印瑾
蔡象天
都有司李起陽【秋享帶臘月遞】
掌議柳榮益
有司蔡象天
都有司柳天培丙寅【十二月帶春享遞】
掌議權宗烈
有司李陽運
上齋姜文欽丙寅【春享帶】
掌議柳榮益
有司李齊甲
都有司南必漢【七月帶秋享遞】
掌議蔡瑞東【>七月秋享遞】
有司南呂正
都有司權倜
掌議李寧萬
有司南呂正
都有司李雨龍
掌議李基孝
有司蔡膺聖
都有司朴重吉
掌議李全孝
有司李益友
都有司南景漢
掌議李秀玉
有司姜在軫
都有司柳天培
掌議李秀玉
有司姜在軫
上齋李璋斗
掌議李秀玉
有司姜在軫
都有司南必漢
掌議李晩玉
有司許{亻+}
都有司李大奎
掌議權檝
有司金錫昇
都有司蔡獻轍
掌議權檝【重制遞】
齋任金錫昇
掌議李信玉
都有司李陽玉
掌議權休
都有司李顯陽
掌議權休
齋任權{日+奇}兼
都有司李秉玉
掌議權休
齋任權{日+奇}兼
都有司鄭八起【未行公】
掌議申景洙【未行公單遞】
齋任權{日+奇}兼
都有司權{亻+斌}
掌議權㰒
都有司蔡益轍
掌議權㰒
齋任金百源
都有司蔡羽國
掌議權㰒
齋任金百源
都有司李全玉
掌議權㰒
齋任金百源
都有司蔡觀國己巳【秋享帶】
掌議南漢奮
齋任申藥
都有司南景漢【八月帶】
掌議南漢奮
齋任申藥
姜虎臣
都有司柳彩庚午【春享帶】
掌議南以樛
齋任孫吉孝
上齋洪錫疇【未行公】
掌議南以樛
齋任許柱老
都有司南得正【二月帶】
掌議蔡榮祖
齋任許柱老
都有司鄭東衡
掌議蔡榮祖
齋任許柱老
都有司趙師逸【秋享帶】
掌議蔡榮祖
齋任許柱老
都有司李象熙
掌議朴謹重
齋任印德明
都有司權桴
掌議朴謹中
蔡祖憲【未行公】
齋任印德明
都有司申厚岳
掌議李時奎
齋任許任
都有司權休
掌議李東旭
齋任金百源
都有司權休
掌議蔡維國
齋任金百源
都有司洪錫道
掌議蔡維國
齋任孫達孝
印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