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3~1867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회화록(會話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793.4721-20160630.Y162190601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793
형태사항 크기: 24.5 X 24
수량: 36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793~1867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회화록(會話錄)
1793년에서 1867년까지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에서 개최된 기로연(耆老宴)의 참석자 명부다. 기로연은 양로연(養老宴)이라고도 하는데, 고을의 노인들을 모시고 연회를 베푸는 행사다. 본 자료는 ‘회화록(會話錄)’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으며, 1793·1848·1857·1864·1866·1867년에 기로연이 개최된 것으로 확인된다. 자료에는 해당 연도의 기로연에 참석한 인사들의 명단, 당시 풍기향교의 교임(校任), 그리고 기로연 개최의 의의를 간략히 언급한 지(識)가 수록되어 있다.
‘회화록’의 명부는 나이순서대로 기재되어 있는데, 70~80대의 노인부터 20~30대 청년층까지 모든 연령층이 확인된다. 지역의 청장년층이 노인층을 모시고, 연회를 베풀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형태로 기로연이 개최되었던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한편, 6회에 걸쳐 개최된 기로연에는 모두 119명이 참석하였다.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황씨(黃氏) 44명, 이씨(李氏) 32명, 김씨(金氏) 7명, 남씨(南氏) 5명, 박씨(朴氏) 4명, 채씨(蔡氏) 3명, 곽씨(郭氏)·권씨(權氏)·나씨(羅氏)·하씨(河氏) 각 2명, 금씨(琴氏)·장씨(張氏)·정씨(丁氏)·조씨(趙氏)·진씨(秦氏)·홍씨(洪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93~1867慶尙道 豊基郡에서 豊基鄕校에서 개최된 耆老宴의 참석자 명부
자료의 내용
1793년에서 1867년까지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에서 6회에 걸쳐 개최된 耆老宴의 참석자 명부다. ‘會話錄’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는데, 처음 명부가 만들어 진 후, 기로연이 개최될 때마다 지속적으로 작성된 듯하다. 자료 가장 말미에는 ‘檀紀四三一九年丙寅十一月十日再結冊’이라 기재되어 있다. 이전까지 전해지던 명부를 1986년 11월 10일 새롭게 엮은 것으로 보인다. 1986년 당시 典校는 張鳳基가 맡고 있었다.
회화록은 ‘癸丑會話錄’, ‘戊申會話錄’, ‘丁巳會話錄’, ‘甲子會話錄’, ‘丙寅會話錄’, ‘丁卯會話錄’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회화록에는 기로연 참석자 명단, 당시의 풍기향교 校任, 기로연의 경위와 의의를 간략히 언급한 識가 수록되어 있다. 참석자 명단은 나이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으며, 성명 아래에는 字와 출생 干支를 세주로 표시하였다. 그런데 참석자의 나이를 보면 70~80대의 노인도 있지만 20~30대의 젊은 유생들도 포함되어 있다. 특정 세대만 참석한 것이 아니라 노인층부터 청장년층까지 여러 연령대가 참여하여, 노인들과 會話를 나누고 연회를 즐기는 형태로 기로연이 개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화록 말미에는 당시의 풍기향교 교임을 기재해 놓았는데, 풍기향교가 首任인 校長, 즉 都有司 1인, 副任인 掌議 1인, 齋任 2인 체제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가장 서두의 ‘癸丑會話錄’은 1793년에 개최된 기로연 기록이다. 당시 校長, 즉 도유사는 朴成咸, 장의는 黃應緖, 재임은 蔡命赫·黃應緝이 맡고 있었다. 識에는 기로연이 10월에 개최되었으며, 그 인연을 돈독히 하고자 명부가 작성되었음을 언급해 놓았다. 1793년 기로연에는 모두 40명이 참석하였는데, 성씨별로는 李氏 13명, 黃氏 7명, 金氏·韓氏 각 3명, 郭氏·權氏 각 2명, 琴氏·南氏·朴氏·張氏·丁氏·趙氏·秦氏·蔡氏·河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戊申會話錄’은 1848년의 기로연 기록이다. 당시 교장은 朴必興, 장의는 黃起源, 재임은 蔡周翰·黃潤千이 맡고 있었다. 識에 따르면 처음 모임이 있은 지로부터 50년이 지난 1848년 10월, 유생들이 다시 모임을 개최했다고 한다. 또한 예전 기록에 이어서 본 명부가 작성되었음을 밝혀 놓았다. 1848년 기로연에는 모두 22명이 참여하였으며, 성씨별로는 李氏·黃氏 각 8명, 金氏·蔡氏 각 2명, 朴氏·河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 ‘丁巳會話錄’은 1857년의 기로연 기록으로, 당시 교장은 李益彬이 맡고 있었다. 識에 따르면 처음 회화록이 작성된 후로부터 65년이 흘러 세 번째 모임을 개최하게 되었다며, 그 사이 세상이 많이 변했음에도 이런 모임이 이루어져 보통 인연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래서 그 인연을 잊지 않기 위해 본 회화록을 작성한다고 하였다. 識는 윤6월 22일에 쓰여 진 것이다. 1857년 기로연에는 모두 12명이 참석하였는데,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7명, 朴氏 2명, 南氏·李氏 각 1명 순이다.
네 번째 ‘甲子會話錄’은 1864년의 기로연 개최 기록으로 당시 교장은 韓德鳳, 장의는 河必淸이 맡고 있었다. 7월에 쓰여 진 識에는 이 모임의 성격이 老人會이며, 어른을 섬기는 자리라고 언급해 놓았다. 1864년 기로연에는 모두 12명이 참석하였으며,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8명, 李氏 2명, 羅氏·南氏 각 1명 순이다.
다섯 번째 ‘丙寅會話錄’은 1866년 개최된 기로연 기록이다. 당시 교장은 黃中瓚, 장의는 黃之幹이 맡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識에서는 세상의 점점 퇴락해져서 養老의 풍습이 없어지고 있음을 한탄하였다. 그래서 이번 모임의 전통이 후대에 잘 계승되기를 당부해 놓았다. 1866년 기로연에는 모두 15명이 참석하였으며,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6명, 李氏·韓氏 각 4명, 南氏 1명 순이다.
마지막 여섯 번째 ‘丁卯會話錄’은 1867년에 개최된 기로연 기록이다. 교임으로는 李馨淳黃卨漢이 기재되어 있는데, 풍기향교에 전해지는 ‘鄕校任案’에 따르면 당시 이형순은 도유사, 황설한은 장의를 맡고 있었음이 나타난다. 이 해의 회화록에는 識가 별도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 기로연 참석자는 모두 18명으로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8명, 李氏 4명, 金氏·韓氏 각 2명, 羅氏·南氏 각 1명 순이다.
이상 6회에 걸쳐 개최된 기로연 참석자는 모두 119명이다.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44명, 李氏 32명, 金氏 7명, 南氏 5명, 朴氏 4명, 蔡氏 3명, 郭氏·權氏·羅氏·河氏 각 2명, 琴氏·張氏·丁氏·趙氏·秦氏·洪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후기로 갈수록 참여 성씨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 운영의 양상과 풍기군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교육뿐만 아니라 교화의 기능도 가지고 있었다. 그 중 하나가 향교에서의 기로연·養老宴 개최였다. 기로연은 지역 士林 중 나이가 많은 인사를 초빙하고 연회를 베풀어, 향촌에서의 질서를 확인하는 자리다. 즉, 풍기향교에서의 기로연 개최는 교화를 담당하는 향교의 권위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한편, 기로연에 참석한 인사들은 18~19세기 풍기군 지역을 대표하던 재지사족 가문 출신이다. 기로연 참석 인사들의 성씨별 분포를 살펴보면, 황씨·이씨·김씨·남씨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 이들 성씨들이 풍기군 지역을 대표했던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癸丑戊申會話錄

癸丑會話錄
丁處重【重叔癸巳
李興植【孝叔丁酉
李應祉【慶徽己亥
李輝英【華彦辛丑
琴銓【正則乙巳
李雲培【叔和丙午
南昌夏【時彦戊申
金允彦【貞卿己酉
金台彦【鉉卿壬子
郭?【汝琳癸丑
趙重鼎【九之甲寅
權大經【天常甲寅
河聖圖【道徵甲寅

黃錫三【啓予乙卯
權是經【正敬丙辰
韓景愈【退甫戊午
郭爾?【衛甫辛酉
李相鉉【台敬壬戌
韓景休【直甫壬戌
李震?【周老壬戌
李漢白【光老癸亥
李演【士延癸亥
李萬華【君實甲子
黃?【留厚甲子
黃坤【汝剛甲子
李宗?【元老乙丑
蔡命甲【文顯乙丑
黃{甫/衣}【汝綠丙寅
李周?【大老丁卯
張緯樞【台應庚午

黃在【仲伯壬申
黃?【聖輔壬申
韓景?【致伯甲戌
秦鼎和【殷卿丁丑
金瑞白【永輝丁丑
洪熙遠【進叔戊寅
黃應綸【邦彦己卯
李仁植【昌伯庚辰
黃?【光老辛巳
李復華【明甫壬午
黃應紀【公範丁亥
朴?慶【退仲辛卯

是會也校長爲鄕堂
謂▣時際孟冬而之氣▣
和地隔南▣少長咸集
杯盤狼藉嘯?以邀主人
眷▣引情夫豈偶然哉玆

於題名▣正庸識哉
校長朴成咸
掌議黃應緖
齋任蔡命赫
黃應緝
戊申會話錄
李斗秀【子?庚寅
蔡后?【景?壬辰
金時景【大中庚子
李時權【汝芳壬寅
李光朝【君彦壬寅
李師億【師則癸卯
金尙運【先則甲辰
蔡如?【兼?丙午
朴成觀【士大丙午
黃浩源【淸之丁未
黃潤德【粹如庚戌

李涵【養兼庚戌
河龍慶【德仲癸丑
黃潤國【士吉丁巳
黃最源【樂善己未
李壤【樂仲壬戌
李鼎錫【象三甲子
李益彬【謙之戊辰
黃碩幹【子直己巳
黃濂源【學淵辛未
黃達源【子上癸酉
黃柱漢【擎天己卯

是會也歲屬黃?時則
淸和良▣美景杖?齊
臨甚盛事也考得校中故
事萬安孟冬之會?帖
留題宛然昭載今於五十餘
載之▣復有此會而會中
諸員多是子孫繼無重講事
非偶然?仰之間不徒感慨

之懷而已舊題同編雜錄
冊子中矣今此續題裏爲別
卷未知後來幾年復續
是會否也
校長朴必興
掌議黃起源
齋任蔡周翰
黃潤千
丁巳會話錄
黃浩源【淸之丁未
黃應玄【默卿戊申
李涵【養謙庚戌
黃欽大【?若壬子
黃潤源【德汝乙卯
黃洙源【聖淵乙卯
南泰鎭【魯重丙辰
黃最源【樂善己未
朴必弘【子大己未

黃泗源【德淵己未
朴必淳【淳則癸亥
韓德鳳【道應己丑
黃奭幹【子直己巳

癸丑戊申五十餘載
戊申至今丁巳且十年
前後六十五載之間三有
是會浮世勝緣誠稀矣
衰界團話亦不易矣盃
盤談謔之餘?仰之會
滄桑之感亦後人之所不
已也又未知此後何時更
續是會使後人復有載
於斯文也
閏六月卄二末庚日
校長李益彬
甲子會話錄
黃聖漢【君輔庚戌
黃益源【君謙甲寅
黃潤源【德汝乙卯
黃洙源【聖淵乙卯

南泰鎭【魯重丙辰
黃最源【樂善己未
黃泗源【德淵己未
羅益洙【益甫庚申
李益彬【謙之戊辰
黃瑞漢【穉明壬申
李獻淳【學先甲戌
黃勉幹【公?壬午

會何老人會也于校何校
上齒之所也錄而識何其
禮重其事盛也前此三
識焉此何識識其日也時
甲子七月▣生明越一日
庚寅也
校長韓德鳳
掌議河必淸
丙寅會話錄
黃潤源【德汝乙卯
南泰鎭【魯重丙辰
黃最源【樂善己未

黃泗源【德淵己未
韓應良【應五癸亥
韓德鳳【道應乙丑
黃配大【德彬乙丑
李益彬【謙之戊辰
韓德峻【道瞻戊辰
韓德亨【嘉仲戊辰
黃瞻漢【單甫辛未
李獻淳【學先甲戌
李馨淳【子胤壬午
黃宗幹【京直癸未
李民熙【淳卿甲辰

會古也今人每不及古人而獨斯
會▣▣?於古而數於今日也噫
世敎漸下養老之風漸不
如古則數之者所以勉者所不
足也是以識之以示後之繼

校長黃中瓚
掌議黃之幹

丁卯會話錄
黃潤源【德汝乙卯
金永宅【孟仁丁巳
黃最源【樂善己未
羅益洙【益甫庚申
金彦轍【子固甲子
韓德鳳【道應乙丑
李益彬【謙之戊辰
黃復源【來隆己巳
韓應赫【昌共】
黃起源【起余癸酉
李獻淳【學先甲戌
李龜五【福兼丙子
黃勉幹【公?壬午
李馨淳【子胤】
黃宗幹【景眞癸未
黃敏幹【壬訥辛卯
南泳龜【季涵】
黃卨漢【敬五壬辰

校任李馨淳
黃卨漢
正祖十七年(四一二六)癸丑年作成
檀紀四三一九年丙寅十一月十日再結冊
典校張鳳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