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86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추향시돈사록(追享時敦事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786.4725-20160630.Y1650210138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시도기
작성주체 옥동서원
작성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작성시기 1786
형태사항 크기: 29.5 X 20.5
수량: 5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안내정보

1786년 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옥동서원(玉洞書院) 추향시돈사록(追享時敦事錄)
1786경상도(慶尙道) 상주목(尙州牧) 소재 옥동서원(玉洞書院)에서 열린 추향(追享) 때의 집사(執事) 및 방문자 명부다. 자료의 표제는 ‘추향시돈사록(追享時敦事錄)’이며, 내제는 ‘도기부 돈사록(到記附 敦事錄)’인데, 집사를 기록한 돈사록(敦事錄)과 방문자 명부인 시도기(時到記)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옥동서원에는 황희(黃喜)전식(全湜)이 배향되어 있었는데, 1786년 사림(士林)의 공론에 의거하여, 황효헌(黃孝獻)황뉴(黃紐)를 추가로 배향하였다. 본 자료는 이 과정에서 작성된 명부인 것이다.
먼저 돈사록은 추향에 필요한 위판(位版)을 제작하는 시기부터, 추향 때 손님을 접대하기까지 임명된 여러 집사의 성명을 기록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모두 79인의 집사가 임명되었는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황씨(黃氏) 33명, 조씨(趙氏) 10명, 이씨(李氏) 6명, 손씨(孫氏) 5명, 강씨(姜氏)·노씨(盧氏)·송씨(宋氏) 각 4명, 여씨(呂氏)·정씨(鄭氏) 각 3명, 김씨(金氏)·류씨(柳氏)·홍씨(洪氏) 각 2명, 권씨(權氏)·금씨(琴氏)·오씨(吳氏)·전씨(全氏)·조씨(曹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황효헌황뉴가 추향되는 만큼, 이들의 후손인 장수황씨(長水黃氏) 일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시도기는 추향이 진행되던 1786년 12월 초1일부터 12월 13일까지의 방문자 명부다. 날짜별로 방문자 성명을 비롯해, 자(字)와 출생 간지(干支)도 함께 기재해 놓았다. 방문객이 상주목이 아니라 타향(他鄕)에서 왔을 경우에는, 출신 고을도 함께 기재하였다. 총 방문자 258명 중 대부분은 상주목에서 왔으며, 타향에서는 선산(善山)에서 3인이 방문했고, 안동(安東)·김산(金山)·옥천(沃川)·용궁(龍宮)·문경(聞慶)에서 각각 1명씩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추이는 지역 사회 내에서 옥동서원의 영향력을 확인 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총 방문객 258명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황씨(黃氏) 64명, 조씨(趙氏) 38명, 김씨(金氏) 37명, 이씨(李氏) 22명, 송씨(宋氏) 12명, 노씨(盧氏)·손씨(孫氏)·여씨(呂氏) 각 8명, 정씨(鄭氏)·하씨(河氏) 각 7명, 강씨(姜氏)·강씨(康氏)·권씨(權氏)·금씨(琴氏)·류씨(柳氏)·채씨(蔡氏) 각 4명, 곽씨(郭氏)·성씨(成氏)·오씨(吳氏)·전씨(全氏) 각 3명, 서씨(徐氏)·신씨(申氏)·조씨(曹氏) 각 2명, 나씨(羅氏)·남씨(南氏)·심씨(沈氏)·한씨(韓氏)·홍씨(洪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786慶尙道 尙州牧 玉洞書院에서 黃孝獻黃紐를 追享 할 때의 諸 執事 명부와 외부 인사 방문 기록
追享時敦事錄 時到附 敦事錄
자료의 내용
1786慶尙道 尙州牧 소재 玉洞書院에서 열린 追享 때의 諸 執事 및 외부 방문자 명부다. 자료의 표제는 ‘追享時敦事錄’이며, 내제는 ‘到記附 敦事錄’이라 기재되어 있다. 1714白華書堂에서 서원으로 승격된 옥동서원은 직전까지 黃喜(13631452)를 主享으로 하고, 全湜(1563~1642)을 배향하고 있었다. 그리고 1786년 사림의 공론에 의거하여 黃孝獻(14911532)과 黃紐(15781626)를 추가 배향하였다. 본 자료는 이때의 일을 담당했던 여러 집사의 명단과 방문자 명단을 기록해 놓은 것이다.
돈사록 가장 서두에는 1786년 당시 옥동서원의 추향을 주도했던 것으로 보이는 院任이 기재되어 있다. 당시 옥동서원 院長은 趙安經이었으며, 齋席, 즉 齋任은 呂文復李國培로 나타난다. 옥동서원의 院任은 원장 1인, 재임 2인 체제로 운영되었던 것이다. 1786년 추향 때 임명된 諸 執事로는 位版을 만들 나무의 벌목을 담당한 伐版都監 2인, 위판 제조를 담당한 造版都監 2인, 執禮 1인, 掌議 2인, 酒有司 2인, 追享과 관련해 개최된 鄕會 때의 公事員 3인, 曹司 2인, 通文을 찬술한 製通 3인, 통문을 轉寫한 寫通 6인, 告由祭製祝 1인, 合享製祝 1인, 笏記修正有司 2인이 확인된다. 이들은 추향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각종 사전 작업을 담당했던 이들이다. 즉, 위판 제조를 위한 집사가 임명되었으며, 추향을 알리기 위한 향회가 개최되었고, 이와 관련된 통문이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황효헌의 祭床과 香卓 준비를 담당한 畜翁先生設床卓有司 2인, 황뉴의 제상과 향탁 준비를 담당한 槃澗先生設床卓有司 2인, 위판이 옮겨짐에 따라 전식의 위판 이동을 담당했던 沙西先生床卓移安儒生 1인, 寫奉安文有司 2인, 황효헌 위판의 寫版을 담당한 畜翁先生寫版 2인, 황뉴 위판의 寫版을 담당한 槃澗先生寫版 2인, 황효헌의 위판을 奉版한 畜翁先生奉版 1인, 황뉴의 위판을 奉版한 槃澗先生奉版 1인이 임명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실제 추향이 이루어졌을 때, 중요한 위판을 담당하던 집사들이다.
추향 전후 과정에서 각종 기록을 담당하던 집사들도 임명되었다. 이에 都廳 2인, 都廳有司 4인, 추향 과정을 기록한 日記有司 3인, 時到記 작성을 담당한 到記有司 5인이 확인된다. 추향 때 찾아온 손님을 맞이하기 위한 집사로는 술자리를 지휘하는 酒監 3인, 술잔 돌림을 담당하는 行盃有司 9인, 술과 음식이 깔리는 자리와 상을 담당하는 鋪陳排床有司 5인, 손님 접대를 담당하는 接賓有司 5명, 南草 분배를 담당했을 輪草有司 6인, 그리고 방문객들이 데리고 온 奴僕의 음식과 말의 먹이를 담당하는 奴馬糧分給有司 3인이 임명되었다.
추향이 진행되는 동안 모두 79인의 집사가 임명되었는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33명, 趙氏 10명, 李氏 6명, 孫氏 5명, 姜氏·盧氏·宋氏 각 4명, 呂氏·鄭氏 각 3명, 金氏·柳氏·洪氏 각 2명, 權氏·琴氏·吳氏·全氏·曹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황효헌황뉴가 배향되는 만큼, 후손인 長水黃氏 일문이 적극적으로 추향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돈사록에 이어 부기된 시도기는 추향이 진행되던 1786년 12월 초1일부터 13일까지의 방문객 성명을 기록한 명부다. 명단은 성명을 먼저 기재하고 그 아래에 字와 출생 干支, 他鄕에서 방문하였을 경우 해당 고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날짜별로는 12월 초1일 1명, 2일 2명, 3일 1명, 4일 2명, 8일 1명, 9일 1명, 10일 88명, 11일 128명, 12일 31명, 13일 3명의 방문객이 옥동서원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다. 방문객의 대부분은 鄭宗魯(17381816)와 같이 상주목에 거주하는 이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 他鄕에서는 善山에서 3인이 방문했고, 安東·金山·沃川·龍宮·聞慶에서 각각 1명씩 방문하였다. 방문자 중 鄭基煥都事를 역임한 것으로, 그리고 金義權은 生員의 신분으로 방문하였음을 성명 아래에 기재해 놓았다.
시도기에 따르면, 12월 1일부터 13일까지 옥동서원을 찾은 방문객은 총 258명이다.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64명, 趙氏 38명, 金氏 37명, 李氏 22명, 宋氏 12명, 盧氏·孫氏·呂氏 각 8명, 鄭氏·河氏 각 7명, 姜氏·康氏·權氏·琴氏·柳氏·蔡氏 각 4명, 郭氏·成氏·吳氏·全氏 각 3명, 徐氏·申氏·曹氏 각 2명, 羅氏·南氏·沈氏·韓氏·洪氏 각 1명 순으로 나타난다.
자료적 가치
서원의 追享 절차와 조선후기 서원의 인적 구성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본 돈사록에 기록된 제 집사의 임명 기록은 추향이 결정된 단계부터, 位版 제조, 추향 일시 통보, 床卓, 위판 寫版, 각종 기록, 손님 접대까지의 과정을 대략적으로 보여 준다.
돈사록에서 확인되는 제 집사는 실질적으로 옥동서원 운영에 관여했던 인사들로 보인다. 다만 추향 대상자가 황효헌황뉴인 관계로 후손인 장수황씨 일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1786년 12월 1일부터 13일까지의 방문객은 지역 사회 내에서 옥동서원이 가지는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돈사록과 시도기에 등장하는 인사들의 姓貫을 살펴보면, 장수황씨 일문을 비롯하여 豊壤趙氏·義城金氏·商山金氏·興陽李氏·廣州盧氏·慶州孫氏·星山呂氏·晉州姜氏·安東權氏·奉化琴氏 등이 옥동서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향촌 사회 내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해 나갔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追享時敦事錄

到記附
敦事錄

院長
趙安經
齋席
呂文復
李國培
代版都監
趙重鎭
造版都監

趙鎭和
執禮
孫益顯
掌饌
呂俊復
趙遇和
酒有司
呂思遇

李學誠
鄕會公事員
趙奎鎭
金彦卨
柳聖愚
曹司
姜伯欽
李敏儉

製通
盧重文
趙錫獻
洪聖天
寫通
盧光復
宋好心
姜世趾

孫必慶
柳恊春
趙述和
告由祭製祝
盧重文
趙錫獻
笏記修正有司

孫必慶
姜世趾
畜翁先生設床卓有司
李東煥
黃錫老
槃澗先生設床卓有司
宋堯心
黃趾煕

沙西先生床卓移安儒生
曹亨道
寫奉安文有司
盧光宅
孫必慶
畜翁先生寫版
鄭基煥
洪聖天

槃澗先生寫版
李體儉
姜伯欽
畜翁先生奉版
趙述和
槃澗先生奉版
黃泰熙
都廳

宋思仁
李益榮
都廳有司
李健培
孫海慶
黃豹熙
黃耳老
日記有司

黃泰熙
趙豹然
宋好心
到記有司
趙述和
黃翼熙
琴英纉
鄭鎬

金憲慶
酒監
黃弼熙
黃變熙
黃周老
行盃有司
黃悅熙
全鼎厚

黃大熙
吳珏
呂思文
黃禮熙
黃拯老
黃轅老
黃國老
鋪陳排床有司

黃允熙
黃載熙
黃載休
權尙規
鄭喆煥
接賓有司
黃敬中
黃對休

黃敬熙
黃鶴老
黃福休
輪草有司
黃遇熙
黃敏熙
黃采熙
黃夔熙

黃躋熙
黃輔熙
奴馬糧分給有司
黃敏休
黃彦休
黃蓍老

時到記丙午十二月初一日
金爾溫【汝休】善山
初二日
鄭宗魯【士仰戊午
李永運【祭司丙戌安東
初三日
權尙和【士良戊午金山
初四日

康錫履善山
成彦述【繼而丁巳善山
初八日
吳錫權【伯稱辛丑
初九日
鄭基煥【伯承壬子
初十日
趙安經【經天甲辰

呂文復【時顯己巳
李國培【忠彦己卯
趙鎭完【聖能戊戌
姜楲【君重己亥
黃景幹【應直己亥
黃命休【汝直己亥
黃聖休【象健庚子
黃國熙【溫如庚子

金東郁【文仲庚子
黃瑞熙【光國辛丑
李弘冑【大叟壬寅
黃復熙【來伯癸卯
金東哲【子明壬寅
黃處休【用五癸卯
黃臨重【大伯乙巳
呂維新【汝命乙巳

黃瀚【直甫戊申
盧徯文【後蘇戊申
黃世休【聖膺戊申
黃鎰重【百兼己酉
黃{氵+賢}【仁叔己酉
金相欽【子敬辛亥
趙奎鎭【美卿庚戌
黃載熙【德明壬子

宋思仁【子安壬子
姜世慶【士悅壬子
盧重文【汝章癸丑
黃載休【子厚乙卯
黃泰熙【幼安乙卯
盧啓心【子能乙卯
趙鎭得【聖輿乙卯
黃敬中【善餘乙卯

黃秀幹【大直丙辰
成彦述【繼而丁巳
李運和【應汝戊午
黃對休【士揚己未
趙躋和【敬汝己未
李益榮【晦而庚申
盧光宅【子安庚申
姜世趾【胤三庚申

趙遂和【公晉辛酉
盧光潤【明彦乙卯
呂俊復【穉明壬戌
趙鎭和【德華壬戌
李東時【子韶壬戌
黃積熙【壽民己未
李體浩【其天癸亥
趙述和【善之乙丑

盧啓迪【子恭乙丑
趙遇和【時會丙寅
黃翼熙【汝翼丙寅
黃孟熙【春伯丙寅
權相規【圓若丙寅
趙廷直【淸中丙寅
黃敬熙【仲穆丁卯
黃宅煥【士安癸亥

黃弼熙【士賚戊辰
權宅仁【士文庚辰
黃耳老【聃如庚午
黃豹熙【汝文辛未
琴英纘【繼彦辛未
黃鶴老【士聞壬申
黃燮熙【和萬壬申
河尙海【觀夫癸酉

全海寬【德弘甲戌沃川
黃敏休【仲訥甲戌
李健培【元剛癸酉
黃禮熙【恭職丁丑
趙道和【仲師戊寅
孫海慶【汝浩戊寅
黃極老【君方庚辰
黃眉老【洵如庚辰

吳璲【孟玉辛巳
呂思文【肅汝辛巳
呂思遇【聖叟壬午
黃國老【汝卿辛巳
黃趾熙【麟瑞辛巳
李學誠【君習壬午
黃時熙【汝純甲申
呂思璜【仲威丁亥

黃彦休【聖懲癸未
黃周老【孟鷹甲戌
黃潤址【天五辛巳
黃夏老【芝叟丙戌
黃錫老【永仲丁亥
黃潤坤【得一庚寅
黃福休【成之甲戌
十一日

趙世模【君弼己丑
孫益顯【叔謙己亥
曹顯國【士遠己亥
金性彬【天休己亥
宋珣【信寶壬寅
吳錫權【伯稱癸卯
蔡景龍【見仲甲辰
琴鳳恊【成徵甲辰

金道亨【通叔甲辰
李禧遠【受五丙午
宋思悌【子敬丙午
宋珹【成玉丁未
鄭載僑【聖友己酉
李世城【榮萬己酉
金鴻運【大卿己酉
趙如珉【幼貞庚戌

金冑寬【士敎庚戌
金相欽【子敬辛亥
趙雲慶【善之壬子
金彦卨【明五癸丑
趙錫簡【士恢癸丑
河世{氵+晉}【源明癸丑
河尙崙【澤厚癸丑
李坤宅【汝安戊申

趙台鎭【台老癸丑
李坤容【萬恢癸丑
金達龍【雲甫甲寅
李體儉【太素甲寅
徐翼萬【鵬擧癸丑
孫百恬【綏萬甲寅
黃昌熙【子順甲寅
趙鎭基【德仲丙辰

趙錫獻【士悅乙卯
金東翊【公輔丙辰
金道潤【德才丁巳
趙廷祿【景綏丁巳
趙允謙【德兼戊午
申思運【子成己未
黃麟熙【魯瑞丁巳
黃允熙【君執辛亥

黃聖熙【汝皡乙卯
金五寬【敬在戊午
趙酇【聖甫丙辰
趙旭鎭【景升庚申
趙重鎭【汝厚庚申
金達鵬【雲擧戊午
柳恊春【士彬庚申
趙世經【聖任戊午

李輝國【士能】龍宮
李德基【士光壬戌
黃鳳熙【瑞鳴壬戌
趙雲虎【士雄壬戌
金夢慶【仲得癸亥
宋思智【愚兼癸亥
金宅寬【孟柔癸亥
黃履熙【裕汝癸亥

柳道林【綏甫癸亥
孫百㤚【謹萬辛酉
金以基【德裕壬戌
宋好心【學天乙丑
宋堯心【則天乙丑
金希遂【思彦乙丑
姜伯欽【敬三乙丑
盧悌元【謹甫乙丑

孫必慶【君善乙丑
趙{炎+阝}【而鎭癸亥
孫弘慶【士能丙寅
蔡蓍文【筮郁丙寅
盧光復【子休乙丑
全得垕【季稷丁卯
趙雲馹【致遠丁卯
黃說熙【悅甫戊辰

黃大熙【泰會己巳
趙廷翼【士深戊辰
徐麟百【善應庚午
權尙儉【士宜庚午
河尙浩【順汝庚午
李敏儉【公訥庚午
柳瑚【建初辛未
宋啓周【士筬辛未

宋震昌【仁甫辛未
金鼎垕【對天辛未
李東煥【伯深辛未
金就曄【汝聖辛酉
鄭曾魯【省仲癸酉
河尙漢【君卓癸酉
趙廷虎【威彦壬申
金以城【翰裕癸酉

郭起一【致百癸酉
趙允恭【士謹甲戌
琴英績【熙彦甲戌
宋燦心【仲野甲戌
趙雲五【成之甲戌
呂齊復【周彦甲戌
趙雲岳【百瞻乙亥
宋文心【時天丁丑

康佑成【士聞戊寅
李翼遠【百勵己卯
趙命奎【聖珍己卯
趙最鎭【元甫癸酉
金重商【子敎己卯
黃遇熙【聖際戊寅
黃夔熙【堯章己卯
金敬寬【汝敎庚辰

郭翼東【春叔辛巳
河尙千【君楫庚辰
康鎭成【行源戊寅
李宗毅【汝剛庚辰
全履垕【君稷庚辰
金最曄【君善癸酉
鄭洙【士洽辛巳
黃敏熙【士訥辛巳

黃重熙【士凝壬午
黃轅老【雲章壬午
琴英絡【述彦壬午
金澤九【雲程癸未聞慶
金憲慶【仲章癸酉
黃蓍老【君贊癸未
黃采熙【明汝壬午
黃邦老【燦玉辛酉

郭翼溟【彦遊乙酉
趙璞和【琢之癸未
趙泰永【象大甲申
河尙德乙酉
黃輔熙【翼汝乙酉
呂禮復【恭彦丙戌
孫鎭璧【幼輝乙酉
黃躋熙【聖皥丁亥

十二日
李師松【君習丙申
曹亨道【義叔丁卯
金海寬【子容丁酉
成興柱【昌之戊申
鄭基煥【伯承壬子都事
柳聖愚【士顔壬子
宋思淳【厚輔甲寅

韓維海【永仲乙卯
金南燁【汝良丙辰
鄭履完【善甫己未
洪聖天【天禎甲寅
趙允佐【士良庚申
康思學【而悅庚申
沈聖文【士郁癸亥
金天燮【子明丁卯

金基萬【燦百丁卯
金應倫【天敍庚午
南履敬【子翼辛未
蔡蓍元【明遠甲子
孫鎭岳【希五庚午
金天熽【士輝癸酉
金行曄【君五戊寅
羅衡鎭【南仲丙子

李堯相【臣哉癸未
蔡蓍泰【泰吉辛巳
金宇曄【汝弘己巳
金義權【宜之庚辰】生員
黃遠熙【達甫丁丑
黃碩休【休之辛酉
申重岳【峻甫戊寅
金崇道【聖一甲申

十三日
黃信休【處祥庚寅
黃䎘希【汝羽庚辰
趙榮宅【仁遠辛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