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내용
1724~1767년 사이의 慶尙道 尙州牧 玉洞書院 院生 명부로 ‘院錄’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다. 명부는 1724·1728·1731·1732·1759·1760·1761·1764·1765년 및 1767년 봄과 가을 등 43년 동안 11회에 걸쳐 작성되었는데, 총 236명의 원생이 수록되어 있다. 옥동서원에는 본 원록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4종의 원록이 전한다. 1714년경의 원생을 수록해 놓은 명부가 가장 빠른 시기의 것이며, 본 원록은 두 번째로 빠른 것이다. 나머지 2종은 각각 18세기 후반과 19세기의 원생을 수록해 놓았다. 1714년 옥동서원이 白華書堂에서 서원으로 승격한 관계로, 본 원록은 옥동서원 초창기의 원생 명부인 것이다.
본문의 원생은 성명만이 기재되어 있다. 관직 역임자나, 生員·進士가 원생으로 입학하였을 경우 성명 앞에 해당 관직 등을 함께 기재해 놓았다. 또한 해당 연도의 명부 중 가장 앞에 수록하였다. 명부가 작성된 후 원생이 文科·武科·生員試·進士試에 급제하거나, 관직을 수여 받았을 경우에는 성명 아래에다 해당 사실을 세주로 기재하였다. 성명 위에 ‘仙’이라 세주로 기재한 것은 훗날 어느 시점, 명부를 검토하면서 사망한 원생을 표기한 것이다. 원생이 개명하였을 경우에도 성명 아래에다 개명된 이름을 세주로 기재해 놓았다.
원생의 입록은 서원에서 치러지는 享祀 때 이루어졌으며, ‘春享時加錄’ 또는 ‘秋享時加錄’이라 표기하여, 春享·秋享 어느 때 입록이 되었는지도 구분하였다. 입록이 이루어지던 당시 院任의 姓氏를 기재한 명부도 있는데, 이를 통해 옥동서원의 원임이 院長 1인, 齋任 2인 체제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1회에 걸친 명부의 작성 시기는 일정하지 않다. 1724년에 84명, 1728년에 46명이 加錄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10명 내외의 원생만 입록되었다.
연도별 명부를 살펴보면, 먼저 1724년에는 모두 84명이 입록되었다.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金氏 15명, 李氏 12명, 洪氏 7명, 高氏·申氏·曺氏·趙氏·蔡氏·黃氏 각 5명, 柳氏 4명, 宋氏·鄭氏 각 3명, 康氏· 각 2명, 姜氏·邊氏·徐氏·孫氏·吳氏·王氏·尹氏·河氏 각 1명 순이다. 관직별로 보면 郡守 1명, 縣監 1명이며, 생원과 진사도 각 1명씩 포함되어 있다. 명부 작성 후에 기재된 세주를 보면, 이 원생 중에서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1명, 진사 1명이 추가된다. 당시 원장은 權, 재임은 申·黃이었다.
1728년에는 모두 46명이 원생으로 입학하였는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金氏 10명, 成氏 8명, 李氏 7명, 趙氏 4명, 康氏·權氏·韓氏·洪氏·黃氏 각 2명, 姜氏·高氏·琴氏·呂氏·柳氏·邊氏·鄭氏 각 1명 순이다. 관직 역임자는 副率·輔德·正字 각 1명이며, 진사·생원도 1명씩 확인된다. 명부 작성 후, 원생 중 2명이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생원시와 진사시에도 각각 1명씩 급제하였음을 세주로 기재해 놓았다. 또한 參奉에 제수된 원생도 1명 있다. 당시 재임은 李·趙였다.
1731년에는 모두 8명이 입학하였으며, 성씨별로는 趙氏 3명, 金氏·蔡氏 각 2명, 李氏 1명 순이다. 당시 원장은 李, 재임 2인은 모두 金으로 확인된다. 1732년 입학 원생은 16명으로 성씨별로는 金氏·趙氏 각 3명, 黃氏·李氏 각 2명, 康氏·高氏·廉氏·申氏·鄭氏·河氏 각 1명 순이다. 1759년에는 金氏 3명, 權氏·丁氏·洪氏 각 1명씩, 모두 6명의 원생이 입학하였다. 1760년의 입학자는 金氏·趙氏 각 2명, 權氏·琴氏·盧氏·李氏·鄭氏·河氏 각 1명씩, 모두 10명이다. 1761년에는 李氏 3명, 洪氏 2명, 琴氏·南氏·柳氏·申氏·趙氏·河氏 각 1명씩 모두 11명이 입학하였다.
1764년의 입학생은 모두 16명이며, 성씨별로는 黃氏 3명, 金氏·李氏·趙氏 각 2명, 高氏·盧氏·孫氏·丁氏·鄭氏·蔡氏·洪氏 각 1명 순인데, 당시 원장은 姜, 재임은 2인 모두 李氏로 확인된다. 1765년에는 金氏 3명, 姜氏·柳氏·李氏·趙氏·蔡氏·韓氏 각 1명씩 모두 9명의 원생이 입학하였다. 1767년에는 두 번의 원생 입학이 이루어졌다. 춘향 때에는 李氏 4명, 趙氏 3명, 申氏 2명, 郭氏·金氏 각 1명씩, 모두 12명이 입학하였으며, 추향 때에는 李氏 5명, 金氏 3명, 權氏·南氏·盧氏·孫氏 각 2명, 柳氏·河氏 각 1명씩 모두 18명이 입학한 것으로 나타난다. 1767년 당시 원장은 姜으로 확인된다.
전체 입학 원생의 수는 236명인데,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金氏 44명, 李氏 38명, 趙氏 24명, 洪氏 13명, 黃氏 12명, 申氏·蔡氏 각 9명, 高氏·柳氏·成氏 각 8명, 權氏 6명, 康氏·河氏·鄭氏·曺氏 각 5명, 盧氏·孫氏 각 4명, 琴氏·姜氏·南氏·宋氏·鄭氏·韓氏 각 3명, 邊氏·丁氏 각 2명, 郭氏·廉氏·徐氏·吳氏·王氏·尹氏·呂氏 각 1명 순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서원의 인적 구성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원생은 서원에서 공부하는 학생을 지칭하지만, 서원의 중요한 인적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원생의 성격을 통해, 해당 서원이 가지는 향촌 사회에서의 위치와 운영상 특징을 유추할 수 있다.
옥동서원에 전해지는 자료 중 원생의 입학 자격에 대해 규정한 것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배향자 후손 뿐 아니라 다양한 성씨가 원생으로 입학한 것으로 보아, 상주목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러 재지사족 가문이 옥동서원 운영에 간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배향자 黃喜의 후손인 長水黃氏를 비롯해 興陽李氏·南陽洪氏·廣州李氏·奉化琴氏·義城金氏·豊壤趙氏·晉州姜氏 등이다. 그런데 배향자 全湜의 후손인 沃川全氏 일문은 1714년경의 원록에만 등장할 뿐, 본 원록에서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1714년경의 원록에는 배향자 후손인 장수황씨가 전체 원생 중 30% 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1720년대부터는 여러 성씨가 두루 분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입록자의 성분을 살펴보면 幼學뿐만 아니라, 관직 역임자도 다수 확인된다. 전직 관료를 포함하여 생원·진사, 그리고 명부 작성 후 과거에 급제하거나 관직에 제수된 원생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확인되는 시기는 1724년과 1728년 명부뿐이다. 1731년부터 1767년까지 입학한 원생 중 관직 역임자는 없으며, 세주로 과거 급제 사실을 기록한 원생도 없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옥동서원 원생의 권위가 건립 초기에 비하여 후대로 갈수록 떨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단 옥동서원에서만 나타난 현상은 아니었다. 조선후기 서원의 門中書院化와 남설, 그리고 향촌 사회 내에서의 재지사족 지위 약화라는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