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92~1752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교임안(校任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692.4721-20160630.Y1621903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주체 풍기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작성시기 1692
형태사항 크기: 26 X 20.5
수량: 15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주 풍기향교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692~1752년 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 교임안(校任案)
1692~1752경상도(慶尙道) 풍기군(豊基郡) 풍기향교(豊基鄕校)의 교임(校任) 명부다. 명부는 1689년 8월에 작성된 권급(權?)의 지(識)와 명부로 구성되어 있다. 지(識)에서는 그 동안 풍기향교의 교임 명부가 없어 안타까웠는데, 이제야 명부를 작성하게 되었다며, 교임안의 작성 경위를 간략히 언급해 놓았다.
명부에는 1692년 가을부터 시작하여, 1752년 8월까지 풍기향교 교임의 성명과 자(字), 출생 간지(干支), 행공(行公) 연(年)·월(月)·일(日)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명부 앞부분에는 1692년 이전 교임을 맡은 17명의 성명을 기재해 놓았다. 이들은 지(識)에서 권급이 언급했듯이 교임을 지낸 사실만 전해 들었고, 시기를 상고할 수 없는 인사들이다. 즉 본 교임안에는 17세기 후반부터 1752년까지의 풍기향교 교임이 수록되어 있는 것인데, 이 기간 동안 모두 126회에 걸쳐 교임이 임명되었다. 이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황씨(黃氏) 46회, 이씨(李氏) 18회, 권씨(權氏) 12회, 안씨(安氏) 10회, 김씨(金氏) 9회, 남씨(南氏)·박씨(朴氏) 6회, 정씨(丁氏)·채씨(蔡氏)·한씨(韓氏) 4회, 금씨(琴氏) 2회, 곽씨(郭氏)·장씨(張氏)·진씨(秦氏)·하씨(河氏)·홍씨(洪氏) 1회 순으로 나타난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92년부터 1752년까지의 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 校任案
자료의 내용
1692~1752慶尙道 豊基郡 豊基鄕校의 校任案이다. 별도의 표제는 확인되지 않으며, 가장 앞에 都有司 黃雲夏와 掌議 黃永八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황운하황영팔이 校任을 맡은 연도가 1877년인 관계로 훗날 본 교임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이름이 기재된 듯하다. 자료는 1689년 8월 上浣에 작성한 權?의 識와 교임 명단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급의 識에는 교임안의 작성 경위가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識에서는 먼저 公廳에는 任員이 있고, 임원이 있으면 任案이 있어야 하지만 풍기향교에는 별도의 任案이 없다고 한다. 즉, 본 교임안 이전에 별도의 교임안이 작성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조선초기 풍기군基川縣이었던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향교 교임은 전혀 확인 할 수 없다. 서원에는 院任案이 있고, 鄕廳에는 鄕任案이 있는데, 오로지 풍기향교에만 교임안이 없으니 매우 민망한 일이라고 하였다. 그런 가운데 권급이 지난 1682년 가을부터 1683년 봄까지 교임을 맡았는데, 이때 上舍 郭汝虎와 함께 교임안이 없음을 함께 안타까워했으며, 논의 끝에 이제야 교임안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전의 교임은 鄕中 長老들이 보고 들은 것이 있어서 대략적으로 알 수 있지만, 누가 어떤 해에 교임을 맡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래서 전해들은 교임의 이름을 年次에 의거해 기재해 둔다고 하였으며, 識 말미에는 교임안 작성이 끊이지 않도록 후세들이 잘 준수해 주기를 당부해 놓았다.
교임안은 상단에 성명, 중간에 해당 인물의 字와 출생 干支, 하단에 行公한 年·月·日 기재하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후기 풍기향교의 교임은 도유사 1인, 장의 1인 체제인데, 본 교임안에는 도유사와 장의의 구분이 없다. 그러나 교임의 교체시기를 볼 때, 도유사만 기재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명부 초반부에 확인되는 교임 17명 중 권급을 제외한 16명에 대해서는 행공 연월을 기재해 놓지 않았다. 앞선 권급의 識에서 언급되어 있듯이 이들은 1689년 이전, 즉 17세기 후반 어느 시기의 교임이지만 행공 시기가 명확하지 않아, 年次에 의거해 이름만 기재해 놓은 것이다. 17명 중 권급만 유일하게 행공 연월이 기재된 것은 교임안 작성을 주도했고, 직접 識를 작성한 권급 본인이기 때문이다. 한편, 권급1682년 가을부터 1683년 봄까지, 그리고 1689·1697·1699년에도 교임을 맡은 것으로 나타난다. 본 교임안에서 확인되는 교임의 임기는 일정하지 않다. 보통 1년에 2~3회의 교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는데, 春秋 大祭를 기준으로 교체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본 교임안이 제대로 작성되기 시작한 것은 열여덟 번째로 수록된 金振一부터다. 이때부터 행공 연월 또는 일자가 기재되어 있다. 김진일1692년 가을 풍기향교 교임을 맡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본 교임안은 한 갑자가 지난 1752년 8월까지 지속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확인해 보면, 17세기 후반부터 1752년 8월까지, 126회에 걸쳐 교임 임명이 이루어졌음이 나타난다. 이 기간 동안 교임을 맡은 인사들을 성씨별로 나열하면 黃氏 46회, 李氏 18회, 權氏 12회, 安氏 10회, 金氏 9회, 南氏·朴氏 6회, 丁氏·蔡氏·韓氏 4회, 琴氏 2회, 郭氏·張氏·秦氏·河氏·洪氏 1회 순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후기 향교의 인적 구성과 풍기군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특히 조선후기 재지사족들은 향교·향청·서원 운영을 주도함으로써 향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해 나갔는데, 1689풍기향교의 본 교임안 작성도 이러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朝鮮後期鄕校硏究』, 尹熙勉, 一潮閣, 1990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韓國의 鄕校硏究』, 姜大敏,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都有司黃雲夏
掌議黃永八

夫有公廳則有任員有任員則有任案擧
一國眞不皆然而吾郡鄕校則獨無任案
噫自有豊基以來卽有鄕校而基川之時
不知何人爲校任豊基升號之後不知何人爲
校▣▣想有必文行可稱之員而泯而
無▣▣惜哉噫書院有院任案鄕
廳▣▣案則鄕校獨無授任案哉不?
每▣▣然於壬戌秋參任是校常言及
▣上舍郭汝虎汝虎公亦以爲慨然令不
?識其顚末而自爾遷就未果矣歲己
已春不?又參任至其秋舍條後
?任謀求諸益始終校任案而上舍公
已下世矣山陽▣舊之懷曷勝言哉
但自前鄕中長老曾經此任之員無非
耳目所逮而非徒不知某年爲任此嫌

於擅書鄕老之名諱只以吾?輩曾
經▣▣以年次書之不?之名亦在其
中▣繼今者遵而勿失徑盡而訴
紙卷▣而加卷使後之人點閱之指示▣
某也▣某也有行某也賢某也才爲子
孫者可不傳相寶是卷哉噫無此郡
則無此校也無此校則無此其▣也然則
此卷豈不爲不朽之一助也哉屠己維
大巳荒落中秋上浣花山權?謹識

金堯相【志元癸亥
韓明彦【晦卿乙丑
安晩珪【士粹戊辰
朴施春【榮伯己巳
黃▣翊【子拳壬申
黃龍漢【天游壬申
黃立誠【誠之丙子
權?【定汝丁丑】【壬戌秋行公關去遞己巳春行公去遞】
權用鈺【平若丁丑

黃璨【仲玉己卯
黃廷烈【丕承庚辰
李慶翊【善謙庚辰
李惟達【時贊辛巳
黃琰【季玉癸未
李惟達辛未春行公】
黃璨【同年冬行公】
權用鈺壬申夏行公】
金振一【宣伯甲午】【壬申秋行公】
黃道一【景行丙戌】【癸酉冬行公】
黃處正【幼直己卯】【甲戌春行公】
黃璨甲戌秋行公】
黃道三【爾能壬辰】【甲戌冬行公】
黃處厚【載叔甲午】【乙亥秋行公】
權?【定汝丁丑】【丁丑秋行公】
李惟達【時贊辛巳】【戊寅春行公】
黃處厚【載叔甲午】【戊寅秋行公】
黃道明【汝行】【己卯春行公】

金振一己卯春】
李承祖【孝兼辛卯】【己卯春行公】
權?己卯春行公秋遞】
金振一【同年秋行公】
黃道明【汝行戊戌】【庚辰夏行公】
黃璨庚辰九月行公】
金振一辛巳正月行公】
朴履章【華伯辛卯】【同年二月行公】
南斗元【天樞己未】【同年四月行公】
韓箕錫【錫汝癸巳】【同年七月行公】
黃道明【同年八月行公】
黃處謙【君益庚寅】【壬午二月初三日行公】
蔡應海【萬濟己亥】【壬午三月卄三日行公】
黃處仁【智卿癸未】【壬午六月行公】
黃{玉+?}【華玉戊戌】【壬午閏六月行公】
丁處重【重叔癸巳】【同年八月行公】
蔡應海癸未二月行公】

黃處厚【同年九月行公】
李承祖乙酉八月行公】
金萬甲【秀五辛丑】【丙戌正月行公】
黃世郁【漢卿甲辰】【丙戌二月行公】
權景濂【濂?癸卯】【同年八月行公】
黃道宗【士元癸卯】【同年十二月十五日行公】
南斗元【天樞乙未】【丁亥四月十九日行公】
安夏範【汝錫癸卯】【同年八月行公】
琴銓【正則乙巳】【戊子正月十日行公】
李興祖【孝叔丁酉】【同年六月十日行公】
蔡應海己丑三月十五日行公】
黃道宗己丑八月二十日行公庚寅九月二十七日遞】
安夏範庚寅十一月初十日行公十二月初七日遞】
權翎【雲擧癸卯】【辛卯二月初八日遞】
黃雲亨【震休甲辰】【同年同月十二日行公】
丁處重【同年七月日行公大祭後遞】
琴銓辛卯至月初四日行任】

黃道明壬辰二月十一日行任癸巳二月大祭後遞】
黃?【章叔丙午】【癸巳二月卄三日行任甲子十二月初一日遞】
李元培【亨仲癸丑】【甲子三月十五日行任】
黃道大【應載癸卯】【同年十月十八日行公十二月十六日遞】
權景濂【同年十二月行任】
黃雲亨乙未同年六月卄四日行公】
安夏弼【君翊甲辰】【丙申二月卄日行公秋祭後遞】
安夏範丙申十月行公丁丑正月日遞】
黃裳【元吉乙卯】【丁酉六月行公大祭後遞】
黃雲亨丁酉八月十八日行任】
黃壽期【仁老乙巳】【戊戌二月十五日行任】
南昌壽【嚮?乙卯】【己亥二月初六日行任庚子二月初十日遞】
權大經【天常甲寅】【庚子二月日行公辛丑春祭後遞】
黃世矩【元方辛丑】【辛丑四月十八日行公】
安夏範
黃道大癸卯二月行公】
黃錫三【啓予乙卯癸卯十一月行公
安夏弼甲辰八月二十四日行公乙巳十二月初三日遞】

黃雲亨丁未正月初三日遞】
朴成咸【同年同月初八日行公】
河聖圖【道徵甲寅】【戊申三月二十二日行公】
李萬華【君實甲子】【同年四月日行公】
黃世範【汝式壬戌】【同年九月初四日行公】
李亨培【會仲丁巳】【己酉八月二十八日行公】
黃{甫/衣}【汝線丙寅】【辛亥正月行公】
黃命性【天之癸丑】【同年七月十三日行公】
金??【少昌乙卯】【同年十一月日行公】
黃一寧【聖徵庚申】【壬子二月日行公】
李萬華【君實甲子】【同年五月日行公】
韓景休【直甫壬戌】【癸丑正月日行公】
朴成咸【復初壬戌】【同年六月日行公】
蔡命甲【文顯乙丑】【甲寅三月初四日行公同年十二月遞】
權大來【吉夫乙丑】【乙卯正月日行公同年八月遞】
李震?【周老壬戌】【乙卯八月日行公同年九月遞】
張緯樞【台應庚子】【乙卯九月十四日行公同年十一月遞】
朴成咸【復初壬戌】【乙卯十二月行公丁巳十二月遞】

黃玉振【成汝辛未】【丁巳十二月行公】
李德鉉【台仲癸亥】【己未三月行公五月遞】
黃?【子厚甲子】【己未五月行公十二月遞】
韓景伯【康伯辛未】【庚申正月行公】
權大來【吉夫乙丑】【庚申二月日行公】
黃世重【汝信辛未】【辛未正月初三日行公】
金?翼【君翰辛未】【同年月日行公】
安灝【游伯乙丑】【同年七月日行公壬戌正月遞】
黃壽海【仲老丁卯
南昌夏【時彦戊申】【壬戌四月日行公】
丁志行【謹載辛未】【壬戌十一月日行公】
李東億【會伯辛未】【癸亥正月十九日行公】
安?【子執乙丑】【甲子正月初二日行公】
郭鎬【會萬戊辰】【甲子五月晦日行公】
李宗?【元老乙丑】【甲子八月日行公】
黃{敬/土}【重伯壬申】【同年同月行公】
南昌久【徵?癸亥】【乙丑行公】

權義時【聖能辛未】【丙寅行公】
朴成咸【復初壬戌】【丙寅行公】
秦鼎和【殷卿丁丑】【丙寅行公】
黃玉振【成汝辛未】【丙寅七月行公丁卯八月遞】
南明晉【德能戊寅】【丙寅丁卯行公】
金翼景戊辰行公】
李仁植【昌伯庚辰】【戊辰五月行公】
丁志行【謹載辛未】【己巳正月日行公】
安塋【公琰癸亥】【庚午二月日行公】
李震億【會仲庚辰】【庚午三月日行公辛未
李周?【大老丁卯】【壬申正月日行公】
洪熙遠【進叔戊寅】【壬申八月行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