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83년부터 1831년까지 비안향교(比安鄕校) 좌수향임록(座首鄕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683.4773-20160630.Y163250900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작성시기 1683
형태사항 크기: 36 X 28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안내정보

1683년부터 1831년까지 좌수들의 인명과 차임 연월을 기록한 〈좌수향임록〉이다. 문서 서두에 이대유의 서문이 있고 좌수명단에는 1683년에 장시벽의 차임을 위시하여 각 좌수 154명의 직임담당 연월을 기록하였다. 본 문서에 등재된 총 154명의 인물들의 성관을 살펴보면 장 44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이 30명, 김 24명, 박 19명, 변 18명, 우 11명, 정 7명, 조 1명 등으로 나타난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1683년부터 1831년까지 좌수들의 인명과 差任 연월을 기록한 〈座首鄕任錄〉
자료의 내용
1683년부터 1831년까지 좌수들의 인명과 差任 연월을 기록한 〈座首鄕任錄〉이다. 문서 서두에 李大有의 序文이 있고 좌수명단에는 1683년에 張是璧의 差任을 위시하여 각 좌수 154명의 職任擔當 年月을 기록하였다.
향청의 좌수와 별감은 지역 사족 중에서 선발되어 위로 수령의 업무를 보좌하는 동시에 아래로 鄕吏를 단속하고 향촌 사회를 규찰하며 사족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향임 중 최고 직임인 좌수를 담당하는 인물은 가문의 위세, 개인의 인품, 관직 역임여부 등이 모두 고려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문서와 동일한 시기의 별감들의 명부인 〈별감향임록〉에 등재된 인물들 중 적지 않은 수가 중복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좌수를 배출한 가문이 별감까지 많이 역임하고 있어 좌수가문을 중심으로 향촌사회가 운영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비안향교에 소장된 여타의 명단, 향안이나 유안, 청금록, 직임 관계 案類 등에서도 비안현의 주도적 성관의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데, 다른 문서에서 드러나는 바와 마찬가지로 17세기 이후의 비안현의 주도성관은 크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기존의 성관에서 소수의 새로운 성관이 지역사회의 운영, 관리에 참여하는 양상이 두드러지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좌수라는 직임이 가지는 특수성이 반영되어 일반적인 성관분포 보다는 인적구성의 폐쇄성이 상대적으로 짙게 나타난다.
본 문서에 등재된 총 154명의 인물들의 성관을 살펴보면 張 44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李 30명, 金 24명, 朴 19명, 卞 18명, 禹 11명, 鄭 7명, 趙 1명 등으로 나타난다. 비안 향청, 향교에 보관된 각종 자료들을 통해 살펴본 비안현의 성씨는 比屋에 박·손·장과 來姓으로 정·나씨가 있었고 安貞에 임·나·박씨와 續姓으로서 김씨가 있었다. 그리고 新坪에는 속성으로서 황·임씨외에 변·장·김·정·우씨 등이 있었다. 이러한 성관 분포는 17세기 중반 이후 비안현에서도 일반적으로 양반계층의 전반적 재산감소, 혼인에 있어서의 솔서혼속의 퇴조, 예학의 발달과 철저한 준수 등이 원인이 되어 대략 6개 성씨가 각종 案類에 등재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문서에서는 인명을 제외한 다른 사항이 부기되어 있지 않아 이들의 관직을 알 수 없지만, 영남 사림파의 중앙정계에서의 퇴보가 반영되어 17세기에 접어들면서 미관말직을 역임한 예도 극히 희소하게 나타나는 것이 비안향교에 소장된 각종 인명부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8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전국적 추세라고 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격변 속에서 양반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새로이 부를 축적한 계열이 기성의 양반가문과 함께 지역운영의 일선에 등장하였던 것이 좌수라는 직임에까지 반영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자료적 가치
한세기 반이라는 기간 동안에 향청의 최고 직임인 좌수를 담당한 인물들 154명이 기록된 문서로 같은 시기의 〈별감행임록〉과 더불어 향임들의 인적 구성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긴 시간동안의 향임들에 대해 기록을 해 놓음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직임들의 성관 분포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座首
鄕任錄
鳴呼玆邦以此屬爲色逮者
乃前朝而考其年代恩(?)(?)有
체(?)以屛山(?)邑체(?)乃我
朝而而考其年代則三百有(?)(?)
矣夫其(?)邑(?)如日(?)之久則鄕堂
之久石可?鄕堂之(?)乃有其任而上
能奉云下能正浴以鳳憲之講之則
唯幷鄕村堂(?)不重且大(?)(?)(?)
先父老約任之績平澤之遺必有
而會未留子允不歎且(?)(?)吋余
忝在鄕(?)幷滯二卷冊考其之
父先性諱約任年代(?)再玄癸(?)
以前其(?)(?)證文字以(?)(?)昭有可
(?)之(?)幷以書之(?)之行(?)(?)(?)
母孫(?)(?)而書之姓名氾其年代
以書來世千萬幸甚
靑(?)暮春之月湯城(?)人李代有
謹序
座首
張是璧 癸亥八月日差
李成矩 乙丑十二月日差
卞三進 丙寅三月日差
張斗星 戊辰六月日差
卞三近 己巳七月日差
卞三進 庚午四月日差
張斗星 壬申正月日差
卞三進 癸酉四月日差
張斗壽 甲戌五月日差
金振聲 乙亥二月日差
金文錫 乙亥五月日差
張斗壽 丙子正月日差
卞三適 丙子十月日差
張漢遇 丁丑正月日差
金泰有 戊寅三月日差
卞三達 己卯六月日差
張斗杓 辛巳五月日差
卞三達 壬午六月日差
張斗杓 乙酉八月日差
李世馣 己丑四月日差
金鼎三 庚寅六月日差
朴浩然 庚寅六月日差
金應秋 辛卯三月日差
張漢遇 壬辰四月日差
朴粲然 癸巳十二月日差
金纘曾 甲午九月日差
張漢遇 丙申三月日差
金鼎三 丁酉九月日差
張漢遇 戊戌二月日差
張世堂 乙巳十月日差
李大恒 丁未正月日差
朴壽崑 戊申四月日差
金遇兌 己酉二月日差
張五相 己酉六月日差
金遇兌 庚戌正月日差
金有秋 庚戌六月日差
李大恒 庚戌六月日差
金有秋 辛亥正月日差
卞昇和 辛亥十月日差
張翰洪 戊戌三月日差
金鼎三 戊戌十一月日差
卞有和 庚子二月日差
張世奎 庚子八月日差
金鼎三 辛丑正月日差
李大恒 辛丑三月日差
卞景和 辛丑六月日差
張世堂 辛丑十一月日差
金遇兌 癸卯十一月日差
李大恒 乙巳正月日差
李大恒 癸丑正月日差
禹錫九 乙卯二月日差
張碩奎 乙卯三月日差
鄭世龜 丙辰三月日差
禹錫九 丁巳四月日差
張世良 戊午正月日差
李大有 己未十一月日差
禹錫九 己未十一月日差
張萬奎 庚申四月日差
張五相 辛酉八月日差
禹錫九 壬戌四月日差
李大有 癸亥二月日差
張封萬 甲子十月日差
禹錫九 丙寅九月日差
張世良 丙寅十月日差
卞後和 戊辰四月日差
張封萬 戊辰五月日差
卞道益 己巳正月日差
鄭世銓 己巳五月日差
張世良 己巳九月日差
張封萬 己巳十月日差
卞廷賓 庚午八月日差
張封萬 壬申二月日差
鄭世貞 甲戌二月日差
李大春 乙亥二月日差
張世九 乙亥五月日差
張封萬 乙亥七月日差
張戶萬 丙子五月日差
鄭世銓 丁丑七月日差
禹宅夏 戊寅十二月日差
卞廷龜 己卯五月日差
張龍翼 己卯十月日差
卞廷賓 己卯十一月日差
禹宅夏 庚辰二月日差
張世九 庚辰七月日差
張封萬 庚辰十二月日差
鄭世銓 辛巳九月日差
李達中 癸未正月日差
朴天贇 甲申三月日差
張封萬 乙酉正月日差
鄭世銓 乙酉六月日差
朴鳳儀 丁亥正月日差
禹基夏 庚寅正月日差
李達中 辛卯正月日差
李大麟 辛卯六月日差
禹基夏 辛卯七月日差
張斗亨 辛卯八月日差
朴鳳儀 乙未十二月日差
卞廷權 丙申十一月日差
禹宅夏 丁酉四月日差
朴道根 丁酉五月日差
朴天擎 戊戌十二月日差
卞廷權 己亥五月日差
朴天擎 庚子正月日差
李培信 庚子四月日差
卞廷權 壬寅八月日差
李光玉 癸卯十月日差
金光涑 甲辰十二月日差
鄭世鐸 丙午十二月日差
張晙 丁未七月日差
張曄 己酉二月日差
李培信 己酉九月日差
張曄 辛亥二月日差
朴天健 辛亥十一月日差
金澈 壬子十一月日差
張再房 癸丑正月日差
李培信 癸丑三月日差
李泳 癸丑八月日差
李培信 甲寅六月日差
李涵 丙辰三月日差
朴天健 丁巳十二月日差
李培信 戊午五月日差
金澈 己未五月日差
朴光輔 庚申二月日差
張再房 辛酉正月日差
朴光素 辛酉八月日差
李培東 壬戌三月日差
金相稷 癸亥三月日差
朴光素 甲子正月日差
李湜 丙寅二月日差
朴光軾 戊辰五月日差
金相稷 庚午正月日差
朴履壤 辛未三月日差
金相稷 辛未九月日差
李培東 壬申四月日差
張顯國 癸酉七月日差
李培東 癸酉十月日差
朴履壤 乙亥七月日差
李光春 乙亥七月日差
張光五 丁丑五月日差
李碩載 戊寅二月日差
朴光履
張孝閔 己卯五月日差
張光漢 庚辰二月日差
金相九 辛巳六月日差
李楨秀 壬午正月日差
李光春 癸未十一月日差
禹尙忠 乙酉四月日差
張東翼 丙戌九月日差
朴履壤 戊子正月日差
金相九 庚寅正月日差
金宅漢 庚寅四月日差
金相九 庚寅八月日差
李寅馨 辛卯正月日差
趙顯範 壬辰三月日差
鄭世銓
別監 權在星
甲子三月旣望座首 李大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