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33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대동통일년각양출물책(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633.4723-20160630.Y1610415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내용분류: 경제-회계/금융-치부책
작성주체 영천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작성시기 1633
형태사항 크기: 36.5 X 23
수량: 17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영천 영천향교 /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안내정보

1633년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 대동통일년각양출물책(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
1633년 7월 경상도(慶尙道) 영천군(永川郡)에서 1년 동안 출물(出物)되는 각양(各樣)의 물목(物目)과 수량을 기록해 놓은 장부로 ‘대동통일년각양출물책(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이라는 제목으로 엮여져 있다. 영천향교(永川鄕校)에 소장된 자료지만, 말미에 영천군수(永川郡守)의 착관(着官)과 서압(署押)이 있어, 영천군 관아에서 작성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물목들은 진상(進上)과 공물(貢物)이라는 명목 하에 영천군이 중앙 관청과 상급 기관에 납부하는 것들이다. 본문은 진상(進上)·공물(貢物)·왜공(倭貢)·구청(求請)·병방(兵房)·군기(軍器)·좌병영납연례군정잡물(左兵營納年例軍丁雜物)·작태객입초(作?客入抄)·각관정(各官程)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진상은 영천군이 상납하는 물목과 수량을 나타낸 것이며, 공물은 중앙의 각 관청과 도내(道內) 상급 기관에 납품하는 물목의 목록이다. 왜공은 왜관(倭館)에 머무는 일본인과 사신의 접대를 위해, 구청은 일본대마도(對馬島)에서 요구하는 물목을 마련하기 위해 영천군에서 납부하는 것들이다. 병방은 진상하는 말과 마장(馬裝), 군기는 군사의 기물, 좌병영납연례군정잡물은 경상좌병영(慶尙左兵營)에서 소용되는 잡물을 마련하기 위해 영천군이 납부하는 물목이며, 작태객임초는 짐삯, 각관정은 영천군과 각 군현과의 거리를 표기해 놓은 정식(定式)이다. 본 자료에 수록되어 있는 각종 물목의 현황은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전, 한 고을이 부담하고 있던 진상과 공물의 규모를 확인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각 항목 말미에는 인정채(人情債)와 질지가(作紙價)가 기재되어 있어, 이 시기의 부세(負稅) 관행을 살펴 볼 수 있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상세정보

1633慶尙道 永川郡에서 1년 동안 出物되는 各樣의 物目과 수량을 기록해 놓은 장부
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
자료의 내용
軍旨洑년 7월 慶尙道 永川郡에서 1년 동안 出物되는 各樣의 物目과 수량을 기록해 놓은 장부다. 자료는 ‘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이라는 제목으로 成冊되어 있으며, 永川鄕校가 소장해 오고 있다. 하지만 자료 말미에 永川郡守의 着官과 署押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영천군 官衙에서 작성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본문에는 進上·貢物·倭貢·求請·兵房·軍器·左兵營納年例軍丁雜物·作?客入抄·各官程 등 出物되는 물목의 항목과 각종 定式 등을 수록해 놓았다.
進上은 1년 동안 영천군이 올리는 진상품과 그 수량이다. 진상품은 2·4·8·10월, 12월 초하루와 臘日에 安東都會로 상납되었지만, 11월에는 尙州都會로 상납되었다. 진상되는 품목으로는 乾雉·白紙·草席·片脯·去核木花 등이 있으며, 해당 물목과 수량 다음에는 折木價를 병기하였다. 진상품 중 先王後宮 몫은 상납되는 달 말미에 별도로 기재해 놓았으며, 상납할 때 소용되는 京人, 즉 京主人에 대한 人情債도 折木價로 기재되어 있다.
貢物은 중앙의 각 관청과 상급 기관에 상납되는 영천군의 각종 특산물이다. 상납되는 공물은 각 관청과 기관별로 분류되어 있다. 이중 중앙 관청으로는 奉常寺·濟用監·尙衣院·司導寺·校書館·驪州分奉常寺·司宰監·掌苑署·司贍寺·軍器寺·繕工監·內贍寺·內資寺·長興庫·惠民署·典醫監·禮曹·觀象監·工曹가 확인된다. 각 관청의 성격에 맞게 종이·약재·음식 등의 공물이 상납되었는데, 각 상납품의 수량 다음에는 折木價를 병기하였다. 각 관청에 상납되는 공물 목록 말미에도 人情債가 折木價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때의 인정채는 本司와 戶曹 두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중앙에 바쳐지는 공물은 호조에 우선 상납되었다가, 각 관청에 분배되기 때문에, 두 곳 모두 인정채를 지급했던 것이다. 이중 호조에 지급하는 인정채는 作紙, 즉 종이 값 명분으로 납부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 외 영천군의 상급 기관인 監營兵營, 그리고 營將에게 상납되는 공물의 수량, 그 折木價도 기재되어 있다. 감영에 상납되는 공물은 春等·秋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직접 상납하거나 大邱府·慶州府의 도회소로 상납하였다. 역시 상납처별로 인정채와 作紙價를 기재해 놓았다.
倭供은 倭館에 머무는 일본인에게 지급되는 물품, 그리고 일본 사신의 접대나 일본과의 무역에 쓰는 여러 가지 물품이다. 당시 영천군은 米·木·小豆·大口魚·卵·黃栗 등을 납부했는데, 대부분 식료품이다. 折木價가 기재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모두 현물로 납부된 듯하다. 倭供은 日供으로 쓰여 지는 것과 宴享 때 쓰여 지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求請은 일본對馬島의 요청으로 지급되는 물품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영천군은 白紋席·柏子·黃蜜·虎脯 등을 현물로 납부한 것으로 나타난다.
兵房은 말의 진상과 관련된 것이다. 진상하는 말 한 匹에 價木 150疋이 각 군현별로 할당 되어 있다. 이때 영천군은 木 20필을 상납하였다. 한편, 兵房條 말미에는 1632영천군司錄寺 分養馬 3필이 할당되어, 이때부터 매년 馬裝木 3필을 상납하게 되었음을 부기해 놓았다.
軍器는 영천군이 납부하는 군사의 기구다. 해당 물목으로는 西邊에 보내지는 ?衣를 비롯해 去核木花·紙衣·白厚紙가 있으며, 人情木도 기재되어 있다.
左兵營納年例軍丁雜物은 영천군蔚山府에 소재한 慶尙左兵營에 납부하는 각종 雜物의 물목과 수량을 기재한 것이다. 해당 물목으로는 인정채를 비롯해 草席·條乙所·白筆·眞墨 등이 있다.
作?客入抄에는 出物할 때의 짐삯이 물목별로 기재되어 있다. 各官程은 영천군과 도내 각 군현, 여주목·京城, 그리고 水營·統營과의 거리를 半日程에서 十日程으로 구분해 놓은 것이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 공물과 진상 상납의 실태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다. 조선 정부와 중앙의 각 관청, 그리고 도내 상급 기관은 각 군현에서 상납되는 공물과 진상품으로 운영되었는데, 이때의 물목은 군현의 규모, 특산물의 종류, 거리 등을 감안하여 배정되었다. 본 자료는 軍旨洑경상도 영천군이 공물과 진상의 명분으로 상납했던 각종 물목과 定式이 수록되어 있다. 경상도에서 大同法이 시행되기 이전, 진상 및 공물의 실제 상납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자료다. 또한 매 항목마다 人情債와 作紙價 비용도 기재되어 있어, 이 시기 負稅 관행의 일면도 살펴 볼 수 있다.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尙北道, 1991
『慶北鄕校資料集成』(Ⅰ),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1차 작성자 : 이광우

이미지

원문 텍스트

大同通一年各樣出物冊

崇禎六年七月日
一進上
二月朔安東都會
乾雉拾首折木拾疋
封裏箱子貳部折木壹疋
白木貳疋▣▣
白紙捌張折木柒尺
白厚紙拾張折木半疋
白紙肆卷折木壹疋
草席伍張折木貳拾伍尺
京人情木貳疋
先王後宮
▣▣▣白厚紙拾張折木半疋
油紙參張折木貳尺陸寸貳里伍分
四月朔安東都會
乾獐壹口折木肆疋
乾雉柒首折木柒疋
片脯柒箇折木拾肆疋
▣…▣折木半疋【乾獐一口容入】
▣胡桃壹斗貳升折木貳拾壹尺

端午親監封進
乾雉拾首折木拾疋
封裏箱子伍部折木貳疋半
白木貳疋
草席柒張折木壹疋
白厚紙伍張折木捌尺柒寸伍里
京人情木貳疋
八月朔安東都會
▣子貳斗折木壹疋
片脯參箇折木陸疋
封裏箱子貳部折木壹疋
白厚紙壹卷折木壹疋
▣…▣折木貳拾伍尺
▣…▣折木壹疋
京人情木參疋
先王後宮
胡桃壹斗捌升折木參拾壹尺伍寸【十月朔別卜定癸酉七月初七日使開▣▣】
十月令薦新安東都會【一本郡田三千七百?七結四十九卜九束出木十疋?尺】
封裏?子貳部折木壹疋【六寸內余木二疋一尺四寸固城官給次】
草席肆張折木貳拾尺【栢二十八斗折木二疋二十三尺▣…▣】
去核木花壹斤折木拾參尺壹寸貳里伍分【箱子四部折木二疋白木一疋京人情木一疋】
十一月令薦新尙州都會【?子一部折木半疋淸二升折木二十三尺四寸】
生天鵝壹首折木拾伍疋每年伍疋式之計四年一次封【進乙亥年當次進】
誕日親監封進
乾獐壹口折木肆疋
乾雉▣▣折木玖疋
封裏箱子壹部折木半疋乾獐一口容入
十二月朔安東都會
封裏箱子肆部折木貳疋
白厚紙伍張折木捌尺柒寸伍里
去核木花貳斤折木貳拾陸尺貳寸伍里
草席陸張折木參拾尺
先王後宮

京人情木壹疋
正朝親監封進
栢子貳斗柒升折木參拾壹尺伍寸
封裏箱子貳部折木壹疋
大柳?肆部折木貳疋
白木參疋
白厚紙貳卷伍張折木貳疋捌尺柒寸伍里
油紙拾捌張折木拾伍尺柒寸伍里
草席貳拾張折木貳疋參拾尺
臘日安東都會
生猪壹口折木陸疋
生雉參首折木壹疋
封裏?子壹部折木半疋
白木貳疋
白厚紙柒張折木貳拾尺貳寸伍里
草席參張折木拾伍尺
一貢物
奉常寺納
田黃蜜一斤本色
本司作紙木半疋
貢栢子壹石官備
本司作紙人情木五疋
五味子貳升五合
乾葡萄貳升五合價木柒疋半
中脯拾捌條本色價木拾捌疋【加定一貼一條一合價木八十七疋中木】
本司作紙人情幷木陸疋
白紋席伍張價木人情幷伍疋
楮常草注紙四卷價木肆疋
本司人情木一疋

貢淸伍斗【本色價木參拾貳疋】
田淸二斗六升
本司作紙人情幷木拾壹疋
?子肆升價木壹疋人情木壹疋
戶曹作紙稽留人情幷貳疋半
濟用監
田正布壹百肆拾柒疋
本司作紙人情柒拾參疋半
七升白綿布二疋價木六疋【本司作紙人情幷】
巫女輩中匠人等稅木十九疋半
本監人情作紙木五疋
戶曹作紙人情幷二疋半
尙衣院
田▣綿子六斤八兩價木五十八疋半
中綿子二十八斤二兩價木一百九十七疋
邊兒寢席二張價木六疋
本司作紙人情木一疋半
監營條疋▣八兩價木二疋半
羊毛三斤
本司人情作紙幷木三疋
戶曹作紙一疋稽留人情幷二疋
司導寺
田糠米三石十斗價木八十二疋半
本司作紙人情幷二十七疋半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
校書館

冊紙四十六貼價木四十六疋本色
本司作紙人情木二十三疋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
驪州分奉常寺
黃栗三斗五升官備
本司作紙人情木一疋
司宰監
乾猪二口價木二十疋本色
本司作紙人情幷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
掌苑署
果園結實生栗一斗六升本色
本署人情木一疋大同
戶曹人情木一疋稽留木一疋大同
司贍寺
監營條休紙二十七斤本色
戶曹人情木一疋
軍器寺
小藥線紙一卷價木二疋人情幷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
繕工監
條乙所三艮里價木六疋
本司作紙幷人情木
戶曹作紙稽留人情幷木二疋半

內贍寺
眞油一石二斗五升本色
本司作紙人情木十五疋
戶曹作紙稽留人情幷木二疋半
內資寺
粘米七斗五升
戶曹作紙人情幷木二疋半
長興庫
進獻滿花方席十張價木五十疋
本司作紙人情木六疋半
雜彩花席二十三張價木一百十五疋
本司作紙人情十五疋
滿花席三十張價木一百二十疋【本司作紙人情幷二十疋】
黃花席三十六張價木一百四十四疋
本司作紙人情木二十四疋
封裏四張付油芚九番造作
草席十八張
條乙所九艮里
常紙一百八十卷價木七疋半
貢六張付油芚五番價木作紙人情幷四十五疋
四張付油芚一番價木本司人情幷六疋
別▣上席十三張價木三十九疋
本司作紙人情幷四疋半
草常注紙十卷本色
本司作紙人情木五疋【一別卜定十月朔慶州都會納癸酉正月二十二日任▣到付】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供上草注紙價木三十四疋二十四尺二寸】
惠民署
貢拘杞子三斤價木三疋【作紙人情幷木參疋】
蘇子一斤價木一疋【作紙人情幷木一疋】
草人蔘二斤十一兩價木一百二十九疋【作紙人情幷】
牛黃一部價木拾伍疋【人情幷作紙】

蜈蚣一條價木半疋【本司作紙人情木半疋】
阿膠捌兩價木一疋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
典醫監
貢當歸一斤價木一疋【本司作紙人情一疋】
天門冬十兩價木一疋【本司作紙人情木半疋】
地骨皮二斤價木一疋【作紙人情幷木二疋】
乾地黃一斤價木三疋【人情木一疋】
車前子捌兩價木半疋【人情木半疋】
戶曹作紙半疋稽留木一疋【人情木一疋】
禮曹
進奉儀紙一卷價木八疋【貢物色】
上紙三卷價木十二疋內【二卷價木八疋二卷價木四疋大同】
中紙七卷上價木十四疋【一卷價木二疋貢物色六卷價木十二疋大同】
狀紙六卷價木六疋【二卷價木二疋貢物四卷價木四疋大同】
始定中紙一卷價木二疋【大同】
狀紙三卷價木三疋大同【作紙人情幷一疋半】
觀象監
日課紙十卷價木二十疋【貢物色】
啓目紙二卷價木八疋
作紙木半疋【大同】
人情木一疋
一春等
元卜完熟地黃代生地黃二十三斤價木二十三疋
天門冬六斤價木六疋
人蔘十二兩價木六十疋內五十疋
白芍藥一斤八兩價木三疋
山藥三斤價木三疋

一白木五斤價木一疋二十三尺三寸三里
白茯神二斤價木六疋
牛黃一部價木十七疋【京人情幷】
封裏大紅?一部具鎖?【折木二疋】
四張付油芚一番白紙二卷
油紙一卷草席二張
京人情木八疋條乙所二巨里
一別卜定白菱二兩五?改詳定價木二疋半
赤芍藥二兩價木二尺一寸八里七分
山藥十一兩價木二十四尺六里三分
白朮三斤價木一疋
麝香一部價木十二疋
監營納春等
山藥一斤價木一疋
蒼朮一斤價木八尺七寸五里
白朮一斤價木十一尺六寸六里七分
黃?四斤價木二疋
天門冬二斤價木二疋
麥門冬二斤價木四疋
半夏一斤八兩價木一疋半
杏仁八兩價木八尺七寸五里
露蜂房一部價木十尺
一秋等九司令
人蔘三兩價木十五疋
栢子仁伍兩價木二疋半
牛黃一部價木十七疋京人情幷
芎芎一斤價木二疋
茯神四兩價木二十六尺二寸五里
甘菊二兩價木四尺三寸六里五分
赤茯?七兩價木一疋十尺九寸四里

槐實四兩價木一尺四寸六里
白木四斤折木一疋十一尺六寸六里七分
白茯?五兩價木一疋十九尺七寸
京人情木二疋
西邊移送麝香一部價木十二疋
一封裏
白厚紙一卷折木一疋
大紅?一部具鎖?纓折木二疋
柳?二部
白紙二卷
條乙所二艮里
草席二立
一九月令西邊移送牛黃一部價木十七疋內
本郡木十疋二十三尺七寸
蔚山二尺八寸【今年本郡矣】
新寧三疋二十六尺五寸【自今年限五年周以復始次】
迎日二十五尺七寸
淸河一疋二十六尺三寸

▣▣退五?
▣▣一兩
工房
左兵營方物價木二十二疋六尺
慶州都會納

誕日進上油席紙十五張所造白楮六十七斤八兩每六斤折木一疋式十一疋八尺七寸五里
償役價?疋半
一正朝監營條方物鹿皮一張折木八十疋【長四尺廣二尺】從項下
封裏紅紬四幅付?一折木二疋
大厚皮紙三卷本郡所造油席紙滓楮以依前造作上使次
一冬至監營條方物進上京人情木十疋
監營納春等
持鍊紙二卷
啓本紙一卷
狀紙二十七卷
白紙七十四卷
黃毛八條
▣毛四兩
一秋等
持鍊紙二卷
啓本紙四卷
狀紙▣▣卷
白紙七十四卷
▣…▣
▣…▣
一▣▣▣▣獐皮六合大丘都會逐年納次
慶州都會納法油二斗六升
營將逐納春等
白紙三卷
▣▣▣▣
松墨二條
黃筆一柄
白筆一柄
秋等
白紙三卷

常紙二卷
松墨二丁
白筆一柄
黃筆一柄
一其人元木五百六十五疋潤朔四十五疋人情十疋作紙二疋
工曹納每▣▣▣價木十疋逐年上納人情一疋作木二疋
倭供
日供粘米七石六斗八升
木米四石
小豆五石
眞麴二十一同
淸蜜九斗五升八合【使開以今癸酉條叱分?】
大口魚三百四十尾
加定三十尾平知吉日供
活鷄一百九十四首
卵四百六十介
栢子三石二斗一升二合
黃栗七斗
生栗一石三斗七升六合【使開據今癸酉條叱分?】
宴享
太米十三石十三斗
加定三斗二十知吉▣▣條
眞米七石四斗
加定一斗二十知吉條
小豆一斗
眞油二石二升八合【使開以今癸酉條叱分?】
加定三升二十知吉條
芥子三斗五升
脯肉七貼
乾雉十首

?子一石九升
生猪四口
求請
白紋席十八張【使開以今癸酉條爲始永?】
加定花席一張
火?二柄
柏子十斗【使開以今癸酉條叱分?】
淸蜜三斗
?子四斗五升▣▣
黃蜜七升【使開以今癸酉條爲始永?】
虎▣一部
虎脯一貼
兵房
誕日進上馬一匹價木一百五十疋
馬裝作紙幷二十疋使官當次年前期三朔
本郡木二十疋
慶州木十疋
興海木二十疋受來貿馬上使看品封進次
癸酉迎日木五疋
乙亥密陽木三十疋
淸道木十疋
甲戌長?木五疋
淸河木五疋
玄風木十疋
昌寧木十疋
義興木十疋
仁同木十疋
大丘木十五疋
新寧木十疋
東萊納?求請?子一連價木二十疋
一本郡司錄寺分養馬三匹壬申年爲始上納時
馬裝木六疋
作紙木一疋半

受來時
軍器
一恒定西邊入送?衣十二領【造作內拱幷每一領木四十九尺九寸▣去核木花一斤五兩五?式】
合木十七疋三尺八寸【癸酉八月十五日到付巡使關據?永▣】
去核木花十六斤二兩【式仍存?領容入木內外拱幷拾貳疋玖尺壹寸去核拾貳斤壹兩伍?】
紙衣十七領每領內拱木十九尺四寸外衿回?古乙音幷二尺式白厚紙三張半式
合木十疋十三尺八寸【癸酉八月十五日到付改分定使關內紙衣伍領式仍存拾貳領容入紙肆拾貳丈半】
白厚紙五十九張半【內拱回絃幷木七疋十一尺八寸】
都會官納上時人情木一疋
左兵營納年例軍丁雜物
京人情木一疋
松人情木一疋
四張付油芚一番
草席一立
條乙所一艮里
巨出金一隻具環釘
大柳?一部
紅眞絲五?
白筆一柄
黃筆一柄
眞墨二丁
狀紙十張
白紙一卷
統營納正筋四兩
雉羽
監營納正筋十兩玖錢
雉羽
作?客入抄
白米壹?石九斗式
小豆
占米
眞米壹?貳石
太米
栢子
木米壹?石九斗式
眞?壹?捌同式
大口壹?五同式
生栗壹?石九斗式
淸壹?陸斗式
眞油壹?捌斗式
生猪壹?貳口式
木綿壹?貳同式
進獻席壹?三十丈
三起方物席上同
天使時席子壹?五十丈式
各官程
半日程新寧阿陽阿火慈仁?糧太常木近
一日程慶州義興安康大口?丘?慶山
一日半程軍威仁同淸道迎日架山
二日程北安義城善山靑松玄風密陽高寧?靈?星州靑河長?蔚山彦陽
二日半程昌寧陜川開寧眞寶
三日程醴泉龍宮安東靈山宜寧草溪盈德梁山居昌金山尙州
三日半程禮安知禮安陰
四日程三嘉咸安榮川奉化寧海機張東萊金海熊川昌原晉州丹城咸昌
四日半程豊基漆原咸昌
五日程泗川河東南海咸陽山陰聞慶鎭海巨濟固城
六日程昆陽昌原
九日程驪州

▣▣納正筋十五兩
雉羽
十日程京城
左水營四日程
右水營
統營五日程
一日程一支式則?太
[着官][署押]
有司趙

釋尊祭脯肉一百四十五條?醯七升五合魚脯大口十五尾
社稷祭脯肉六條
▣▣祭脯五條又五條魚脯大口五尾又五尾
▣▣脯五條魚脯大口魚五尾
城隍祭五條
?祭五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