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선조 32년(1599)부터 인조 10년(1632)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599.4790-20160630.Y1632402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작성시기 1599
형태사항 크기: X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20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용궁향교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예천 용궁향교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안내정보

선조 32년(1599)부터 인조 10년(1632)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용궁향교의 교임 구성은 대체로 도유사 1인, 장의 1~2인, 유사 2인, 전곡유사(錢穀有司) 1~2인으로 기재되어 있다. 유사는 뒷날 재유사(齋有司)로 불려지기도 했고, 전각유사는 유사나 장의가 된 적이 없고, 반면 유사는 장의를 거쳐 도유사에 이르거나 유사에서 도유사가 되기도 하였다. 임기는 대체로 1년으로 재임・중임하는 경우가 다소 있었다. 본 자료는 선조 32년(1599)부터 인조 10년(1632)까지 34년간 197명의 명단을 수록한 교임록이다. 도유사 역임자 38명의 성씨는 이씨 6명, 박・전(全)씨 각 5명, 권・안・윤・채씨 각 3명, 강・남・류・장씨 각 2명, 정씨 1명 순이다. 장의 역임자 47명의 이씨 9명, 안씨 7명, 권씨 6명, 채씨 4명, 고・류・윤・장・전씨 각 3명, 강씨 2명, 남・문・조(曺)씨 각 1명 순이다. 유사 역임자 73명 성씨는 장씨 13명, 권씨 9명, 안・이씨 각 7명, 류씨 6명, 강・채씨 각 5명, 남・전씨 각 4명, 고・정씨 각 3명, 문・윤씨 각 2명, 구・박・조(曺)씨 각 1명 순이다. 전곡유사 역임자 39명 성씨는 씨 8명, 안씨 7명, 정씨 6명, 고・현씨 각 4명, 박씨 2명, 문・송씨 각 1명 각 1명 순이다. 임진왜란 직후 용궁향교 교임의 구성・임직・임기 등 향교 인적구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입록된 성씨들은 청금록 등재된 성씨들과 일치하며 용궁향교는 교임을 정상적으로 운영되었음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韓國의 鄕校 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龍宮鄕校誌』, 용궁향교, 2004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선조 32년(1599)부터 인조 10년(1632)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향교에는 운영을 총괄하고 담당했던 직임 즉 교임(校任)이 존재했는데 바로 그 명부가 교임록이다. 현재 용궁향교에 현전하는 교임록 자료는 모두 3책으로 그 명칭을 임원록(任員錄)으로도 쓰고 있다. 교임의 명칭과 직제는 지역마다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교장(校長)・장의(掌議)・색장(色掌)을 두었는데 남부지방에서는 수임을 도유사(都有司)로 명칭 했다. 도유사 선출은 대체로 봄의 석전제(釋奠祭) 종료 후 헌관(獻官)과 유림들이 천거로 수령에게 삼망(三望)하여 택임하는 방법을 취했고, 장의와 색장은 도유사의 천거로 삼망하고 관의 택임을 받는 형태를 따랐다. 용궁향교도 이러한 방식을 따랐을 것으로 판단된다. 용궁향교의 교임 구성은 대체로 도유사 1인, 장의 1~2인, 유사 2인, 전곡유사(錢穀有司) 1~2인으로 기재되어 있다. 유사는 뒷날 재유사(齋有司)로 불려지기도 했고, 전각유사는 유사나 장의가 된 적이 없고, 반면 유사는 장의를 거쳐 도유사에 이르거나 유사에서 도유사가 되기도 하였다. 임기는 대체로 1년으로 재임・중임하는 경우가 다소 있었다.
본 자료는 3책 가운데 하나로 선조 32년(1599)부터 인조 10년(1632)까지 34년간 197명의 명단을 수록한 교임록이다. 표제에는 교임록으로 내지 첫 장에는 재임상전기(齋任相傳記)로 쓰고 있다. 좌목 구성은 직책・성명・간지(干支)・중임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다. 먼저 용궁향교 도유사 역임자 38명을 성씨별로 나누어 분류하면 이씨 7명, 박・전씨 각 5명, 권・안・윤・채씨 각 3명, 강・남・류・장씨 각 2명, 정씨 1명 순이다. 좌목에는 본관이 기입되어 있지 않아 성관을 명확하지 않지만 축산승람(竺山勝覽)에 의하면 이씨는 성주여주, 박씨는 밀양, 전씨(全氏)는 축산(竺山), 권씨는 안동, 안씨는 순흥, 윤씨는 파평, 채씨는 인천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때에는 현직 지방관이 도유사로 임명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들은 17세 초반 용궁향교 도유사를 역임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던 대표적인 가문들로 볼 수 있다. 차임인 장의 역임자 47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9명, 안씨 7명, 권씨 6명, 채씨 4명, 고・류・윤・장・전씨 각 3명, 강씨 2명, 남・문・조(曺)씨 각 1명 순이다. 말임인 유사 역임자 73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장씨 13명, 권씨 9명, 안・이씨 각 7명, 류씨 6명, 강・채씨 각 5명, 남・전씨 각 4명, 고・정씨 각 3명, 문・윤씨 각 2명, 구・박・조(曺)씨 각 1명 순이다. 끝으로 향교 재정 실무를 담당하는 전곡유사 역임자 39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김씨 8명, 안씨 7명, 정씨 6명, 고・현씨 각 4명, 박씨 2명, 문・송씨 각 1명 각 1명 순이다. 특히 정수민(鄭壽民)은 6회, 김렬(金洌)은 5회 씩 중임하였다. 이들의 성씨는 또 다른 양반 사족 명부인 청금록에 등재된 성씨들과 일치한다. 대체로 이들 성씨들이 액내 유생 나아가 교임을 독점하면서 용궁향교를 주도해 나갔던 것이다. 한편 교임의 임기는 1년이었으며 중임・재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볼 때 용궁향교는 이때까지는 향교의 운영이 교임을 중심으로 정상적으로 운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자료적 가치
본 자료는 임진왜란 직후 용궁향교 교임의 구성・임직・임기 등 향교 인적구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임란 직후 용궁향교의 교임직을 장악하고 있었던 가문은 성주여주이씨, 밀양박씨, 축산전씨(全氏), 안동권씨, 순흥안씨 등의 가문으로 파악 되었다. 이들의 성씨들은 청금록에 등재된 성씨들과 일치하며 당시 용궁향교는 교임을 중심으로 정상적으로 운영되었음을 알려 준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韓國의 鄕校 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龍宮鄕校誌』, 용궁향교, 2004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校任錄
齋任相傳記萬曆
己亥八月爲始
都有司全纘
掌議安命男
有司李應華
李焞
錢穀有司高應曙
庚子年
都有司全纘【回任】
掌議蔡天啓
有司曺潤邦
鄭榮國
錢穀有司高應曙【回任】
辛丑年
都有司朴成烈
掌議尹瀷
有司張汝洵
柳浩
錢穀有司金坦
壬寅年
都有司尹潚
掌議曺潤邦
有司全以惕
權敬中
錢穀有司玄德聞
鄭壽民
癸卯年
都有司全緈
掌議安澈
有司張汝悏
朴世雄
錢穀有司金壎
甲辰年
都有司蔡天啓
掌議李應華
有司姜奉先
權汝軾
錢穀有司宋以龍
乙巳年
都有司蔡天啓
掌議全以惕
有司安瀸
權忠胤
錢穀有司金夢呂
丙午年
都有司尹瀷
掌議張汝悏
有司具文紀
李炯
錢穀有司鄭壽民
丁未年
都有司安命男
掌議李焞
有司李應曄
安汝心
錢穀有司鄭壽民【回任】
戊申年
都有司朴成烈
掌議權敬中
有司李夢後
文郁
錢穀有司鄭壽民
己酉年
都有司全緈
掌議朴世雄
姜奉先
有司權景行
權孝胤
錢穀有司朴繼安
庚戌年
都有司全纘
掌議李炯
有司尹湯弼
權容
錢穀有司朴繼安
辛亥年
都有司朴成烈
掌議安瀸
李應華
有司張汝悏
權景行
蔡以升
錢穀有司全夢呂
壬子年
都有司朴成烈
掌議李夢後
有司權敏中
安灦
癸丑年
都有司尹瀷
掌議安溭
權容
有司姜胤先
鄭炘
錢穀有司金洌
甲寅年
都有司李灝
掌議全以悏
有司張英
尹湯聘
錢穀有司金洌【回任】
乙卯年
都有司朴成烈
掌議權汝軾
有司全泳
南礏
錢穀有司安澤民
安達孝
丙辰年
都有司李炯
掌議安溭
有司柳時茂
鄭炘
錢穀有司安達孝【回任】
金洌
丁巳年
都有司南隆達
掌議姜胤先
權景行
有司蔡以復
李正音
錢穀有司鄭壽民
柳極
戊午年
都有司李{火+亨}
掌議蔡以升
權敏中
有司張英
全泳
蔡以秦
錢穀有司鄭壽民【回任】
安德基
己未年
都有司鄭榮國
掌議文郁
蔡以升
有司蔡以秦
南碝
柳時茂
張蘊
錢穀有司玄尙眞
安居一
庚申年
都有司張汝忱
掌議權敏中
有司李正音
安琡
錢穀有司安宅
權以文
辛酉年天啓元年
都有司李灝
掌議南礏
柳時茂
有司高時衡
李慶潤
李老一
錢穀有司金洌
權以文【回任】
壬戌年
都有司姜胤先
掌議安灦
有司張蘊
蔡以漸
錢穀有司金洌【回任】
癸亥年
都有司柳浩
掌議張英
有司安琡
李老一
錢穀有司權倰良
甲子年
都有司李應華
權敬中
掌議尹湯聘
柳時茂
有司張蕙
高時恒
李慶潑
錢穀有司高是{山+別}
乙丑年
都有司李炯
掌議全泳
有司李宗培
張芝
錢穀有司高是{山+別}
丙寅年
都有司姜胤先
蔡以復
掌議高爾德
安灦
柳時茂
有司李長榮
李草
張茂
柳元啓
錢穀有司安德基
丁卯年
都有司權敏中
掌議李正音
有司姜連先
南孝誠
錢穀有司文榮達
戊辰年
都有司南礏
張汝恂
掌議高爾德
李老一
有司全瀚
李地久
高世豪
安敬
錢穀有司玄裕道
己巳年
都有司安溭
掌議安琡
蔡以漸
有司張芬
柳元賚
錢穀有司玄裕道【回任】
庚午年
都有司柳浩
掌議張蕙
高是恒
有司南孝誠
李馨久
錢穀有司孫纘元
辛未年
都有司權景行
掌議李長榮
有司姜演
安瑞敬
李慶潑
柳元賚
權佶
文以博
錢穀有司孫纘元
壬申年
都有司安溭
掌議李老一
有司張芝
姜演
錢穀有司孫纘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