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정조 23년(1799)부터 순조 14년(1814)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0000.4790-20160630.Y1632402004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작성주체 함창향교
작성지역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형태사항 크기: X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48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예천 용궁향교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예천 용궁향교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안내정보

정조 23년(1799)부터 순조 14년(1814)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본 자료는 정조 23년(1799)부터 순조 14년(1814)까지 16년간 204명의 명단을 수록한 교임록이다. 표제는 결락되어 없으며 좌목 구성은 직책・성명・간지(干支)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다. 먼저 용궁향교 도유사 역임자는 111명이다. 이들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25명, 정(鄭)씨 18명, 안씨 13명, 송씨 12명, 윤씨 11명, 전(全) 7명, 장씨 6명, 김・남・류씨 각 3명, 고씨 2명, 구・조(曺)・채・현씨 각 1명 순이다. 차임인 장의 역임자 109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27명, 전씨 17멍, 정씨 13명, 안・윤씨 각 9명, 고씨 6명, 강・남・반・홍씨 각 4명, 장씨 3명, 류・박・채씨 각 2명, 김・신・현씨 각 1명 순이다. 말임인 재임・재유사 역임자 204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정씨 37명, 이씨 35명, 안・윤・전씨 각 18명, 남씨 13명, 류씨 12명, 강・채씨 각 7명, 반・홍・현씨 각 5명, 권씨 4명, 김・신시 각 2명 순이다. 기존 교임록에 비해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교임 구성 중 전곡유사(錢穀有司)의 명칭 삭제, 현직 지방관 도유사 임명, 임원의 재임・중임 자주 등장 등 이 시기 향교의 향촌유림의 공동체적 내지 향촌자치제적 성격이 점차 감소되면서 그 만큼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韓國의 鄕校 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龍宮鄕校誌』, 용궁향교, 2004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정조 23년(1799)부터 순조 14년(1814)까지 용궁향교(龍宮鄕校)에서 작성한 교임록(校任錄)
자료의 내용
조선시대 향교에는 운영을 총괄하고 담당했던 직임 즉 교임(校任)이 존재했는데 바로 그 명부가 교임록이다. 현재 용궁향교에 현전하는 교임록 자료는 모두 3책으로 그 명칭을 임원록(任員錄)으로도 쓰고 있다. 교임의 명칭과 직제는 지역마다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교장(校長)・장의(掌議)・색장(色掌)을 두었는데 남부지방에서는 수임을 도유사(都有司)로 명칭 했다. 도유사 선출은 대체로 봄의 석전제(釋奠祭) 종료 후 헌관(獻官)과 유림들이 천거로 수령에게 삼망(三望)하여 택임하는 방법을 취했고, 장의와 색장은 도유사의 천거로 삼망하고 관의 택임을 받는 형태를 따랐다. 용궁향교도 이러한 방식을 따랐을 것으로 판단된다. 용궁향교의 교임 구성은 대체로 도유사 1인, 장의 1~2인, 유사 2인으로 기재되어 있다. 유사는 뒷날 재임(齋任)・재유사(齋有司)로 불려지기도 했고, 전각유사는 유사나 장의가 된 적이 없고, 반면 유사는 장의를 거쳐 도유사에 이르거나 유사에서 도유사가 되기도 하였다. 임기는 대체로 1년으로 재임・중임하는 경우가 다소 있었다.
본 자료는 3책 가운데 하나로 정조 23년(1799)부터 순조 14년(1814)까지 16년간 424명의 명단을 수록한 교임록이다. 표제는 결락되어 없으며 좌목 구성은 직책・성명・간지(干支)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해 두고 있다. 먼저 용궁향교 도유사 역임자는 111명이다. 이들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25명, 정(鄭)씨 18명, 안씨 13명, 송씨 12명, 윤씨 11명, 전(全) 7명, 장씨 6명, 김・남・류씨 각 3명, 고씨 2명, 구・조(曺)・채・현씨 각 1명 순이다. 좌목 내 본관이 기입되어 있지 않지만 축산승람(竺山勝覽)에 의하면 상위권 성씨들의 경우 이씨는 성주여주한산, 정씨는 청주・동래, 안씨는 순흥, 윤씨는 파평, 전씨(全氏)는 축산(竺山)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들은 19세 초반 용궁향교 도유사를 역임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던 가문들로 볼 수 있다. 이중 용궁현감 전헌조(全獻祚)・송경재(宋景載)・조용완(曺龍玩)・송계수(宋啓洙) 등 현직 지방관이 도유사로 임명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차임인 장의 역임자 109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이씨 27명, 전씨 17멍, 정씨 13명, 안・윤씨 각 9명, 고씨 6명, 강・남・반・홍씨 각 4명, 장씨 3명, 류・박・채씨 각 2명, 김・신・현씨 각 1명 순이다. 말임인 재임・재유사 역임자 204명을 성씨별로 분류하면 정씨 37명, 이씨 35명, 안・윤・전씨 각 18명, 남씨 13명, 류씨 12명, 강・채씨 각 7명, 반・홍・현씨 각 5명, 권씨 4명, 김・신시 각 2명 순이다. 본 교임록에 나타나는 성씨는 기존 교임록과 동일하다. 그러나 기존 교임록과 비교해 보면 많은 변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교임의 구성에 있어 전곡유사(錢穀有司)의 명칭이 등장하지 않고 동일한 명칭이긴 하지만 유사 대신에 재임・재유사로 명명되고 있다. 그 인원은 17세기와 마찬가지로 장의는 1명, 유사는 2명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여건에 따라서는 장의 2명, 유사는 3~5명이 임명되는 경우도 있었다. 전곡유사가 기재되지 않는 것은 이들의 신분과 관련하여 기재하지 않았던지 아니면 재유사 중에서 그 직임을 대행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교임록에 있어 18세기 중반 이후의 가장 큰 변화는 교임의 임기가 크게 단축되고 도유사로 현직 지방관이 임명되는 경우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시기에 오면 교임은 재임・중임하는 경우가 자주 보이며 1년 4~5회 많으면 8~10번까지 교체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지방관의 도유사로 임명된다. 이 같은 변화의 양상은 19세기 중반 용궁향교 임원록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 이 같은 현상은 여타 향교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 시기 향교의 향촌유림의 공동체적 내지 향촌자치제적 성격이 점차 감소되면서 그 만큼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자료적 가치
본 자료는 18세기 후반 및 19세기 초반 용궁향교 교임의 구성・임직・임기 등 향교 인적구성과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교임록이다. 기존 교임록에 비해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교임 구성 중 전곡유사(錢穀有司)의 명칭 삭제, 현직 지방관 도유사 임명, 임원의 재임・중임 자주 등장 등 이 시기 향교의 향촌유림의 공동체적 내지 향촌자치제적 성격이 점차 감소되면서 그 만큼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韓國의 鄕校 硏究』, 강대민, 경성대출판부, 1992
『朝鮮後期 鄕校 硏究』, 윤희면, 일조각, 1991
『龍宮鄕校誌』, 용궁향교, 2004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戊申六月日
都有司李宇燮
掌議蔡▣民
齋有司
八月日
都有司安鋧
掌議殷憲
齋任全熙文
鄭光琇
李商雨
鄭仁勗
鄭必升
己酉正月日都有司李龍起
掌議鄭光獻
齋任南瑞龍
鄭仁勗
三月 都有司李在謙
掌議金性采
齋任南瑞龍
鄭仁勗
四月日都有司李天燮
掌議金獜采
齋任鄭萊成
朴漢樞
九月日都有司鄭楨
掌議金獜采
齋任南瑞鳳
李是奎
十日月日都有司李重{禾+翼}
掌議鄭杰
齋任姜禹圭
洪樂潤
十二月日都有司高相傳
掌議鄭杰
庚戌正月日都有司南聖和
掌議李時達
齋有司南朝潤
高鶴天
鄭光顯
全熙純
三月日都有司鄭檖
掌議安彦衡
四月日都有司尹佸
掌議安彦衡
五月日都有司姜壽南
掌議鄭必珏
八月日都有司姜馥祖
掌議鄭必珏
九月日都有司全明采
掌議李時埈
齋任李時{王+詹}
南天萬
庚戌十月日都有司安鼎夏
掌議張國良
齋有司李時培
李達仁
辛亥九月日都有司張翰
掌議安學敏
齋有司金星應
十二月都有司張翰
掌議李增泰
齋有司安景埴
權寅
李成烈
壬子都有司安國賓
掌議李增泰
齋有司申思黙
八月日都有司具㷜
掌議李增泰
齋有司安鼎履
張東俊
癸丑二月日都有司張再良
掌議文龜昕
齋有司李增顯
三月日都有司張再良
掌議高起憲
齋有司李增顯
八月日都有司安鼎赫
掌議高起憲
齋有司李增顯
鄭尙濂
甲寅正月日都有司文禹圭
掌議張國良
齋有司鄭尙濂
金時運
六月日都有司全獻祚
掌議李章瑀
齋有司李時瓘
鄭昌祿
尹汝瓚
鄭亨文
乙卯二月日都有司全獻祚
掌議鄭必奎
金熙喆
齋有司安樂濂
潘馨俊
鄭必儼
高起煥
丙辰正月日都有司李天燮
掌議高起道
齋有司鄭必儼
高起煥
二月日都有司南履中
掌議安景濂
齋有司高起煥
申宅敎
六月日都有司鄭{木+成}
掌議尹商憲
齋有司蔡光奎
安霽濂
七月日都有司姜希祖
掌議李是璠
齋有司蔡光奎
安霽濂
七月日都有司鄭述
掌議全性采
齋有司蔡光奎
安霽濂
八月日都有司鄭述
掌議全性采
齋有司姜啓臣
蔡光奎
安思源
南朝郁【大享時】
丁巳二月月日都有司李輝玉
掌議鄭必昇
齋有司安思源
南朝郁
三月日都有司李天燮
掌議姜錫圭
齋有司鄭光馹
玄聖述
四月日都有司鄭杓
掌議洪宗潤
齋有司鄭光馹
玄聖述
五月日都有司安錥
六月日都有司全獻祚
掌議洪宗潤
齋有司鄭光馹
潘應運
七月日都有司洪宇燮
掌議高起德
齋有司鄭光馹
潘應運
八月日都有司尹光憲
掌議潘應慶
齋有司南瑞麟
蔡宗奎
鄭光相
柳昌祚
九月日都有司鄭必漸
掌議李貞燮
齋有司柳昌祚
柳翊憲
鄭昌駿
十月日月日都有司安鋐
掌議鄭必睦
尹僑
齋有司柳昌祚
柳翊憲
十一月日都有司安鋐
掌議高挺崙
齋有司張光益
李英耆
鄭光度
戊午二月日都有司李重秊
掌議鄭必仁
齋有司洪宗沃
李奎鎭
八月大享時
日都有司李重秊
掌議全熙萬
齋有司洪宗沃
李奎鎭
都有司尹儀
掌議安思璿
齋有司全元采
南朝運
安挺采
戊午十二月日都有司李恒燮
掌議李鎭台
齋有司鄭必瓚
鄭光臣
全熙誠【改普】
己未三月日都有司申光勳
掌議李鎭台
齋有司鄭必瓚
尹壁憲
五月日都有司鄭必巽
掌議金熙吉
齋有司李尙宲
全熙玉
尹昌烈
己未八月 大享時
都有司鄭必巽
掌議全熙吉
齋有司李尙宲
尹昌烈
己未九月
都有司李九燮
掌議鄭必純
齋有司朴漢極
尹汝頊
庚申九月 大享時
都有司李九燮
掌議鄭必純
齋有司朴漢極
尹汝頊
三月日都有司柳恒春
掌議尹汝璿
安得濂
洪宅九
齋有司鄭昌祚
李商旭
四月日都有司李東燮
掌議洪宅九
齋有司鄭昌祚
全熙誠
六月日都有司全錫采
掌議南瑞龍
齋有司李尙敬
安挺魯
辛酉二月都有司全錫采
掌議南瑞龍
齋有司尹箕憲
安挺魯
都有司尹灝
四月日都有司姜繼祖
掌議南朝喆
齋有司高夢匀
李奎鎭
都有司李輝遠
掌議姜禹圭
齋有司鄭光琭
李奎鎭
五月日
都有司安鼎謙
掌議李時珉
齋任南安國
張光益
全熙一
辛酉十月日都有司安聖濂
掌議金光垕
齋任鄭光燮
李尙愚
十一月日都有司安聖濂
掌議尹穆憲
齋任鄭光燮
全熙誠
柳起漢
壬戌正月日都有司宋景載
掌議尹穆憲
齋任李奎鎭
柳起漢
二月日都有司宋景載
掌議李淵道
齋任鄭光壁
玄聖昌
五月十五日 楚香時
都有司宋景載
掌議高起德
八月日秋享時都有司宋景載
掌議柳增
齋任李尙晦
安挺魯
都有司宋景載
掌議李華燮
齋任潘聲俊
尹汝瑍
癸亥二月日都有司宋景載
掌議李華燮
齋任全熙一
尹汝瑍
閏二月初一日楚香時
都有司宋景載
掌議南朝顯
齋任全熙一
尹汝瑍
四月日都有司縣監宋景載
掌議全熙弼
齋任鄭光春
李尙德
八月 大享時 都有司縣監宋景載
掌議全熙弼
齋任鄭光春
李尙德
九月日都有司縣監宋景載
掌議李時玉
齋任姜履正
鄭昌欽
十一月日都有司鄭必誠
掌議李是玉
齋任姜履正
鄭昌欽
甲子正月日都有司李是珩
掌議安景復
齋任尹衡東
權養性
二月日都有司高挺岳
掌議尹汝璋
齋任姜之圭

三月日都有司尹德述
掌議李淵博
齋任

同月日都有司李積和
掌議全熙魯
齋任鄭昌麟
蔡勖東
八月日都有司李積和
掌議全熙魯
齋任蔡勖東
同月日都有司安{金+寶}
掌議鄭仁勖
齋任
都有司尹儻
掌議李是{王+詹}
齋任
九月日都有司鄭春熙
掌議安思漝
齋任
十一月日都有司柳弘祚
掌議鄭光馹
齋任金尙儒
柳起河
李淵溥
鄭俊
柳起河
乙丑六月日都有司李師燮
掌議鄭光顯
朴漢樞
南瑞鳳
齋任金是鍊
李益燮
七月日都有司李致梅
掌議潘益峻
朴漢樞
齋任鄭宗裕
安挺宅
八月日都有司鄭杰
掌議李膺燮
齋任南始一
全熙有
李尙鷹
高夢胥
丙寅三月日都有司鄭杰
掌議柳昌祚
齋任金熙有
安思儼
同月日都有司鄭衡相
掌議李尙翼
齋任李尙睦
鄭哲欽
八月大享時都有司鄭光國
掌議李淵復
齋任安挺奎
高夢乙
九月日都有司李章頊
掌議尹翊憲
十一月日都有司金熙亨
掌議鄭必儼
齋任潘克峻
李尙鷹
丁卯正月日都有司尹{亻+勉}
掌議鄭萊成
齋任李章㻐
鄭光周
三月日都有司蔡希聖
掌議鄭光朝
齋任南始一
安挺九
掌議潘應運
都有司曺龍玩
掌議安思源
齋任鄭{亻+奎}
高起達
戊辰二月日都有司李章瑀
掌議尹汝瓚
齋任玄運黙
南仁壽
尹汝{王+式}
掌議鄭寅熙
全聖垕
十一月日都有司柳埈
掌議張是良
齋任洪宗九
全緯奎
己巳二月日都有司安正濂
掌議蔡光奎
齋任鄭光熙
尹汝琦
三月日都有司尹邦憲
掌議蔡光奎
齋任全九鍊
李章珀
八月日都有司鄭必珏
掌議李英耆
齋任李尙英
九月日都有司全熙東
掌議李章五
齋任李尙英
庚午二月日都有司金熙東
掌議安行濂
齋任李尙中
九月日都有司李淵愚
都有司李淵愚
辛未二月日都有司安{金+堇}
掌議全熙一
齋任
三月日都有司尹{亻+宏}
掌議姜履運
齋任
八月日都有司高起宗
掌議姜履運
齋任鄭光周
全錫永
都有司尹必憲
掌議全熙普
齋任李雋耆
李章珀
九月日都有司尹必憲
掌議鄭昌俊
齋任李雋耆
李章珀
壬申二月日都有司安師濂
掌議申宅敎
齋任尹宅憲
柳進睦
五月日都有司李時瑗
掌議鄭光辰
齋任尹宅憲
柳進睦
八月日大享都有司李時瑗
掌議鄭光辰
齋任尹宅憲
柳進睦
十二月日都有司鄭必潤
掌議李淵樂
齋任全尙鍊
安石重
癸酉二月日都有司金性采
掌議李淵樂
齋任全尙鍊
安石重
癸酉月日都有司宋啓洙
掌議鄭昌發
齋任高夢豹
癸酉八月大享時
都有司宋啓洙
掌議李尙任
齋任高夢豹

甲戌二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