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계사년 비안향교(比安鄕校) 향청신구기물도안(鄕廳新舊器物都案)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0000.4773-20160630.Y1632512003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작성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형태사항 크기: 30.5 X 27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안내정보

계사년 6월에 작성환 비안향교 소장 《향청신구기물도안》으로 향청의 물품조달 내용을 열기한 것이다. 삼임의자포, 본소, 식모, 마료를 위한 복호와 옹기, 지초, 계방전, 신임전배전, 매삭의 지, 삭혜, 석가, 창호지 등을 관가나 각 동의 점, 장인, 용흥사, 고자, 장무서원, 본소, 서창, 옥련사, 강무당 등의 예납, 당, 예급으로 해결하였다. 총 16면으로 구성된 문서로 12면에는 각청세의질이 있고, 14면에는 예급조가, 15면에는 읍시상하장 지세전을 매년 각 2전 5분식 징수한다고도 한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癸巳년 6월에 작성한 것으로 향청의 물품조달 내용을 列記한 비안향교 소장 《鄕廳新舊器物都案》
자료의 내용
癸巳년 6월에 작성한 비안향교 소장 《鄕廳新舊器物都案》으로 향청의 물품조달 내용을 列記한 것이다. 三任衣資布, 本所, 食母, 馬料를 위한 卜戶와 甕器, 芝草, 稧防錢, 新任錢培錢, 每朔의 紙, 朔鞋, 席價, 窓戶紙 등을 官家나 각 洞의 店, 匠人, 龍興寺, 庫子, 掌務書員, 본소, 西倉, 玉蓮寺, 講武堂 등의 例納, 當, 例給으로 해결하였다. 총 16면으로 구성된 문서로 12면에는 各廳歲儀秩이 있고, 14면에는 例給條가, 15면에는 邑市上下場 地貰錢을 매년 각 2戔 5分式 징수한다고도 한다.
향청은 조선시대 지방의 수령을 자문, 보좌하던 자치기구로 조선 초기에 설치된 留鄕所를 임진왜란 이후 대개 향청이라 불렀다. 본래 설치 목적은 지방의 악질 鄕吏를 규찰하고 鄕風을 바르게 하는 등 향촌교화를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점차 위엄을 세우는 기관으로 변해 작폐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더구나 수령권과의 충돌로 여러 차례 설치와 폐지를 거듭하게 되었다.
그 뒤 士林派가 정계에 진출하면서 1488년(성종 19) 성리학적 향촌 질서를 확립함과 동시에 자기들의 세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다시 설치하였다. 다시 설립된 유향소는 鄕射禮·鄕飮酒禮를 실시하는 기구로서 기능하였다. 또한 향촌내의 불효·부제·불목·不任恤한 자 등 향촌 질서를 파괴하는 자들을 통제해 향촌 교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중앙의 현직 관리로 京在所堂上을 삼아 그들의 入鄕 유향소의 座首를 임명하게 하고 통제하도록 함으로써 勳舊派 재상들이 대부분의 유향소를 장악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비리가 속출하였다. 그리하여 훈구세력이 자연 도태되고 사림이 중앙 정계를 완전 장악한 선조 때부터 정비를 가해 마침내 1606년(선조 36) 경재소를 혁파하였고 좌수 임명권도 수령에게 넘겼다. 이로써 유향소는 그 성격이 크게 달라져 수령 휘하에서 그를 보좌해 행정 실무의 일부를 집행하는 기구가 되었다. 이때부터 명칭도 향청 또는 貳衙라 하였으며 좌수는 수령의 수석보좌관이 된 셈이었다.
이제 좌수는 면·이 향임들의 인사권을 가지고 각종 송사를 처리하며 환곡을 취급하는 등 지역 민생의 안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임무를 띠게 되었다. 따라서 좌수를 비롯한 향임들에 대한 향촌사회에서의 수요는 증가하였고, 특히 향임 중 최고 직임인 좌수를 담당하는 인물은 가문의 위세, 개인의 인품, 관직 역임여부 등이 모두 고려되었다. 일반적으로 좌수를 배출한 가문이 별감까지 많이 역임하고 있어 좌수가문을 중심으로 향촌사회가 운영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통상 향청의 조직은 그 대표자격인 좌수와 그 아래 보조기관인 2~5명의 별감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비안의 경우, 좌수 1인, 좌우별감 각 1인 등 총 三任이 있었다. 그리고 향임들의 임기가 대체로 2년이었으나 별도의 사항이 기록되지 않아 명확한 임기는 밝혀놓고 있지 않다. 좌수는 그 지역에서 덕망이 높고 나이도 지긋한 자들 중에서 주민에 의해 임명되었다. 그러나 임란 이후에는 향청이 견제기관에서 보좌기관으로 그 기능이 약화되면서 임원들은 수령에 의해 임명되는 임명제로 바뀌게 되었다.
본 문서에서는 좌수나 별감 등을 별도로 부기하고 있지 않아 문서가 작성될 당시의 향임들의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내용은 없으나, 향청이 담당하는 업무들에 관한 일종의 분장표로서 다양한 일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자료적 가치
작성연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향청에서 다뤄지는 임무들에 관한 시행사항을 상세하게 밝혀주는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향청 운영에 있어 재정적 뒷받침에 관한 사항들도 일일이 기록되어 있어 향촌사회 운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비안현 인근의 관계 기관들을 엿볼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癸巳六月日
鄕廳新舊器物都案
■…■
一 市所 卜戶 八結 ■…■
一 食母 卜戶 十三結 官家給
一 馬料 卜戶 九結
一 三任前 春秋例納 甕器七坐式
一 三任前 朔鞋一斗 各■■里式 下洞匠人納
一 三任前 春秋例納 芝竹各一苞式 酒谷納
一 稧防錢 春秋等各伍兩式 安心里
一 新任錢 陪錢壹兩 副鄕所納
一 每朔紙 壹卷式 龍興寺納
一 三任衣資布卜戶 各四結式
一 本所卜戶 八結
一 食母卜戶 十三結
一 馬料卜戶 九結 官家給
一 三任前春秋例納 甕器七坐式 ■■店
一 三任前春秋例納 芝草各一苞式 陋各納
一 三任前朔鞋一年各二斗里式 下洞匠人納
一 稧防錢 春等八兩內 秋等八兩 安心里
一 首任前春秋■…■
一 新任錢陪錢一兩 副鄕所納
一 每朔紙一卷式 龍興寺納
一 春秋等席價合 壹兩壹戔式 光山里正月納
一 三任前兩胃 各一柄式 玉蓮寺納價錢 一戔式出給
一 年還開倉時兩倉庫子進旨次 一兩式
一 三任前東西倉庫子皮年 各壹石式例納
一 東倉監前東倉色皮年 壹石式例納
一 西倉監前西倉色皮年 壹石式例納
東倉色年還条八兩式納自 乙亥爲始
一 西倉監前西倉庫子皮年 壹石例納
一 官廳監春需米壹石秋需米 柒斗五刀式庫子例納
一 秋還開倉時東倉庫子進旨上
一 西倉庫子進旨条代錢 壹兩納
一 三任前東西庫子正 壹石式例納
一 東倉監前東倉色大米 壹石例納
一 西倉監前西倉色大米 壹石例納
一 西倉監前西倉庫子正 壹石例納
一 大同監前大同色正 壹石例納
一 首位末任前大同米 壹石式 大同庫子例納
一 考卜後甘吐價 貳兩伍戔式 掌務書員例納
一 秋成後窓戶紙捌丈 玉蓮寺例納工房例納
一 田結都監前 參拾結伍卜內 壹結都書員納 貳結伍拾卜 掌務書員納
一 兩別監前例卜貳拾負式 掌務書員納
一 戶籍色都監前式年錢文 五兩式例納
一 首任前訓練色木 貳疋式例納
一 三任前貰結兵房色上納後草匣 壹件■式例納
一 三任前大同色上納後草匣 壹件針壹封例納
一 三任前醫生春秋等封藥後竹 壹柄俱竹例納
一 三任前戶籍色磨勘後竹 壹柄式式年例納
一 都書員田結磨勘後三任前 各竹壹柄俱竹例納
一 訓練色上納後三任前 各草匣壹件式例納
一 東倉色西倉色穀簿磨勘後三任前竹壹柄 俱竹例納
一 三任前栗藪封栗後參斗式例納
一 本所歲儀例捧伍兩伍戔內 壹兩伍戔 掌務書員納
壹兩 外北書員納
壹兩 身東書員納
壹兩 定東書員納
壹兩 三里書員納
一 冬至大禮擧案紙 陸丈 兩寺例納
一 正朝大禮擧案紙 陸丈 兩寺例納
一 三任前春秋等箕壹件式 外北匠人例納
一 曾經首任前歲儀各兩種式 本所當
一 曾經首任初喪時賻儀壯紙 貳丈白紙壹束 本所當
奉安使覺華站行時 錢肆兩
一 聞慶站行時 錢參兩
一 奉化站行時 錢參兩 副鄕所各各當
一 上京行時 錢柒兩
一 通信使站行時 從遠近或柒兩 或五兩式
一 巡營行時 錢陸兩
馬太 貳斗
粟 貳斗 西倉當
又壯紙 參丈
厚白紙 拾丈
油紙 參丈
麻鞋 參巨里
草鞋 肆巨里 龍興寺當
又壯紙 參丈
厚白紙 拾丈
油紙 參丈 玉蓮寺當
麻鞋 參巨里
草鞋 肆巨里
又生雉 壹首
馬太 壹斗
小米 壹斗 陋谷當
又生雉 壹首
馬太 壹斗
小米 壹斗 金堂里當
又卜馬貰壹 本所當
又陪行軍官 一名 講武堂當
又生栗 壹斗
戒服 壹件
靑帶 壹巨里
笠錦 壹部
虎鬚 壹部
韓刀 壹柄
靴 壹巨里
馬鞕 壹柄
一 歲除夜擧火伍冊 陋谷里納
一 結歛錢參拾兩 結歛例納
一 年還捧■時鷄六首西倉所屬各里例納
各廳歲儀秩
首位前兩公兄 三兩種式
都書員 四種式
東倉色 三種式
西倉色 三種式
大同色 兩種式
兵房色 兩種式
戶籍色 兩種式
講武堂 兩種式
吏兵廳 兩種式
稅抄色 單種式
官廳色 單種式
田結都監前掌務書員 三種式
定北書員 單種式
兩別監前兩公兄兩種
東西倉色 兩種式
都書員 兩種式
大同色 兩種式
兵房色 單種式
戶籍色 兩種式
官廳色 單種式
稅抄色 單種式
例給条
一 年還捧上時通引 貳石
使令 壹石
率吏 壹石
吸唱 半石
庫子 壹石
食母 壹石 本所區處兩色穀無則式
一 租還捧上時
通引 參石
使令 壹石
率吏 貳石
庫子 壹石
食母 壹石
邑市上下塲地貰錢每市各貳戔伍分式
[手決] [手決] [手決] [手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