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을사년(乙巳年) 비안향교(比安鄕校) 향교대장(鄕校大帳)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0000.4773-20160630.Y16325120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작성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형태사항 크기: 44.5 X 29
수량: 1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의성 비안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안내정보

을사년 4월에 작성된 비안향교 〈향교대장〉으로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학위전답에 관한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비안향교에 학전으로 지급된 토지를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각기 전답에 대한 등급과 장광, 결부수를 기록하고 있다. 본 문서가 작성될 당시의 비안향교 학전은 비안현 관내 7개면에 분포된 전답은 모두 9결 74부 6속이다. 이와는 별도로 문서 말미에 있는 학위전답을 합하면 6결 51부 1속이지만 각 면민 학위 3결 4부 2속을 제하면 실제 3결 46부 9속이 되는데 매년 세소에서 추봉한다고 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상세정보

을사년 4월에 작성된 비안향교 〈향교대장〉으로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학위전답에 관한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
자료의 내용
乙巳年 4월에 작성된 비안향교 〈鄕校大帳〉으로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學位田畓에 관한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비안향교에 學田으로 지급된 토지를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각기 전답에 대한 등급과 長廣, 결부수를 기록하고 있다. 본 문서가 작성될 당시의 비안향교 학전은 비안현 관내 7개면에 분포된 田畓은 모두 9結 74負 6束이다.
조선시대 향교의 경제적 기반으로는 우선 향교전과 향교노비를 들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초부터 토지와 노비를 郡縣의 격에 따라 차이를 두고 각 향교에 분급하였다. 향교전은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太宗代부터 정식으로 책정되었다. 즉 태종 6년에 각 향교의 田地가 釋奠祭享을 위한 祭田과 향교교생의 교육을 위한 廩田(學田)으로 구분되어 책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선 초기에 전국 각 향교에 책정된 전지가 곧바로 확보되었으며,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는지는 극히 의심스럽다. 비안향교에 소장된 토지관계 자료도 극히 일부이고 그것마저도 19세기가 지난 시점에 작성되어진 것으로 보아 비안향교 창건 당시, 혹은 향교가 향촌사회의 중요 기구로서 작용하던 16세기~17세기의 시기의 향교의 경제적 기반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전무하여 정확한 관계를 알 수는 없다. 그러나 과전법실시 이후의 公田의 私田化 현상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향교의 재기능의 약화 및 상실과 함께 향교전, 향교노비 등 향교관련 경제적 기반이 守令들에 의한 자의적 처리되거나, 임진왜란 이후 折受에 의한 轉用 등의 결과에 따라 향교전이 감소하거나, 혹은 지방수령의 향교에 대한 관심여하와 鄕班 등의 노력 여하에 따라 학전은 다소 확충되기도 하지만 전반적인 학전의 감소현상은 지역적으로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으나 보편적인 현상이었고, 비안향교도 이러한 사정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조선초기로부터 후기로 가면서 학전이 점차 축소되어 간 것은 향교교육의 쇠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교에 대한 학전 지급은 실제 소유권을 준 것이 아니고 收租權만을 준 것이다. 다시 말하면 官家에서 거둔 租稅를 학전결수에 맞게 향교에 租나 錢을 지급한 것을 말한다. 이는 수령의 주관과 책임 하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향교에는 나라에서 지급한 학전뿐만 아니라 향교가 所有權을 가진 토지도 있었다. 수조권을 지급한 학전은 給租중단, 관에서의 전용 등으로 군현에 따라서는 전체 또는 일부 밖에 지급받지 못한 향교가 있는 등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것이어서 각 향교는 별도로 사유지가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토지들은 향교자체의 買得, 수령의 寄贈 등과 良民의 投託이나 노비의 己上 등을 통해 형성되었다.
비안향교는 縣에 지급하는 학전수에 따라 국가로부터 5결의 학전을 지급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교는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교육기관이었으므로 그 운영에 소요되는 예산은 기본적으로 국가에서 전지를 지급하여 그 수세로 春秋의 享祀와 교생양성에 드는 비용을 충당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향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차후 매득, 기증, 기상 등으로 비교적 많은 토지를 소유하기도 했고, 비안향교도 본 문서가 작성될 당시에 국가에서 지급한 토지보다 많은 결부수를 보이고 있다. 비안향교의 경우 그 경제적 기반을 짐작할 수 있는 자료로 토지대장류, 소작료수납부, 기물서책류 등이 있지만 정확한 작성연대를 알 수 없어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는 없다.
본 문서에서는 각 面을 단위로 하여 員別로 전답을 기록하였으며 또한 2~5등급으로 세분하여 정밀하게 표기하여 私家의 분재기 등과 구분되게 기록하였다. 즉, 향교는 국가의 교육기관이며 그 재산도 궁극적으로는 國有이기 때문에 이처럼 등급을 세분하였고 이를 근거로 收稅하여 향교의 각종 비용에 충당하였다. 비안현 관내 7개 면의 전답 분포를 세분하면 전은 5결 62부 5곡이며, 답은 2결 65부 8속, 기타 1결 46부 3속으로 모두 9결 74부 6속이다. 田 중 2등급 77부 2속, 3등급 3결 35부 1속, 4등급 98부 2속, 5등급 52부이고, 畓은 2등급 33부 2속, 3등급 91부 8속, 4등급 1결 21부 8속, 오등급 19부이다. 각 면별로 구분해서 보면 縣內의 전답은 69부 1속, 身東 2결 35부 5속, 內北 1결 14부 5속, 定東 1결 94부 9속, 定西 2결 56부 4속, 內西 80부 4속, 外西 32부 7속 등이다. 이와는 별도로 문서 말미에 있는 학위전답을 합하면 6결 51부 1속이지만 각 面民 학위 3결 4부 2속을 제하면 실제 3결 46부 9속이 되는데 매년 稅所에서 推捧한다고 했다. 이는 비안향교 소장 〈토지대장〉 자료의 10결 2부 2속에 비해 3결 51부 1속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는데 두 자료의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지만 통상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향교전이 감소하는 추세에 비춰봤을 때 본 문서가 나중에 작성된 것으로서 30% 이상의 전지가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국가의 지방 교육기관에 대한 관리가 여러 가지로 난관에 봉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료적 가치
작성연대를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19세기 중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향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學位田畓에 관한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로 비안향교의 경제 기반의 추세를 살펴볼 수 있다. 향교는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교육기관이었으므로 그 운영에 소요되는 예산은 기본적으로 學田을 7~5결 정도 지급하여 그 수세로 춘추의 향사와 교생양성에 드는 비용을 충당하였다. 그리고 향교에 따라 지방민으로부터의 징수 혹은 매수를 통하여 비교적 많은 전지를 소유하기도 했다. 비안향교에 소장된 경제적 기반을 짐작할 수 있는 자료는 土地臺帳 1冊, 鄕校土地小作料收納簿 1冊, 鄕校財産臺帳 1冊, 鄕校事例 1冊 등인데 이러한 자료들을 面里(洞) 별로 분석하여 토지의 분포와 전체면적을 정리해 봄으로 비안향교의 경제적 기반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慶北鄕校資料集成』(Ⅲ),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嶺南大學校 出版部, 1992.
『慶北鄕校誌』,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編, 경상북도, 1991.
『朝鮮後期 鄕校硏究』, 尹熙勉, 일조각, 1989.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集成』, 李樹健 外,, 國史編纂委員會, 1999.
1차 작성자 : 윤정식

이미지

원문 텍스트

己丑年九月初四一二上
土地臺帳
縣內面長松員吳字
量 四十東犯 四等直田 東西長二十五尺 南北廣十七尺 二負三束
量 四十六南犯四等直田 東西長十尺 南北廣四尺 二束
量 四十七南犯四等直田 東西長二十四尺 南北廣十尺 一負三束
量 四十八東犯四等直田 南北長二十二尺 東西廣十尺 二負二束
量 六十九北犯三等直田 東西長二十八尺 南北廣十七尺 三負三束
量 七十北犯三等直田 東西長六十七尺 南北廣十尺 四負七束
量 七十一北犯 二等直沓 東西長二十■…■ 三負五束
■…■
量 八十一西犯五等直田 ■…■ 南北廣十一尺 三負九束
量 八十二西犯五等直田 東西長九十尺 南北廣三十尺 十負六束
量 八十三西犯四等直田 東西長六十六尺南北廣三十尺 十負九束
辰字
民 十二南犯五等直田 南北長八十六尺東西廣二十尺 六負九束陳
民十三南犯五等直田 南北長四十七尺東西廣四十尺 七負五束陳
■■ ■■■ ■七十■年 ■■ ■■■
民 十七東犯四等直田 南北長七十尺 東西廣十七尺 六負九束陳 李■置年■…■
量 五十九南犯四等直田 ■…■長■十一尺■…■十尺 十一負二束四斗■只 ■■■■■■
宿字
民 十二東犯四等直田 東西長四깁二尺 南北廣二十一尺 四負八束 甲戌■■四五■■卄■尺■
■…■
民 十四東犯四等■■沓 東西長五十四尺大縣五十六尺小縣二十六尺 十二負五束四斗落只東 以水丹
陰淵負崗字
量 二十四北犯栽直反田四等 南北長二十尺東西■…■二負八束東?起 今■以■■■■■
■…■
?字
量 四十二南犯二等栽直沓 南北長六十四尺東西廣三十七尺 二十負一束四斗落只
量 四十六東犯三等栽直沓 南北長四十一尺東西廣二十五尺 七負二束六斗落只
量 四十七犯三等栽直沓 南北長五十六尺東西廣三十二尺 十二負五束
量 五十三犯二等栽直沓 南北長九十尺東西廣二十三尺 十六負八束五斗落只
量 五十八東犯三等直田 東西長二十六尺南北廣十二尺 二負二束 校基
量 五十九南犯三等直田 東西長二十九尺南北廣十五尺 三負二斗落只
量 六十南犯三等直田 南北長三十九尺東西廣二十七尺 七負四束二斗落只 田■■■■新■■杉還次
量 六十一南犯三等直岱田 南北長四十二尺東西廣■十四尺 十負
量 六十二 六負七束 ■…■
量 六十四西犯二等直田 東西長六十四尺南北廣四十二尺 二十二負八束八斗落只 今■■■ 日■內
河字 次行■
量 十三東犯四等栽直田 東西長九十五尺南北廣三十六尺 十八負■五斗落只
鱗字
■…■
羽字
民 四十四東犯四等栽直田 南北長二十一尺東西廣十八尺 二負一束 一斗落只 ■毛■■■■■■■■
醎字
量 七西犯四等栽直反田 南北長東西廣 五負三束二斗落只 ■…■
河字
十四東犯四等栽田 東西長八十七尺南北廣十三尺 六負二束 ■
身東龍泉員火字
火 民 九南犯四等直沓 南北長三十三尺東西廣四十一尺 十四負四斗落只 ■
身 豆毛坪員制字
東 量 四十一南犯三等栽直沓 南北長五十七尺東西廣十四尺 五負六束二斗落只 內示川
慕老洞員弔字
量 三十三南犯三等栽直田 南北長八十一尺東西廣十一尺 六負二束
量 三十四北犯三等直田 南北長八十九尺東西廣十四尺 八負七束
民 三十五南犯四等直田 南北長六十七尺 東■…■ 四負
■…■
民 四十西犯三等直田 南北長三十六■東西廣十尺 一負五束 二斗落只
月梅員罪字
量 九西犯五等直田 東西長四十一尺南北廣三十六尺 五負九束
周字
量 五十六北犯三等直田 東西長一百五十尺 南北廣三十八尺 二負一束
民 七十一東犯三等直田 南北長一十六尺東西廣■尺 一負四束
量 七十二南犯三等栽直沓 東西長五十五尺南北廣二十三尺 八負八束
民 七十三東犯三等直沓 南北長二十七尺東西廣十一尺 二負一束
民 十十四西犯三等直反田 南北長三十三尺東西廣八尺 一負八束十二斗■■
■…■
法古員■字
民 四十東犯三等栽直田 南北長一百十一尺東西廣一百一尺 七十八負束十七斗 ■…■
章字
民 一北犯三等直田東西長一百■…■ 四十二負內 十九長束川 八斗落只 ■…■
■…■
民 三十四北犯四等直田 南北長三十九尺東西廣二十四尺 五負一束
民 三十五西犯五等直田 東西長五十尺南北廣十尺 二負三斗落只 李口■如地壹西十四■七■■■
內北丹邑員似字
民 十三 犯三等直田 東西長一百五十尺 南北廣二十尺 二十一負五斗落只 九云■■地壹西秋享吋
興字
量 五十八東犯四等直沓 南北長四十一尺東西廣十九尺 四負三束二斗落只 川
如字 四十直田 十負四束 內■■ 秋享財■五■…■
民 四十九 犯三等栽直田 東西長一百二十九尺南北廣四十五尺小縣十三尺 二十五負三束五斗落只 ■■■
■字
民 十八北犯三等直田 東西長一百五十三尺南北廣十六尺 十七負一束 四斗落只 移生二斗落只 ■■
道樂員尺字
民 二南犯五等直沓 南北長三十五尺東西廣九尺 一負三束 ■…■
量 五合西犯四等直沓 南北長八十一尺東西廣二十五尺 十一負一束五斗落只
溫字
■…■
思字
量 五十一東犯二等直沓 南北長五十八尺東西廣二十二尺 十一負三束四斗落只■…■
量 五十六南犯五等栽直沓 東西長六十八尺南北廣四十尺 十九負五斗落只■…■
㝎東面側■員槐字
民 二南犯四■…■田 南北長五十三尺東西廣二十二尺 六負四束
民 三西犯四等反直田 南北長六十五尺東西廣六尺 二負一束 校基 ■■基
夾字
民 九十北犯三等直田 南北長六十尺東西廣四十二尺 二十負五束
民 九十一西■…■五等直田 南北長六十尺東西廣十九尺 四負六束 校基
民 九十二東犯五等直田 東西長四十五尺南北廣二十四尺 四負三束
㝎西長池員襌字
民 三十西犯四等直沓 東西長五十一尺南北廣三十尺 八負四束二斗落 ■…■
太相員宣字
民 六東犯四等直沓 東西長七十尺南北廣四十五尺十七負六束六斗落只內三負■…■
■…■
民九北犯■…■十一負二束二斗落只 ■…■
民 一南犯四十一負三束四斗落只 ■…■
對字
民 四十一反沓 八負三束 ■…■
楹字
量 二十一北犯四等反直田 東西長八十四尺南北廣十九尺 八負八束七斗落只
四字
民 五十七東犯三等直沓 東西長七十五尺南北廣三十二尺 十一負五束四斗落 ■…■
辰■字
量 ■字 民 一北犯三等直沓 東西長五十九尺南北廣十七尺 七負三斗落只 ■…■
吹字
量 十二東犯四等直沓 南北長七十二尺東西廣二十四尺 九負五束 ■…■
量 十北犯三等直沓 ■…■東西長七十三尺南北廣四十六尺 二十三負五束八斗落只
笙字
量 十一 西犯三等直沓 南北長六十尺東西廣十九尺 八負
量 十二 犯三等句沓 東西長十九尺南北廣十四尺 九束
量 十三 犯三 ■…■負四束 ■…■
量 十五西■…■十七負四束
■…■
量 十七北犯■…■二負六束
量 十八北犯四等直沓 東西長五十九尺南北廣三十尺 玖負柒束
量 十九南犯四等栽直沓 南北長四十六尺東西廣二十八尺 柒負壹束
量 二十西犯四等直沓 東西長八十尺南北廣二十五尺 拾壹負
丙字
位 二沓 三拾玖負伍束陳
民 三沓 拾■負參束陳 ■■
民 十五沓 捌負壹束陳
禽字
訓沓 十七負八束五斗落只 白大帳■■■■■故以爲■書 春■■■■■■
內西機堤員初字
量 四十二東犯五等直反沓 東西長九十尺南北廣五十尺 十八負陳
民 十四南犯五等直田 南北長一百五十尺東西廣六十七尺 四十二負陳
民 十五西犯五■…■十負二束陳
民 十六南■…■一十七負陳
民 八十七東■…■五十尺■…■廣三十尺■…■六負六束陳
慕古里員甘字
量 五十北犯二等直沓 南北長七十三尺東西廣十七尺 十負五束內五■川二負一束 ■今■■■■■
卑字
量 十南犯二等直田 東西長一百四十尺南北廣七十尺 六千七負八束陳
咸字 㝎西
民 十六東犯 五等直田 南北長初拾肆尺東西廣■拾伍尺 拾五負壹束 ■■■■■■■■■
四十五 拾參負參束
三里員■字
民 一北犯三等直沓 東西長五十九尺南北廣十七尺 七負 ■■■■■■■
外西八■代員友字
量 十六沓 十三負七束 ■三■■丙■享■
春■…■
秋■…■